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5-24
연구과제명
  • 국문 : 고문헌 자료 XML 전자문서 편찬 기술에 관한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현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2005-04-22 ~ 2005-11-30 연구형태 개인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 고전 문헌 자료에 대한 인문분야 전문가의 데이터 분석 설계가 데이터의 입력 단계뿐 아니라 정보 관리 및 정보 검색 서비스 차원에서도 일관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문서 편찬 방법론 및 구현 기술을 개발

-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 고전 문헌 원시 데이터의 구조적인 특성을 반영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방안 제시

- 고전 문헌 자료에서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 원문 내 정보 요소(키워드, 주석문, 시·공간 정보 등)의 처리 및 활용 방안 제시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머리말

2. 고문헌 정보화와 XML

  1) 전자문서 편찬의 필요성

  2) 고문헌 정보화 분야의 XML 활용 현황

3. 기본 저장 단위의 구조화

  1) 문서 중심적 XML의 특징

  2) 고문헌 자료의 구조적 특성

  3) 계층 구조 자료의 정보화를 위한 XML 모델

4. 기본 저장 단위 내부 요소의 정보화

  1) 혼합 요소 처리의 문제점

  2) 행중 요소 처리의 필요성

  3) 행중 요소의 유형과 처리 방법

5. 맺음말

 

연구결과

- 고문헌 정보화 분야의 XML 활용 현황

우리나라 고문헌 정보화 분야 사업에서 도입·적용되는 XML 관련 기술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분석하고, 고문헌 데이터베이스의 생산·관리를 효율화 하기 위한 과제를 도출

 

- 기본 저장 단위의 구조화 방안

문서 중심적 XML의 특징과 고전 문헌 자료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계층 구조 고문헌 원시 자료의 논리적 체계가 데이터베이스화 과정에서 왜곡되지 않도록 하는 목표지향적 XML의 설계 모델을 제시

 

- 기본 저장 단위 내부 요소의 정보화

XML Enabled Database 상에서 본문 텍스트에 혼재된 정보 요소들이 기계적으로 식별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행중 요소(In-Line Mark-up Element)의 처리 방법 제시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