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2004-15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이서행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4-02-27 ~ 2004-11-30 | 연구형태 | 공동연구과제 |
연구목적 및 배경 | 본 연구는 최근 정부의 대북 포용 정책과 정경분리 원칙, 나아가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크게 개선되고 있는 남북한간 화해협력 분위기를 더욱 활성화시키고, 또한 경험과 더불어 남북간 활발한 인적 교류를 위한 사회문화교류, 특히 순수학술문화 교류의 필요성에 의한 적극적인 교류정책 마련에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또한 이 연구는 본원의 새로운 남북학술교류사업의 적극적인 참여와 역할모색의 일환으로 3년 중기계획으로서 다음과 같이 진행되어 왔음을 밝힌다.( ※ 본원과 북한학술단체와 2001년 9월, 2002년 10월, 2003년 9월 평양에서 이루어진 남북학술교류의 성과와 병행해서 이루어지는 제3년차 마지막 계획이다.)
▷ 제1년차: 종교-문화 분야의 남북교류 현황과 전망(2002년)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민족의 화해와 협력을 통한 민족 동질성회복과 민족 공동체 형성은 우리 민족에게 주어진 지상 과제이다. 그러므로 민족의 화해와 협력을 통한 평화통일을 전망하는 기본구도 하에서 다음과 같은 방법론적 접근을 시도한다.
가. 문헌비교분석 ; 해방 후 최근까지 남북교류 및 협상에 대한 정보와 선행연구의 문헌비교분석방법이다.
○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첫째, 남북정치 교류의 성과 및 문제점 그리고 언론매체들의 교류 외에 나진 · 선봉 경제 특구의 실패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남북 경협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장애 요인에 대한 치밀한 분석을 먼저 진행하고자 한다. 1) 높은 물류 비용 2) 경제 외적 사업 환경의 불확실성 3) 대북 관련 사업의 정보 부족 4) 북한내 SOC 시설 부족 5) 법적 제도적 장치 등의 실태를 파악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남북교류 및 협상전략상의 개선과제 (姜錫勝行博, 京畿大 兼任敎授) I. 서 언 :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 남북 정치 · 군사회담의 현황과 개선방안 / 양동안(본원 교수) I. 서문
▩ 남북 사회 · 문화교류협력의 현황분석과 과제 / 이서행(본원 교수) I. 서 론
▩ 남북경제협력과 경협활성화의 과제 / 조영기(건국대 강사) I. 서 론 |
||
연구결과 | 「남북교류 및 협상전략상의 개선과제」에서는 주요내용이 협상전략의 기초이론, 교류협상의 현주소와 특성, 문제점과 과제, 개선방안의 체계로 구성되었다. 「남북 정치교류협력의 현황분석과 전망」의 주요내용은 남북정치군사회담의 역사, 현황, 문제점 및 개선방안 그리고 회담일지가 별첨되었다. 「남북 사회문화교류협력의 현황 분석과 전망」의 주요내용은 사회문화교류의 필요성, 인적교류현황, 제약요인에 따른 과제와 전망으로 구성되었다. 「남북 경제교류협력의 현황분석과 전망」에서는 경제교류협력의 전개과정을 단계적으로 정리하고 현재현황을 분석하였으며 활성화 과제를 제시하였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