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모노그래프과제 | ||
---|---|---|---|
과제코드 | 2003-32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경일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3-04-01 ~ 2003-11-30 | 연구형태 | 단독저술 |
연구목적 및 배경 | 이 연구는 최근 관심의 대상으로 부상하고 있는 일제 시기 신여성 연구의 일환으로 그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쟁점들을 염두에 두면서 구체적인 연구들을 통하여 그러한 쟁점들을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여성의 문제영역에서 근대성과 전통의 문제와 아울러 식민지에서 페미니즘과 민족주의의 교차 문제, 또는 식민지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신여성의 사랑과 결혼, 그리고 가족 생활에 나타난 여러 쟁점들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당시의 통계와 문헌 자료들, 잡지와 신문들에 대한 내용분석에 주로 의거한다. 이와 아울러 당시 서구 페미니즘의 이론적 조류들과 인물들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서구의 페미니즘 이론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자가 직접 수집하지는 않았지만 기존의 연구들에서 구술사적 연구방법을 통해 수집된 여러 자료들(예컨대 조성숙 1991, 조은 1991, 이광자 1991, 강득희 1991)도 부분적으로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내용 이 연구는 앞에서도 말했듯이 신여성과 관련하여 전통의 문제와 아울러 식민지에서 근대성과 페미니즘 및 민족주의의 상호 중첩적 관계와 아울러 식민지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신여성의 사랑과 결혼, 그리고 가족 생활에 나타난 여러 쟁점들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결혼과 이혼의 실태와 현상에 관련된 구체적 사실들을 당시의 통계와 자료들에 의거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다음에는 결혼과 이혼, 성과 가족 생활에 관련하여 근대적인 서구의 페미니즘 사상을 이들이 어떻게 받아 들이고 그것을 식민지 사회에 적용하고자 했는지, 그리고 그것의 해석과 실행과정에서 어떠한 쟁점과 비판들이 제기되었는가 등의 문제를 해명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신여성들이 결혼과 가족 생활에서 어떠한 문제들에 부딪혔으며, 또 그것을 비판,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결혼 · 가정의 형태들이 어떠한 것들이 있었는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다음에는 식민지라는 특수성에서 여성의 결혼과 가족에 당면하였던 여러 문제들은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가 잠정적으로 상정하고 있는 목차와 연구 구상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1. 서론 2. 결혼과 가족의 실태와 현상 3. 페미니즘과 대안적 형태들 4. 식민지적 특수성 5. 결론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현재 본 연구자는 집필을 위한 기본 자료의 수집과 정리, 통계자료의 전산화 등을 진행하고 있다. 이 부분의 작업이 대충 끝나고 본격적인 집필 작업에 들어가면서, 위의 조사, 수집, 정리 작업을 계속 병행해 나가려고 하는데, 올해에는 우선 일제하 신여성의 결혼과 가족 문제를 둘러싼 쟁점에서 우선 여성 일반을 둘러싼 결혼과 조혼 및 이혼에 관련된 기초 통계 자료들에 대한 정리와 분석을 마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이들 3개의 장 및 참고문헌까지를 포함한 원고를 제1차연도의 결과물로 제출하기로 하였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