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4-23
연구과제명
  • 국문 : 현대국어 부사 '골고루'의 어휘사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광호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4-02-27 ~ 2004-11-30 연구형태 개인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1. 현대국어 부사 '골고루'는 근대국어에서 '고로, 고로로' 등으로, 그리고 중세국어에서는 '골로, 골오로' 등으로 실현된다.

   2. 따라서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실현된 현대국어 부사 '골고루'의 생성과 변화를 구체적으로 밝혀 그 어휘사를 정확하게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1. 중세국어 및 근대국어 문헌자료 수집
   2. 그 자료를 분석하고 분류함.
   3. 이론적 설명을 통해서 그 변화과정을 밝힘.
   4. 역사적으로 확인된 '골오, 골오로, 고로, 고로로'와 현대국어 '골고루'와의 연관관계를 밝힘.
   5. 현대국어 '골고루'의 어휘사 정리

 

○ 연구내용

   1. 중세국어 문헌 자료에서 '골고루'의 선행 형태소를 확인한다.
   2. 그 예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근대국어 자료에 반영되었는지를 밝힌다.
   3. 근대국어에 실현된 '고로, 고로로' 등을 문헌에서 확인한다.
   4. 이 형태소가 어떻게 해서 중세국어에서 근대국어로 변화되었는지를 밝힌다.
   5. 현대국어 '골고루'의 생성, 변화과정을 밝혀 그 어휘사를 규명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머리말

2. 현대국어 형용사 어간 '고르-'(均)와 부사 '고루, 고루 고루, 골고루'

3. 중세국어 형용사 어간 '고ᄅᆞ-'(均)와 부사파생 접미사 '-오/우'

4. 근대국어 파생부사 '고로, 고로로'

   4.1. '고로/고루'의 구성

   4.2. '고로로(골오로)'의 구성

5. 근대국어 형용사 어간 '고로-(골오-)'

6. '골고루'의 축약 원인

7. 맺음말

연구결과

   1. 중세국어 부사 '골오'는 형용사 어간 '고ᄅᆞ-(均)'에 접미사 '-오-'가 통합된 파생 부사이다.

   2. 이 부사는 근대국어에서 '고로'로 실현되고, 이 부사 '고로'는 첩용부사 '고로고로'로 바뀐다. 한편 이 부사 '고로'는 부사형성 보조사 '로'가 통합되어 '고로로'라는 또다른 부사를 이룬다.

   3. 근대국어 부사 '고로'는 이것이 그대로 형용사 어간으로 전용되기도 하엿다. 어간 '고로-'에 부동사어미 '-아, -게, -디, -고' 등이 통합되기도 하고 관형사형어미 '-ㄴ', 그리고 동명사어미 '-ㅁ'이 통합되기도 한다.

   4. 현대국어 부사 '고루, 고루고루, 골고루'의 생성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중세국어 '골오' > 근대국어 '고로, 고로로, 고로고로', > 현대국어 '고루, 고루고루, 골고루' ]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