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4-08
연구과제명
  • 국문 : 異本對比 校勘을 통한 『於于野譚』의 定本 확정과 번역
  • 영문 : -
연구책임자 신익철
공동연구자
  • 조융희 / 본원 / 조교수
  • 이형대 / 고려대학교 / 연구교수
  • 노영미 / 서울여자대학교 / 강사
연구기간 2004-03-08 ~ 2004-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과제
연구목적 및 배경

   『어우야담은 국문학뿐만 아니라 역사학, 민속학, 음악학, 미술사학 등 여러 분야에서 일차 사료로 널리 활용되는 한국학의 고전이다. 그런데 어우야담은 초고가 분산 전승되었기에, 이본이 매우 다양하고, 이본 간에 심한 차이를 보인다. 1946년 유몽인의 후속 柳濟漢씨가 이러한 문제점을 절감하여 여러 이본을 수집, 대비하여 활자로 간행한 바 있다. 이것이 萬宗齋本으로 그간 학계에 널리 통용되었는데, 만종재본은 몇 가지 점에서 오류를 지니고 있으며, 이에 정본을 확정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첫째, 만종재본은 편자가 여러 필사본을 바탕으로 주제별로 재편집한 것이기에 편차에 있어서 원본의 면모와 전혀 동떨어진 모습을 지녔다. 둘째, 만종재본은 후대의 이본을 주로 참조하였기에 원본과 상당한 차이를 지니고 있으며, 개중에는 원본의 내용에서 축약된 이야기가 상당수 존재한다. 셋째, 만종재본에 없는 이야기 40여화가 새로 발굴되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제이본을 대비하여 어우야담의 정본을 확정하고, 이를 번역하고자 한다. 어우야담은 국학 분야의 주요 고전으로 그 정본을 확정하는 것은 한국학 연구의 기초 작업으로 심대한 의의를 지닌다. 우리 한국학의 고전을 해외에 번역함에 있어서도 정본에 근거한 신뢰할 만한 번역본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 작업은 한국학 연구의 내실을 다지는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이 연구는 제이본을 대비하여 정본을 확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번역하는 작업이라 앞의 연구 내용에서 제시한 것 외에 특별한 연구 방법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여기에서는 4인의 공동연구자가 수행할 역할 분담에 대해 계획하고 있는 것을 말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작업의 성격상 4인의 공동연구자가 수시로 만나 함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요청되나,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판단에서 다음과 같이 역할을 분담하기로 한다.

   공동연구자 이형대와 노영미는 이본의 대비와 초역을 담당한다.
   공동연구자 조융희는 초역의 내용을 검토하여 필요한 주석을 보충하고, 윤문을 담당한다.
   연구책임자 신익철은 이본의 대비 내용을 참조하여 최종적으로 원문을 교감한다.

 

   이상의 분담 작업이 완료되면 전체적인 내용을 돌아가며 윤문 교열하기로 한다.

 

 

연구내용

   지금까지 수집된 어우야담의 제이본 27종을 대비한 결과 대략 다음의 여섯 갈래로 전승된 것으로 파악된다.

      (1) 청구패설본 계열 청구패설패본 · 일사본 · 동야패설본 · 야승본
      (2) 도남본 계열 도남본 · 동빈본 · 신암본
      (3) 국립중앙도서관본 계열 국립중앙도서관본 · 이수봉본 · 만종재필사본
      (4) 고대본 계열 고대본 · 연대본 · 규장각본 · 천리대본 · 위창본
      (5) 동양문고분 동양문고본 · 강전섭본 · 서울대B
      (6) 기타 계열 서울대 고도서A· 천리대보본 · 낙선재본 · 만송본 · 가람본 · 시화총림본 · 해동시화본 · 이능우본

 

   이들 중 전승 갈래가 분명하다고 여겨지는 5계열의 이본을 대상으로 하여 원문을 대비 교감하기로 한다. 다만 어느 한 계열에 속한 이본 모두에 특정 이야기가 누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타 계열에 속한 것을 대비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이야기의 축약이나 부연, 또는 변개 상황을 면밀히 대비하고, 정본으로 확정한 이야기와 차이를 보이는 것은 주석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상의 작업에 의해 교감된 원문을 바탕으로 번역작업을 수행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於于野譚異本對比表의 현황                           ················· 노영미(서울여대 강사)

2. 어우야담이본대비 및 번역 1(1250)      ················· 이형대(고려대 연구교수)

3. 어우야담이본대비 및 번역 2(251522)   ················· 신익철(본원 조교수)

4. 어우야담신발굴 자료 소개(44; 523566) ················· 조융희(본원 조교수)

연구결과

   당초 연구계획과 연구를 수행한 결과가 일치하기에 개요를 따로 작성하지 않기로 한다.

   다만 연구 방법에 있어 당초에는 <이본의 대비와 초역>을 공동연구자 이형대와 노영미가 담당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으나, <이본대비표>의 내용을 다시 한번 면밀히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노영미가 이를 전담하고, 신익철이 이본 대비와 초역을 이형대와 공동으로 담당하였다. 그리고 조융희는 새로 발굴한 이본 44화의 초역을 추가 담당하였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