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모노그래프과제
과제코드 2004-18
연구과제명
  • 국문 : 『구사론』 〈破我品〉 역주연구 (2차년도)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종철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4-03-01 ~ 2004-11-30 연구형태 단독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와수반두(Vasubandhu 世親 320-400)가 쓴 『아비다르마꼬샤』 (Abhidharmakosa-bhasya 阿毘達磨俱舍論)(이하 '구사론'으로 略)는 불교철학의 기초로서 중요시되는 저서이다. 구사론은 마지막 제9장에 〈파아품〉을 부록으로 싣고 있는데, 여기에서 와수반두는 불교의 무아 및 윤회사상을 철학적으로 깊이 있게,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 연구는 구사론의 제9장 〈파아품〉에 대한 梵藏漢 제판본의 교정본을 제시하고, 이에 근거한 우리말 역주작업을 개진함으로써, 무아 및 윤회사상의 철학적 근거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문헌학적 방법에 의거해서 諸版本에 대한 교정본을 확정한 다음, 우리말 역주 작업에 착수한다.

   (1) 2003년도에는 梵藏 판본에 대한 교정본 확정과 梵本에 대한 우리말 역주작업이 끝났음.

   (2) 2004년도에는 두 가지 한역본에 대한 교정본 확정작업과 단독저술의 앞머리에 붙일 introduction부분의 집필이 이루어질 예정임.

 

○ 연구내용

   이 저술의 일차적인 목적은 구사론 〈파아품〉을 대상으로, 쁘라단 校訂本의 再校訂本은 없으며, 티벳어역 및 한역에 관해서는 신뢰할 만한 교정본이 나오지 않았다. 필자는 문헌학적인 연구방법론에 입각하여 구사론 〈파아품〉에 대한 梵藏漢 제판본의 교정본을 제시한 뒤, 同 텍스트에 대한 우리말 역주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이 작업은 필자가 편집하고 있는 〈산스크리트어사전〉 내지 〈불교용례사전〉 편찬작업의 초석으로 활용될 것이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1) 일본 동경대 소장 구사론 〈파아품〉의 산스크리트어 Manuscript 복원.

(2) Manuscript를 토대로 〈파아품〉 산스크리트어 재교정본 검토, 최종 완성.

(3) 산스크리트어 재교정본을 토대로 티벳어역 교정본(Derge판, Peking판 대조) 최종 완성. (*나르탕판, 쪼네판을 더 대조할 것)

(4) 한역(진제역, 현장역) 대조작업 완료

(5) 우리말 번역 최종완성.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