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4-09
연구과제명
  • 국문 : 조선시대 정치사상사 자료선집 편찬 및 해제(2): 조선 중 · 후기편
  • 영문 : -
연구책임자 강광식
공동연구자
  • 배병삼 / 영산대학교 / 교수
  • 김문식 / 서울대학교 규장각 / 학예연구사
  • 박현모 / 본원 / 연구원
연구기간 2004-02-01 ~ 2004-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과제
연구목적 및 배경

1. 연구의 필요성: 조선시대를 대상 시기로 선정한 이유

   - 관련문헌 자료가 시대별 및 주제별로 비교적 균형있게 간행되어 접근가능성 용이.
   - 정치사 등 관련분야 연구축적이 상당한 수준으로 이뤄져 있어, 이제는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단계에 이름.

 

2. 연구의 목적 및 활용성

   - 이 연구는 조선시대 정치사상 관련 주요 문헌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 분류 · 발췌하여 편찬하되, 여기에 편찬된 자료의 독법과 해제를 첨부함으로써 특히 이 분야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과 교육 ·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려고 한다.
   - 이 연구는 한국정치사상사 관련 1차적 문헌자료를 집대성해서 이를 학계에 보급함으로써 특히 이 분야의 대학 및 대학원의 교육에 절실히 필요한 기본 교재 편찬을 위한 기반(infrastructure) 조성에 직접 기여하려고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연구의 방법

   1) 정치적 논쟁을 둘러싼 정치언어의 역사적 연구방법

      - 정치사상을 일종의 언어행위’(speech-act)로 간주하는 바탕 위에서 정치사상적 저술이나 발언의 역사적 맥락을 파악함.
      - 그 저술이나 발언에 숨겨진 저자(또는 화자)의 의도를 있었던 그대로찾아내려고 함(Q. Skinner 1988, 123).

   2) 정치사와 정치사상의 변증법적 결합
      - 정치사상의 본질을 이루고 있는 관념들의 내재적 연관성과 외재적 연관성을 구명하기 위해 정치사와 정치사상을 상호 연관시켜 접근할 것임.
      - 각 시대의 정치적 논쟁에 나타난 정치적 언어와 규범적 어휘를 통해서 그 시대 주요 인물들의 의도를 섬세히 관찰하고 추적하되, 그것의 사회 · 경제적 배경 및 현재적 의의까지도 재해석해낼 것임.

 

2. 연구의 절차

   1) 고전자료의 선별 기준을 마련하는 제1단계
      - 정치적 논쟁과 관련하여 조선시대 주요인물의 정치적인 저술이나, 행장, 상소문, 차자, 잠을 비롯하여, 그 시대를 풍미하는 지배적인 문법으로서의 정치담론 및 언어행위 등을 선별함.
      - 이는 조선시대 주요인물의 정치적인 저술이나 상소문 및 실록에 나타난 정치사상사적으로 사료적 가치가 인정되는 대상자료를 일정한 기준(시각)에 의거하여 선별해내는 예비적 작업에 해당함.

   2) 고전자료의 실제적인 강독 · 발췌 · 정리의 제2단계
      - 앞 단계에서 마련된 기준 내지 준거틀에 따라서 현재 생자료의 형태로 각 개인들의 문집과 조선왕조실록 등에 산재되어 있는 연구에 소용되는 대상자료들을 본격적인 연구에 활용될 수 있도록 선별 · 발췌 · 분류 처리하여 체계화함.
      - 문집총간』 『조선왕조실록등이 그 주요 텍스트가 될 것임.
      - 연구자들은 체크 리스트에 있는 규범적 어휘와 주의, 그리고 인물들을 발굴 · 분류해내는 작업을 수행할 것임.

 

 

연구내용

 

   1) 조선 중 · 후기를 대표하는 정치사상사적 함의: 道學政治思想體系的 擴散 · 深化.

