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모노그래프과제
과제코드 2004-17
연구과제명
  • 국문 : 『聖學十圖』: 내적 자유를 위한 퇴계의 이념과 훈련
  • 영문 : -
연구책임자 한형조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4-02-01 ~ 2004-11-30 연구형태 단독저술
연구목적 및 배경

『성학십도』를 통해 퇴계학의 이념과 방법을 확인하고, 주자와 율곡과의 異同 분석

   * 『성학십도』는 퇴계 사유의 결정판
   * 압축적이고, 비의적이라서 암호에 가까운 말과 그림
   * 『성학십도』는 퇴계학의 압축이지만, 동시에 주자학의 본체와 공부를 아우르는 종합 설계도.
   * 이같은 퇴계의 사유가 이전의 주자와 이후의 율곡과 어떻게 갈라지는가를 확인.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  『성학집요』는 퇴계의 독자적 구성이 아니라 이전의 작품을 선별한 집록이라서 〈퇴계〉 고유의 사상을 이전의 것과 선별하는 데 곤란을 야기한다. 그러나, 이전의 전통은 진리를 독창이 아니라 보편으로 인지했고, 그런 점에서 주자와 퇴계, 그리고 나아가 나중의 율곡까지 〈공유하는〉 진리의 지평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즉, 차이보다 동일에 착목해야 한다. 〈퇴계학〉은 〈주자학〉과 더불어 말해야 한다.

   * 전통의 논법과 자원에 접근하는 데는 근대 우리의 일상적 관행과 성습을 유보할 줄 알아야 한다. 많이들 이른바 근대와 상식의 색안경 때문에 고전에 담긴 철학적 사고의 실제를 곡해하거나 미끄러진다.

   * 다양한 자원을 원용해야 한다. 주자학은 과학이면서, 철학이고, 종교이고, 또한 생활이고, 역사였다. 이들 부면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자학 바깥〉의 자원들을 충분히 원용해야 한다.

   * 다시 말하면, 전통적 사유와 주석이라는 古와, 현대적 연구와 다양한 현대적 인접 학문의 성과를 원용하는 今을 종합한다.

   * 서술은 이해가능한 일상어로 한다. 전문어가 필요하다면, 충분히 설명하고, 애매함을 남기지 않도록 한다.

 

○ 연구내용

   거기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개략하면,

   * 형이상학적 사유, 이원론적 발상, 논리가 아니라 실천을 통해 획득되고 확인되는 지식의 특이성, 사상을 둘러싼 언어의 난해함과 난삽함, 그리고 그 사유의 실질을 현대적으로 풀어주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 등이 있다.

   * 이 첩첩의 장애를 걷어내고, 〈퇴계학〉에 접근하는 데는 일정한 전략이 필요하다. 방법은 나중으로 하고, 다룰 내용은.

   * 퇴계 만년의 사유가 집약된 『성학십도』를 축으로 하고, 그 무렵 저술된 「무진육조소」와 「서명고증강의」를 중심 텍스트로 원용하여 연구.

   * 『성학십도』의 번역은 몇번 있었다. 그러나, 거기 압축된 사유와 의미의 구체적 〈내용〉을 상세하게 해석하고 주해한 것은 아직 없다. 본 연구는 퇴계의 이 저작을 기반으로 하고, 다른 자원을 원용하여, 퇴계가 세계를 바라보는 시선과, 인간의 심신에 대한 이해, 그리고 채택한 공부의 방법을 연관된 전체로 이해하고 해석하려는 시도이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0. 進聖學十圖箚 并圖

1. 第一 太極圖

2. 第二 西銘圖

3. 第三 小學圖

4. 第四 大學圖

5. 第五 白鹿洞規圖

6. 第六 心統性情圖

7. 第七 仁說圖

8. 第八 心學圖

9. 第九 敬齋箴圖

10. 第十 夙興夜寐箴

연구결과

   『성학십도』는 직역으로는 암호 수준. 그래서 직역으로 문장의 구조를 알려 주고, 해석으로는 현대적 번역을 보여주며, 각 구절의 주석과 의미 연관을 축자적으로 혹은 문장별로 혹은 단락별로 해설. 도와 도 사이를 크로스 레퍼런스로 두어, 전체를 유기적 전체로 읽도록 배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