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4-29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학과 정보기술의 학제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현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4-05-01 ~ 2004-11-30 연구형태 개인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정보 기술을 매개로 전통적인 학술 · 문화 자원을 현대적인 지식 정보 자원으로 편찬 · 가공할 수 있는 "한국학 지식 정보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대학원 과정의 학제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1. 환경 조사 및 기초 연구 자료 수집
      1) 학술 정보, 문화 콘텐츠 생산 · 서비스 등 인문 분야의 지식 자원을 활용하는 정보 산업 관계자에 대한 설문 조사 및 방문 인터뷰를 통해 한국학 분야의 지식 정보 전문가에 대한 수요 및 요구 능력 수준을 조사
      2) 인문학 분야의 학부, 대학원 전공자를 대상으로 지식 정보 전문가로서의 진로에 대한 관심도 및 정보 기술 교육에 대한 수요 조사
      3) 정보과학 분야의 학부, 대학원 전공자를 대상으로 인문 지식 콘텐츠에 관한 이해도 및 이에 관련한 전문 지식 교육의 필요성의 인지도 조사

 

   2. 교육 프로그램 분석 · 설계
      1) 한국학 분야 정보 자원의 전자적 생산 · 유통 · 활용 형태를 분석하고 최신 정보과학 기술 표준을 반영한 동 자원 유통 시스템의 TO-BE 모델을 설계
      2) 인문 지식 콘텐츠 및 유통 시스템을 2-1)의 TO-BE 모델 수준으로 설계 · 구현할 수 있기 위한 지식 및 기술 요소 및 활용 능력의 목표 수준 도출
      3) 피교육자가 2-2)의 지식 · 기술 요소를 적정 수준으로 구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교육 · 훈련 프로그램 설계
         - 학부 과정에서 한국학 분야를 전공한 학생을 위한 정보과학 기술 응용 교육 프로그램 모델 설계
         - 학부 과정에서 정보과학 분야를 전공한 학생을 위한 한국학 콘텐츠 처리 기술 교육 프로그램 모델 설계
         - 정보화 사업 프로젝트의 "현장 실습 프로그램"화 방안 연구: 피교육자가 본원 등 한국학 관련 연구 기관에서 수행하는 전산 정보화 프로젝트에 참여함으로써 교과 과정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실무 능력 수준으로 체화하고 그 성과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실무" 연계 프로그램 모델 개발

 

 

○ 연구내용

   1. 한국학 지식 정보 전문가에 대한 사회적 수요 현황: "정보 포털", "디지털 언론 · 출판", "문화 콘텐츠 제작", "지식 정보 인프라 구축 사업" 등 우리나라의 지식 정보 산업 현장에서의 "한국학 지식 정보 전문가"에 대한 수요 조사 · 분석

   2. 한국학 지식 정보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전문성" 분석 연구: 한국학과 정보과학기술의 제분야 지식 중 (1.)의 "한국학 지식 정보 전문가"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지식의 내용과 수준을 규명

   3. 한국학 지식 정보 전문가 배양을 위한 교육 커리큘럼 개발: (2.)의 전문성 획득 목표를 대학원 교육 시스템 내에서 이룰 수 있게 하기 위한 교과 커리큘럼 개발

   4. 인문과학과 정보과학의 학제적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 연구: 한국학 연구기관과 정보통신 연구기관간의 대학원 협동 과정의 운영 등 양 분야의 전문 지식 융합 교육을 위한 현실적 방안 도출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머리말

 

2. 인문지식 정보화의 목표
   1) 지식정보화론의 대두
   2) 지식 순환 모델의 이해
   3) 인문지식 정보화의 적용 영역

 

3. 인문지식 정보화를 위한 기술, 그 운용 주체
   1) 지식 결합의 수단으로서의 정보화
   2) 지능적 지식 검색 시스템 개발 동향
   3) 인문지식을 위한 정보기술

 

4. 인문계 정보기술 인력의 직업 기회와 전문성
   1) 정보산업 분야의 인문계 직업인
   2) 인문계 정보산업 종사자의 직업 전망
   3) 인문계 정보기술 인력의 경쟁력 제고 방안
   4) 인문정보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시스템

 

5. 인문정보학 대학원 과정 교육 프로그램
   1) 교육 대상 및 학습 목표
   2) 커리큘럼 개발 시안
   3) 교수진 구성 방안

 

6. 맺음말

연구결과

- 인문지식 정보화의 목표 도출
   지식정보화론에 입각하여 인문 분야 전문 지식의 사회적 소통을 위한 '정보화 목표'를 도출

- 인문지식 정보화에 필요한 기술 요소 탐구
   지식 결합의 수단으로서의 정보화를 이루기 위해 인문계 정보 기술 인력이 배양해야 할 정보 기술이 무엇인지에 대한 해답을 모색

- 인문계 정보기술 인력의 직업 기회 조사 분석 및 전문성 강화 방안의 모색
   현재 및 미래의 정보산업 분야에서 인문계 전공자들이 얻을 수 있는 직업 기회를 조사 · 분석하고 그들의 직업적 전문성 제고 방안 강구.

- 인문정보학 대학원 과정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인문계 고급 정보 기술 인력의 양성을 목표로 하는 대학원 교육과정(인문정보 석사 과정) 커리큘럼 및 교수진 운영 체계 시안 개발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