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2004-09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강광식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4-02-01 ~ 2004-11-30 | 연구형태 | 공동연구과제 |
연구목적 및 배경 | 1. 연구의 필요성: 조선시대를 대상 시기로 선정한 이유 - 관련문헌 자료가 시대별 및 주제별로 비교적 균형있게 간행되어 접근가능성 용이.
2. 연구의 목적 및 활용성 - 이 연구는 조선시대 정치사상 관련 주요 문헌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 분류 · 발췌하여 편찬하되, 여기에 편찬된 자료의 독법과 해제를 첨부함으로써 특히 이 분야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과 교육 ·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려고 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1. 연구의 방법 1) 정치적 논쟁을 둘러싼 정치언어의 역사적 연구방법 - 정치사상을 일종의 ‘언어행위’(speech-act)로 간주하는 바탕 위에서 정치사상적 저술이나 발언의 역사적 맥락을 파악함. 2) 정치사와 정치사상의 변증법적 결합
2. 연구의 절차 1) 고전자료의 선별 기준을 마련하는 제1단계 2) 고전자료의 실제적인 강독 · 발췌 · 정리의 제2단계
○ 연구내용
1) 조선 중 · 후기를 대표하는 정치사상사적 함의: 〈道學政治思想의 體系的 擴散 · 深化〉. 2) 세부 연구내용: 〈제1부: 수록 자료의 편찬체계와 그 독법〉 · 〈제2부: 분야별 원전자료〉로 대별하여 연구하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부: 수록 자료의 편찬체계와 그 독법〉:
〈제2부: 분야별 원전자료〉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서설》 조선시대 중 · 후기 문헌자료의 정치사상사적 함의와 그 독법(2) / 강광식 1. 조선중기 전 단계: 도학정치사상의 체제적 확산, 심화 양상과 그 정치사상사적 함의 2. 후기단계: 도학정치사상의 변용 양상과 그 정치사상사적 함의
《각론》 (1) 도학정치사상: 그 이념의 의의, 확산, 심화 그리고 변용 / 배병삼 1. 도학의 개념
《각론》 (2) 정치운영방식, 연속성과 그 변화 / 박현모 1. 개관
《각론》 (3) 외교정책과 대외인식 / 김문식 1. 중국과의 외교 2. 일본과의 외교
《부록》 분야별 자료의 한문원전(전문) |
||
연구결과 | (1) 서설: 조선시대 중 · 후기 문헌자료의 정치사상사적 함의와 그 독법 (2) 각론(1): 도학정치이념: 분야별 해제 및 관련 자료 (3) 각론(2): 정치운영방식: 분야별 해제 및 관련 자료 (4) 각론(3): 대외인식과 대외정책: 분야별 해제 및 관련 자료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