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4-06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지명 변천 연구 ㅡ일제시대편 1ㅡ
  • 영문 : -
연구책임자 최진옥
공동연구자
  • 김재명 / 원광대학교 / 부교수
연구기간 2004-02-01 ~ 2004-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과제
연구목적 및 배경

   한국학 연구에서 지리 및 지명에 대한 이해는 가장 기본이 되는 영역 중에 하나이다. 이에 삼국사기』 『고려사를 비롯해 조선시대의 증보문헌비고에 이르기까지 사서와 지리지의 지명관련 내용을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작업을 한 바 있다. 작업 내용이 알려지자 많은 연구자들이 일제시대 이후도 다루어주길 희망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 일제시대에 변천된 지명을 포함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방자치제가 활성화됨에 따라 활발해진 지역 연구자들의 요구에도 부합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기본적으로 문헌연구이며 모든 자료는 전산화한다.

   1. 대상 자료에서 지리 관련 내용을 발췌하여 입력한다.

   2. 군현단위로 파일을 정리하고 명칭의 변천시기와 변천 내용을 정리한다.

   3. 표제어에 대한 선정과 내용을 보완한다.

   4. 사전의 일관된 체제를 유지하기 위하여 윤문 작업을 거친다.

   5.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마크업 작업을 한다.

 

연구내용

   우리나라의 지명은 삼국시대 이래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나라가 바뀌고 지방행정제도가 바뀔 때마다 변해왔다. 일제시대에 근대적 행정제도가 도입되고 대대적인 행정 구역 개편 작업이 있었다.

   본 연구는 삼국시대 이래 변천해온 지명과 일제시대에 개편된 지명을 연계시켜 정리함으로써 현대의 지명으로 이어지는 연결 고리를 마련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이러한 작업은 오늘날 13도의 행정 체계의 근간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일제시대는 자료조사와 내용이 방대하여 최소한 2년의 기한이 필요하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조선시대의 8도 체제와는 달리 대한제국기 이후 전국의 지방행정구역은 13도 체제로 구획되었다. 1912년 조선총독부에서 간행된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13도 하의 전국의 군면리의 명칭을 망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의 자료를 토대로 하여 기본적으로 군면리별로 입력한 후 리를 기준으로 정열하였다. 여기에 갑오개혁 이후 일제시대까지의 행정구역 변천의 개요를 첨부하였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