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모노그래프과제 | ||
---|---|---|---|
과제코드 | 2003-30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이상훈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3-03-01 ~ 2003-11-30 | 연구형태 | 단독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전환기의 시점에 처해있는 한국 기독교는 한국과 세계사적 범주에서 논의되는 제반 문화적 창출물들에 대한 신학적 안목으로의 비평을 통해 ‘문화화’ 되어야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이 같은 요구에 부응하는 방법론의 모색이 역사적, 철학적 지평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주로 성서신학적, 역사신학적, 종교철학적 논의를 통해 상기의 요구에 부응하는 방법론을 폭넓게 모색해 보고자 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단독연구로 진행하되 주로 문헌연구, 특히 현대 문예 비평학 연구 이론에 대한 검증과 이를 통한 문화의 신학적 함의 등에 대한 기초 연구와 이를 기반으로 신학적, 종교철학적 논의의 전개를 진행한다.
○ 연구내용 신학적 문화 비평의 전통 종교학과 신학의 범주에서도 익숙하지 않다. 이 같은 점에서 문화비평이론을 주로 전통적 신학 장르와의 대화에서 찾는 본 고의 시도는 희소성과 독창성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신학의 장르가 최근 문화에 관심을 갖게 되는 폭넓은 문화사적 배경과 종교철학적 담론들의 형성과정, 그리고 포스트모던적 상황에서 제기되는 신학적 과제들에 대한 논의, 문화비평의 신학적 모색의 타당성 등이 검토될 것이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I. 序 II. 복음과 문화, 그 상관성에 관한 제 논의 II-1. 성서적 인간, 문화적 위임(Cultural Mandate) II-2. 텍스트와 컨텍스트 사이에서 II-3. 종교 다양성과 문화 보기 III. 역사적 기독교와 ‘복음-문화’ 관계의 지평 III-1. 대립적-파종 유형으로서의 ‘복음-문화’ III-2. 일치적-합류 유형으로서의 ‘복음-문화’ III-3. 종합, 역설적-접목 유형으로서의 ‘복음-문화’ III-4. 변혁적-발효 유형으로서의 ‘복음-문화’ IV. 신언(神言)과 시대적 맥락 사이 IV-1. 선택? 어떻게? IV-2. 반성적 추론이 남긴 후속 과제 IV-3. 파뱅에게서 배우는 현대 기독인의 삶과 변증 V. 結
|
||
연구결과 | 본 연구에서는 전통 신학의 핵심 장르가 되는 성서 신학적 논의를 시작으로 각각 역사적, 조직적 관점으로 ‘신학의 문화에 대한 비평적 논의’에 대한 방법론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비평이론의 핵심인 니이버와 한국적 문화신학의 형성을 모색하는 김경재의 이론 등을 주로 면밀하게 검토하고, 이들이 제기하는 신학 방법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고, 아울러 반성적 사유를 통하여 얻어지는 신학의 통찰이 실제 실천적 삶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아울러 논하였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