   2) 세부 연구내용: 1: 수록 자료의 편찬체계와 그 독법· 2: 분야별 원전자료로 대별하여 연구하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수록 자료의 편찬체계와 그 독법:
      (1). 서설: 조선 중 · 후기의 정치사상적 함의 및 관련 문헌자료의 편찬체계
      (2). 관련 문헌자료의 분야별 해제(1)
      (3). 관련 문헌자료의 분야별 해제(2)
      (4). 관련 문헌자료의 분야별 해제(3)

 

   〈2: 분야별 원전자료
      --> 세부 분야는 추후 연구자회의에서 협의하여 확정, 그 결과를 중간보고서를 통해 보고.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서설조선시대 중 · 후기 문헌자료의 정치사상사적 함의와 그 독법(2)     / 강광식

1. 조선중기 전 단계: 도학정치사상의 체제적 확산, 심화 양상과 그 정치사상사적 함의
   1) 성리학의 심화에 따른 인식론적 입장의 분화 양상
   2) 의리정신의 고양에 따른 명분론적 현실참여의식의 표현 양상

2. 후기단계: 도학정치사상의 변용 양상과 그 정치사상사적 함의
   1) 도학정치사상의 연속성의 맥락에서 본 변용 양상
   2) 탈도학정치사상적 맥락에서 본 변용 양상

 

각론(1) 도학정치사상: 그 이념의 의의, 확산, 심화 그리고 변용     / 배병삼

1. 도학의 개념
2. 조선도학의 정치이념
3. 도학정치사상의 전개
   3-1. 조광조 (도학의 프로그램) :
   3-2. 이황 (도학의 비전 / 그 실천) :
   3-3. 조식 (도학의 실천) :
   3-4. 이이 (도학의 실천) :
4. 도학정치사상의 심화 (산림과 붕당)
   4-1. 산림정치 :
   4-2. 붕당정치 :
5. 도학정치사상의 변용 : 새로운 정치인식
   해제
   5-1. 허균, 정론(政論)
   5-2. 이수광 지봉유설, 속의 정치(政治)’
   5-3. 허목, 경설(經說)속의 정설(政說)
   5-4. 안정복, 임관정요(臨官政要)序文.
6. 원시유학적 정치론: 정약용
   해제
   6-1. 정치란 무엇인가 : “원정(原政)”
   6-2. 소통을 트는 것이 정치다 : “직관론(職官論) 1, 2”
   6-3. 요순정치는 고적제에 있을 뿐이다 : “고적의(考績議)”
   6-4. 조선이 세계의 중심이다 : “사신으로 연경에 가는 교리(校理) 한치응(韓致應)을 전송하는 서()”
   6-5. 정치의 비전 : “방례초본 서(邦禮草本 序)”
7. 탈 도학(脫 道學)의 정치세계
   해제
   7-1. 박지원, 열하일기; “심세편(審勢編)”
   7-2. 최한기, 기학 정론지구전요

 

각론(2) 정치운영방식, 연속성과 그 변화     / 박현모

1. 개관
2.
정치운영방식의 연속성: 공론정치와 경국대전체제
   1) 유교정치이념과 공론정치의 관계
   2) 경국대전에 구현된 예치이념: 外儒內法(“경국대전체제특징)
   3) “상유(相維)”상제(相制)”의 정치제도: (“경국대전체제특징)
3. 정치운영방식의 변화: 外議의 비중, 비변사제도, 붕당정치론
   1) 공론주체의 변화: 在朝에서 在野
   2) 비변사 제도
   3) 정치운영방식1: 붕당정치의 전개
   4) 정치운영방식2: 탕평정치
   5) 경도와 권도 논쟁
   6) 정치운영방식3: 세도정치(무책임의 정치)

 

각론(3) 외교정책과 대외인식     / 김문식

1. 중국과의 외교
   1) 조선전기의 대명외교
   2) · 청 교체기 광해군의 중립외교
   3) 인조의 친명 정책과 호란
   4) 효종의 즉위와 북벌론
   5) 대청외교의 안정과 화이론의 변화
   6) 북학론(청 문물 도입론)의 등장

2. 일본과의 외교
   1) 조선전기의 대일 외교
   2) 임진왜란의 발발
   3) 덕천막부와의 국교 재개
   4) 대일 외교의 안정
   5) 안정기의 대일인식

 

부록분야별 자료의 한문원전(전문)

연구결과

(1) 서설: 조선시대 중 · 후기 문헌자료의 정치사상사적 함의와 그 독법

(2) 각론(1): 도학정치이념: 분야별 해제 및 관련 자료

(3) 각론(2): 정치운영방식: 분야별 해제 및 관련 자료

(4) 각론(3): 대외인식과 대외정책: 분야별 해제 및 관련 자료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