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2004-25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영운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4-02-01 ~ 2004-11-30 | 연구형태 | 단독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한국 전통음악 중에서 詩唱[律唱]은 漢詩를 노래로 부르는 장르이다. 대체로 7언 절구나 율시를 가락[律調]에 얹어 무정형 장단으로 노래하는 시창은 오늘날 전통음악의 한 장르로 인식되고 있으며, 가객이나 서도명창들에 의하여 불리는 전문적인 성악가의 가창 장르이다. 그러나 본래 시창을 비전문 음악가들에 의하여 漢詩를 노래하던 것이었고, 이는 고정된 악곡에 의한 것이 아니라 즉흥성에 바탕을 둔 일종의 독서성[글 읽는 소리]이었다. 따라서 시창은 조선시대 詩作이 가능하였던 지식인 계층의 음악성이 반영된 장르이기도 하다. 이 연구는 비전문 음악인의 독서성이 전통음악의 한 장르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음악적 변화와 발전의 과정을 탐구하고, 詩唱의 음악적 정체성과 음악양식적 특성, 즉 리듬구조 · 음계와 선법 · 가사 붙임새 등을 분석하여 전통사회 지식인 계층 음악의 한 부분이었던 시창의 음악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1. 전통사회의 독서성 및 한시 吟詠에 관하여 개관함. 2. 현장조사를 통하여 기 채록된 자료를 활용하여, 한학자들의 律文 朗誦 방법을 분석한다. 분석 대상 자료는 아래와 같다. 3. 전통음악 장르 중 대표적인 시창 악곡인 〈關山戎馬〉를 채보 · 분석한다. 분석대상은 중요무형 문화재 서도소리 보유자였던 장학선, 김정연, 오복녀를 대상으로 하고, 일제강점기의 SP음반을 조사하여 해당 자료가 발견되면 분석 대상에 추가한다. 4. 〈경포대시〉, 〈촉석루시〉 등 남녀 가객이나 선비식 시창을 부르는 김월하, 정경태, 박헌봉 ac 현재 詩唱 분야의 무형문화재 보유자인 이윤영의 시창곡을 분석한다. 5. 위 두 유형의 시창 분석 결과를 종합하고, 판소리 삽입곡 중 시창부분을 분석하여 시창음악의 특징과 정체성을 밝힌다.
○ 연구내용 목차와 같음.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1. 머리말 2. 연구 대상과 방법 3. 당음의 분석 4. 시창의 분석 5. 맺는말 |
||
연구결과 | 한시를 노래하는 음악장르인 시창(율창)의 음악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로, 한시 음영의 기초 단계인 당음(5언, 7언)과 한작자 등 비전문음악인의시창자료, 그리고 전문음악인(정가인, 판소리명창)의 시창을 분석하였으며, 서도 율창인 〈관산융마〉까지 분석 · 정리하여, 한국 전통음악 중 한시 가창과 관련된 악곡 모두를 대상으로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였음. 그 결과, 시창은 고정악곡에 개성과 지역성이 가미된 연행양상을 지니고 있으며, 나름대로 고유한 음악적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밝혔다. 아울러 시창이 전통사회 지식인들의 음악행위의 하나임을 확인하였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