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4-26
연구과제명
  • 국문 : 『易經』의 剝卦와 復卦의 構成과 相互性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경일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4-02-01 ~ 2004-11-30 연구형태 개인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易은 八卦相蕩의 우주법칙이다. 蕩이란 64卦의 八卦가 상호 왕래하면서 서로 뒤바뀌는 것이다. 이것을 가리켜 錯綜원리라 한다. 坤卦에 탕하여 震卦와 하나되어 地雷復卦가 된다. 그 역은 綜卦인 山地剝卦가 된다. 또 復卦의 錯卦는 天合姤가 된다. 이밖에 卦의 互卦들이 수없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剝卦와 復卦의 內的인, 그리고 外的인 구성과 양면성의 논리를 추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문헌방법

 

○ 연구내용

   1. 서 론
   2. 剝卦 · 復卦의 구성
   3. 剝卦 · 復卦의 內 · 外的인 相互性
   4. 결 론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서론

2. 剝卦 · 復卦의 구성

3. 剝卦 · 復卦의 內 · 外的인 相互性

4. 결론

연구결과

   물건이 다 깎여 없어지는 이치가 없으므로, 깎여서 다하면 회복되고, 음이 다하면 양이 생긴다. 양이 위에서 깎여 다하면 다시 아래에서 생기는 것은 위에서 다해서 아래로 돌아오는 것이니 「복괘」가 「박괘」 다음에 온다.

   山地剝卦와 地雷復卦의 구성체계와 그것과 연관된 內 · 外的인 相互作用의 論理를 탐구하였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