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4-01
연구과제명
  • 국문 : 『이재난고』를 통해 본 조선 후기 생활사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권오영
공동연구자
  • 강신항 / 성균관대학교 / 명예교수
  • 이종묵 / 서울대학교 / 조교수
  • 정만조 / 국민대학교 / 교수
  • 이헌창 / 고려대학교 / 교수
  • 정순우 / 본원 / 교수
  • 강관식 / 한성대학교 / 교수
  • 정성희 / 본원 / 책임연구원
연구기간 2004-02-27 ~ 2004-11-30 연구형태 기획과제
연구목적 및 배경

   『이재난고(頤齋亂藁)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황윤석(黃胤錫, 1729~1791)173810세 때부터 쓰기 시작하여 세상을 떠나기 이틀 전까지 기록한 귀중한 자료이다. 따라서 이 책은 18세기의 사회와 사상, 경제, 문화, 예술, 언어, 천문 등의 여러 방면에서 당시의 사회의 실상을 밝힘에 있어서 관찬사료를 보완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최근 조선시대 연구는 일기 자료를 활용한 생활사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희춘의 미암일기, 이문건의 묵재일기등을 이용한 연구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자료에 비해 이재난고는 그 내용이 매우 풍부하고 조선 후기 사회의 총체적인 모습이 담겨져 있어 앞으로 조선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해명하는 데 일차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본원 간행 이재난고9책 자료를 활용하여 황윤석 개인의 삶과 사상에 대한 깊은 연구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 사회의 생생한 모습을 복원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아울러 본원 주최로 본 과제의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연구결과물로 간행하여 학계에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 『이재난고를 통해 조선 후기 언어, 문학, 정치, 교육, 예술 등 생활의 모습을 다각도로 해명하기 위해 각 연구자가 해당 학문 분야의 개별 주제를 선정하여 해당 분야를 조명하도록 한다.

   ▨ 연구 분야는 국어학, 한문학, 역사학, 정치사, 경제사, 교육사, 과학사, 미술사 등으로 하되, 원내외의 전문 학자 8명이 참여하여 연구한다. 세부 연구주제와 연구참여자는 아래와 같다.

 

   [ 연구자와 세부 연구주제 ]

      ▶ 권오영(본원): 이재 황윤석의 삶과 학문, 그리고 벼슬살이
      ▶ 강신항(성균관대): 이재난고를 통해본 황윤석의 국어인식
      ▶ 이종묵(서울대): 이재난고를 통해본 황윤석의 문학활동
      ▶ 정만조(국민대): 이재난고를 통해본 조선 후기의 정치양상
      ▶ 이헌창(고려대): 이재난고를 통해본 조선 후기의 경제생활

 

 

연구내용

   우리나라 국어사(음운), 한문학(한시), 조선시대 정치사(당쟁), 경제사(화폐, 물가자료), 교육사, 미술사(서예, 회화), 과학사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에 공동으로 참여하여 연구한다.

   우선 국어 분야는 우리나라 언어에 대한 자료가 많아 이에 대한 연구가 기대된다. 문학 분야는 기존에 간행된 이재난고에 수록된 작품과 비교 검토는 물론, 조선 후기 지식인의 문필활동을 상세하게 해명할 수 있다. 정치사 부문은 황윤석이 속한 노론의 정치 양태와 다른 당론의 정치와 인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경제 부문은 당시 물가를 비롯하여 사족의 경제활동을 소상하게 알 수 있다. 교육 부문은 서당, 서원, 향교 등의 학교생활을 살필 수 있고 과거제에 대한 생생한 내용을 밝혀 낼 수 있다. 예술 부문은 조선시대의 회화, 서예에 대한 자료를 담고 있어 이 분야에 새로운 연구가 기대된다. 과학 부문은 전통과학과 서양과학의 실상을 해명할 수 있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이재난고를 통해 본 황윤석의 국어인식     / 강신항(성균관대 명예교수)

I. 머리말

II. 자모변(字母辨)의 내용

III. 화음방언자의해(華音方言字義解)의 내용

IV. 이재난고(頤齋亂藁)안의 지명, 물명, 시조

V. 이수신편(理藪新編)에 나타난 이재의 언어의식

VI. 맺는말

 

황윤석의 문학과 이재난고의 문학적 가치     / 이종묵(서울대 교수)

I. 서론

II. 젊은 날의 한시 학습과 문명의 획득

III. 사라진 글과 남는 글

IV. 이재난고에 담긴 문학에 대한 정보

V. 결론

 

頤齋亂藁에 나타난 英祖末 正祖初의 정국동향     / 정만조(국민대 교수)

머리말

I. 정치관계 記述방식과 記事의 자료

II. 영조말의 정치관련 기술과 정국동향

III. 정조초의 정치상황 기술과 정국동향

맺는말

 

頤齋亂藁를 통해서 본 조선후기 교육과 과거     / 丁淳佑(정문연 교수)

I. 서론

II. 이재의 성균관 생활

III. 科擧頤齋

IV. 이재와 석실서원

V. 結語

 

이재난고를 통해본 조선후기의 경제생활     / 이헌창(고려대 교수)

I. 分析의 시각

II. 이재 가문의 선택

III. 이재의 경제관

IV. 경제생활

V. 경제생활의 특징적 면모

VI. 18세기 후반 경제환경과 경제생활의 특성

 

朝鮮後期 知識人繪畵 經驗認識 頤齋亂藁를 통해서 본 黃胤錫(1729-1791)繪畵 經驗認識을 중심으로     / 姜寬植(한성대 교수)

I. 黃胤錫頤齋亂藁朝鮮後期繪畵

II. 作家에 대한 經驗認識
III. 作品에 대한 經驗認識

IV. 繪畵界低邊에 대한 經驗認識

V. 黃胤錫繪畵 經驗認識性格

 

頤齋亂藁를 통해 본 조선후기의 과학     / 鄭誠嬉(정문연 책임연구원)

I. 머리말

II. 黃胤錫頤齋亂藁

III. · 서양과학의 만남과 頤齋亂藁

IV. 서양천문학의 수용과 頤齋亂藁

V. 맺음말

 

頤齋 黃胤錫의 학문생활과 사상경향     / 권오영(정문연 교수)

I. 머리말

II. 황윤석 가문의 내력

III. 황윤석의 학문생활

IV. 황윤석의 학문과 사상경향

V. 맺음말

연구결과

   『이재난고를 통해 황윤석의 국어인식을 구체적인 항목을 사례별로 제시하며 면밀하게 밝혔고, 황윤석의 문학활동은 판본 이재난고와 본원 간행본 이재난고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영조 말 정조초의 정국동향을 이재난고와 실록자료의 비교 분석을 통해 치밀하게 탐구하였다. 교육사는 조선후기 성균관과 서원의 교육활동, 과거제의 모습을 해명하였고, 경제사는 황윤석의 경제생활의 특징, 경제환경, 선택행위, 그 결과로서 경제생활의 특질과 변화의 계기를 밝혔다.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 회화작품의 작가, 작품, 회화기록, 회화경험의 인식과 유형의 성격을 밝혔고, 황윤석을 18세기에 신과학을 이해한 천문학자로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황윤석의 사상경향은 心性에 대한 연구를 주요 축으로 하는 성리학을 全體로 삼고 천문학, 수학 등 자연과학에 대한 광범한 이해와 수용을 大用으로 삼았던 학자로 평가하였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