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3-31
연구과제명
  • 국문 : 아시아적 가치논쟁 : 논쟁의 추이와 주요쟁점에 관한 비판적 검토
  • 영문 : -
연구책임자 박흥기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3-05-01 ~ 2003-11-30 연구형태 단독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아시아적 가치에 관한 논쟁은 1970년대와 80년대에 경제기적을 謳歌했던 아시아에 1997년 이후 경제위기가 닥치면서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하였음. 아시아적 가치가 이처럼 경제현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엄밀한 학문적 개념이 아니며 흔히 정치가들에 의해 사용되었던 만큼 지금까지의 논쟁은 주로 철학자와 사회학자들의 참여로 진행되어 왔고 경제학자들의 관심을 크게 끌지는 못하여 논쟁의 주요 핵심 쟁점이 부각되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음. 여기에서는 아시아적 가치 논쟁이 경제발전과 정치발전 그리고 문화적 요인과의 상관관계 그리고 사회의 상이한 조직 원리에 대한 논쟁이라 보고 서구적인 것과 구별되는 아시아적인 제3의 조직원리의 존재 가능성 여부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함.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가치 및 제도와 관련된 개념의 계량화의 어려움 때문에 定性的 결론을 얻기 위한 비교적 방법(comparative method)이 주로 사용될 예정

 

 

연구내용

   서구화의 본질적 의미를 도외시하고 아시아의 고유한 가치만을 앞세운 근대화는 체제의 운용비용을 높여 세계화 시대의 무한 경쟁에서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I. 서론

      - 문제의 제기와 서술 방식

   II. 아시아적 가치 논쟁의 전개 과정

      - 경제기적과 유교자본주의

      - 경제위기와 아시아적 가치

      - 유교적 가치와 동아시아적 가치 그리고 아시아적 가치

      - 서구적 가치와 아시아적 가치 그리고 보편적 가치에 관한 저간의 논쟁

   III. 아시아적 가치 논쟁의 주요 쟁점

      - 서구화와 근대화

      - 방법론적 전체주의와 방법론적 개인주의

      - 天命思想人權思想

      - 정부와 시장의 역할

   IV. 문화와 가치 그리고 제도와 경제적 성과와의 상호관계

      - 신제도경제학과 비교경제학의 분석도구를 이용한 상호관계의 체계화

      - 제도의 선택: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의 제고 방안

   V. 아시아적 사회조직 원리의 문제점

   VI. 결론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I. 서론

II. 아시아적 가치 논쟁의 전개 과정과 주요 쟁점

   1. 전개과정

      1.1 아시아적 가치와 경제 기적 유교자본주의

      1.2 아시아적 가치와 경제 위기 정실자본주의

   2. 주요 쟁점

III. 아시아적 가치의 잠정적 의미

IV. 문화와 제도 그리고 경제적 성과의 상호관계

V. 아시아적 가치와 경제적 성과

VI. 결론

연구결과

   당초 연구계획에 따라 순조롭게 연구가 진행되었음처음 예견했던 대로 아시아적 가치는 다루고 있는 개념들과 방법론적인 어려움 때문에 주요 쟁점 가운데 어느 것도 실증되었거나 반증되지 못한 상태에 있음다만 문화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켜 경제학과 다른 사회과학들과의 학문적 연계 가능성을 높혔다는 데 논쟁의 의미가 있다고 봄.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