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4-05
연구과제명
  • 국문 : 장서각 소장 회화자료의 해제 및 연구 I ㅡ기록화와 지도류ㅡ
  • 영문 : -
연구책임자 박정혜
공동연구자
  • 양보경 /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부교수
  • 이예성 / 한성대학교 / 강사(문학박사)
연구기간 2004-03-01 ~ 2004-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과제
연구목적 및 배경

   장서각에는 각종 儀軌에 부수된 儀軌圖를 포함하여 記錄畵, 實用畵, 肖像畵, 建物圖形, 繪畵式 地圖 등 회화자료가 상당수 소장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들에 대한 개별적인 해제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까닭에 자료적 가치에 비해 실제적으로 연구자료로서 활용도가 낮은 실정이다.

   최근 지도류 가운데 산수화의 비중이 큰 繪畵式 地圖들은 實景山水畵 연구의 일환으로 그 내용과 표현 방식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또한 기록화와 지도류에 대한 연구 성과가 과거 10년 동안 상당량 축적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성과와 연구자들의 요구를 다각적으로 반영하여 장서각 소장의 회화자료를 해제하고 연구하는 데에 목표를 두었다. 많은 자료 가운데 중심이 되는 記錄畵地圖類에 대한 종합적이고 심도있는 해제를 우선적으로 하여 각 자료의 내용과 특징을 폭넓게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각 연구자의 개별적인 논문을 통해 장서각 소장 회화자료들의 성격과 위상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 각 작품의 實査를 통해 그 내용과 특징을 연구한다. 연구원 모두 실사에 참여하여 작품에 대해 전공별로 충분한 의견을 교환한다.

   - 해제는 박정혜가 역사적인 행사의 設行 배경 및 제작 동기와 함께 회화적인 측면을 종합적으로 시행한다.

   - 해제는 한 작품에 대해 지리학 전공자인 양보경은 지리학적 입장에서, 미술사 전공자인 이예성이 회화사적 입장에서 개별적으로 각각 해제함으로써 좀더 입체적인 시각으로 조선시대 특징을 살펴본다. 지도류는 양이 많아 1개년 연구로는 부족하므로 우선 2004년도 연구에서는 회화적 요소가 풍부한 지도를 선별하여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 이외의 소장처에 전하는 유사한 기록화나 지도가 있는 경우 이를 포함하여 폭넓게 비교한다.

   - 연구자는 작품을 해제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장서각 소장 회화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그 성격과 의의를 부각시킬 수 있는 주제를 정해 연구논문을 개별적으로 작성한다.

 

 

연구내용

   記錄畵類

      《敬而勿毁(3-546) : 홍익대학교 및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본과 비교 검토
         〈太祖朝忠景公南在登筵圖
         〈中廟朝書筵官賜宴圖
         〈恭憲大王親臨瑞瑞葱臺試文武臣圖
         〈百歲蔡大夫人慶壽宴圖
         〈政殿舊基進爵圖

      《王世子人學圖(3-553) : 경남대학교 박물관소장본과 비교 검토
      《受敎圖(3-552)
      〈親臨宣醞圖(3-556)
      〈靈壽閣頌(3-557)
      〈
館伴題名帖(3-468)

 

   建物圖形

      《時敏堂圖(2-4373)

      《越中圖(2-4458)

      〈肇慶壇碑閣齋室圖形(2-4386)

      〈肇慶廟慶基殿圖形(2-4387)

      〈集慶殿舊基圖(2-4388)

 

   地圖類

      《北道各陵殿圖形(2-4428) : 규장각 소장본과 비교

      〈明陵山刑圖(2-4424)

      〈全州乾止山形圖(2-4383)

      〈子規樓圖(2-4383)

      〈本營圖形(2-4366)

      《俄國輿地圖(2-4611)

      《關西都地圖(2-4544)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I. 양보경(성신여자대학교) 장서각 소장 備邊司地圖 嶺南圖고찰ㅡ규장각 소장 嶺南地圖와의 비교 검토ㅡ
1. 머리말
2. 규장각 소장 嶺南地圖
3. 備邊司地圖의 제작 시기
4. 備邊司地圖의 특징
   1) 共時的 大縮尺地圖
   2) 方眼地圖
   3) 군사적 내용과 도로의 강조
   4) 記號化의 진전

5. 嶺南圖嶺南地圖의 비교
6. 맺음말

 

II. 이예성(한성대학교) 19세기 特定地域을 그린 古地圖繪畵的 性格 연구 ㅡ藏書閣 소장 古地圖를 중심으로ㅡ
1. 머리말
2. 특정 지역도의 종류와 성격
3. 19세기 특정 지역도와 회화
4. 맺음말

 

III. 박정혜(한국정신문화연구원) 朝鮮時代 王世子宮中記錄畵
I. 머리말
II. 조선시대 왕세자의 冊封禮 · 入學禮 · 冠禮
III. 冊封禮: 文孝世子冊禮契屛
IV. 入學禮와 교육: 王世子入學圖帖會講班次圖帖
V. 冠禮: 時敏堂圖帖受敎圖帖
VI. 조선시대 왕세자 관련 궁중기록화의 특징
VII. 맺음말

 

藏書閣 文化財硏究所 所藏 회화자료 해제 대상 작품 목록
關西地圖 목록
嶺南圖 목록
藏書閣 소장 繪畫資料解題

연구결과

   解題: 文化財연구소 소장품을 포함한 총 36건의 작품을 實査하여 해제함. 기존에 내용을 몰랐던 작품들에 대한 내용 파악은 물론 많은 새로운 사실들을 밝혀냈다.

   硏究: 지도류와 기록화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지도류에 대해서는 지리학 및 繪畫史 전공자가 각자의 연구분야에 입각하여 두 방향에서 연구함으로서 지도에 대한 입체적인 조망을 시도하였다. 지리학 전공 양보경 교수는 장서각 소장 備邊司地圖 嶺南圖고찰에서 장서각 소장의 <영남도>를 같은 내용을 가진 규장각 소장의 嶺南地圖와 비교 연구하였다.

   미술사 전공의 이예성 박사는 19세기 特定地域을 그린 古地圖繪畵的 性格 연구에서 특정지역을 그린 古地圖에 나타난 회화적 특징을 같은 시기의 山水畵 양식과 비교 고찰하였다.

   미술사 전공 박정혜 교수는 장서각 소장 記錄畵 가운데 왕세자와 관련된 그림들이 많은 점에 착안하여 조선시대 王世子宮中記錄畵라는 제목으로 왕세자 관련된 그림들이 차지하는 위상과 특징을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고찰하였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