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5-23
연구과제명
  • 국문 : 20세기 초 러시아 극동에서의 황화론
  • 영문 : -
연구책임자 권희영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2005-04-22 ~ 2005-11-30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19세기 후반부터 한인들이 러시아에 많이 이주하게 되고 러시아인들은 한편으로는 한인들의 이민을 필요로 하면서도 일본으로 인한 안보상의 위협 때문에 한인들이 국경지대에 거주하는 것을 바람직하지 않게 생각하였다. 이러한 요인들과 관계하여 전개된 러시아인들의 한인에 대한 태도를 황화론을 중심으로 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머리말

2. 19세기 말~20세기 초의 ‘황인종’의 노령이주

3. 운테르베르게르 총독과 극동경영

4. 메르푸로프의 황화론

5. 맺음말

 

 
연구결과

 

황화론의 대두는 러일전쟁에서의 러시아의 패배와 극동에서 중국이 급속도로 경제적으로 성장하지만 러시아의 식민사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음에 따라 러시아인들이 느끼는 위협을 표현한 것이었다. 조선은 아무런 힘이 없었기에 한인 자체가 크게 위협이 된다고 여겨지지는 않았지만, 대한제국이 일본에 의하여 지배되고 영향을 받는 상태에서는 조선인이 일본의 도구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생겨났다. 조선인이 특히 위험스러운 존재로 인식된 이유는 조선인들이 정주를 목적으로 하여 이민한 사람들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운데 아무르탐험대의 그라베는 조선인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조선인들이 어시아를 위하여 위험하다기보다는 오히려 도움을 줄 수 있음을 간과하고 조선인들을 배척하는 정책 대신 포용하는 정책을 건의하여 이 점은 어느 정도의 성과를 보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20세기 초에 러시아에서 전개된 이 같은 황화의 담론을 통하여 러시아인들이 느끼는 위기의식을 우리는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현실적으로는 극동을 지배하는 세력이면서도 장래에 있을지 모르는 가공의 위협으로 인하여 조선인들이 위험한 존재로 부각되어 버렸다. 위협의 근원은 사실은 조선인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일본이나 중국에 있었다. 그러나 조선인은 자신의 의지를 독자적으로 발휘할 힘이 없었기에 도구적인 위협으로 간주될 수밖에 없었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