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4-07
연구과제명
  • 국문 : 장서각 소장 어제류(御製類) 한글 필사본 자료의 역주 및 연구(2) ㅡ영조대를 중심으로ㅡ
  • 영문 : -
연구책임자 황문환
공동연구자
  • 조항범 / 충북대학교 국문과 / 교수
  • 김주필 / 국민대학교 국문과 / 부교수
  • 박용만 / 본원 국학자료연구실 / 전문위원
연구기간 2004-03-01 ~ 2004-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과제
연구목적 및 배경

   장서각에 소장된 어제류’(왕이 친히 저술한 글) 가운데는 한문본과 그것을 언해한 한글 필사본이 함께 전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필사본은 장서각 유일본인 경우가 대부분인데 궁중에서 필사된 까닭에 왕실 자료의 성격과 함께 당시의 (궁중) 언어를 잘 반영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필사본을 대상으로 한편으로는 역주를 가하여 학계와 일반에 일차 자료로 제공하고, 한편으로는 자료의 서지 성격과 국어학적 특징을 상세히 밝혀 관련 학계의 자료 활용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는 조선시대 왕실자료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요긴할 뿐 아니라 18세기 당시의 (궁중) 언어를 이해하는 데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역주 역할 분담

      - 대상 자료 해제(박용만 · 황문환)

      - 판독문 작성 및 전산 입력(연구자 공동)

      - 어휘 주석(연구자 공동)

      - 색인(이래호/연구보조원)

   2. 연구 분야 분담

      - 자료의 서지적 성격(박용만 · 황문환)

      - 자료의 음운적 특징(김주필)

      - 자료의 어휘적 특징(조항범)

      - 자료의 문법적 특징(황문환)

 

연구내용

   1. 역주: 영조대에 이루어진 어제류 한글 필사본 3책을 대상으로 판독문을 작성한 뒤 어휘 주석을 가하여 역주 원고 작성.

      ■ 대상 자료: 어뎨조훈(御製祖訓)(1, 28), 어졔경셰문답(御製警世問答)(1, 41), 어졔경셰문답쇽녹(御製警世問答續錄)(1, 51).

      ■ 역주서의 체재

         - 자료 해제
         - 한글 판독문
         - 어휘 주석
         - 색인(어절 색인과 주석 색인)
         - 영인 자료

   2. 연구: 대상 자료의 서지적 성격 및 국어학적 특징을 밝혀 연구 논문 작성.

      ■ 대상 자료의 서지적 성격
         - 장서각 소장 어제류 한글 필사본의 목록 작성
         - 대상 자료의 서지 사항(필사 시기, 필사 목적, 한문본과의 관계, 이본 대비 등)

      ■ 대상 자료의 국어학적 특징
         - 음운적 특징
         - 어휘적 특징
         - 문법적 특징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논문편

◇ 英祖 御製冊書誌的 考察 어졔경셰문답, 어졔경셰문답쇽녹, 어뎨조훈을 중심으로     / 朴 用 萬(장서각 전문위원)
   1. 머리말
   2. 어제책의 생산과 체재
      2-1. 御製警世問答御製警世問答續錄
      2-2. 御製祖訓의 생산과 체재
      2-3. 御製祖訓의 내용과 활용
   3. 맺음말 언해와 필사의 문제

 

영조 대 어제류 문헌의 음운변화 ㅡㄷ구개음화와 원순모음화를 중심으로ㅡ     / 김주필(국민대 국어국문학과)
   I. 논의의 방향
   II. ㄷ구개음화
   III. 원순모음화 현상
   IV. 마무리

 

어졔경셰문답쇽녹의 문법론적 고찰     / 황문환(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국어사)
   1. 머리말
   2. 조사
   3. 어미
   4. 통사
   5. 맺는말

 

御製祖訓諺解의 어휘론적 고찰     / 조항범(충북대 국어국문과)
   1. 서론
   2. 어휘의 존재 양상
      2.1. 稀貴語 稀貴 表現
      2.2. 類義語 反意語
   3. 의미 변화
   4. 결론

 

 

주석편

1. 〈어졔경셰문답의 판독과 주석
2. 어졔경셰문답쇽녹의 판독과 주석
3. 어뎨조훈의 판독과 주석

연구결과

(1) 역주 원고: 대상 자료 3책을 분담하여 흘림체로 된 한글 원문을 판독 · 입력하고 어휘 주석을 달아 아래와 같이 원고를 작성하였음.

   가. 어졔경셰문답판독과 주석: 김주필(국민대)
   나. 어졔경셰문답쇽녹판독과 주석: 황문환(본원)
   다. 어뎨조훈판독과 주석: 조항범(충북대)

(2) 연구 논문: 대상 자료의 서지적 성격 및 국어학적 특징을 아래와 같이 분담하여 연구 논문을 작성하였음.

   가. 대상 자료의 서지적 특징: 박용만(본원)
   나. 대상 자료의 음운론적 특징: 김주필(국민대)
   다. 대상 자료의 문법론적 특징: 황문환(본원)
   라. 대상 자료의 어휘론적 특징: 조항범(충북대)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