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3-29
연구과제명
  • 국문 : 『역경』의 旣濟와 未濟의 특성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경일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3-03-01 ~ 2003-11-30 연구형태 단독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역경64괘에서 호괘는 16괘이며 이 16괘는 · · 旣濟 · 未濟4괘로 귀결된다. 이는 64괘의 본체가 四象임을 의미한다. 노양은 건이 되고 노음은 곤이 되고 소음은 旣濟가 되며 소양은 未濟가 된다. 이 건 · · 기제 · 미제가 사상의 으로써 역경을 주관하게 된다. 역경의 마지막 괘인 旣濟와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는 未濟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서론

2. 旣濟 · 未濟卦의 구성

3. 旣濟卦의 논리

4. 未濟卦의 논리

5. 결론

연구결과

   이 두 괘를 相比하여 추구한 바, 기제괘는 六爻位64괘 중에서 완전히 合當한 완성괘이며, 미제괘는 六爻位가 모두 불안정하므로 미완성괘이다. 기제괘는 감통하므로 相生 논리가 성립하며, 미제괘는 感通하지 않아 相克논리가 되는 것이다. 평면적으로 관찰하면 기제와 미제는 그 반대이나 입체적으로 보면 두 괘는 서로 왕래하는 것이다. 기제 즉 미제, 미제 즉 기제가 되므로 서로 끝없이 상호작용을 한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