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2003-19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권희영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3-03-01 ~ 2003-11-30 | 연구형태 | 공동연구과제 |
연구목적 및 배경 | 중앙아시아 한인들 사이에서는 고본지를 행하는 고본쟈들이 성행하는 바 이는 투기적인 성격이 강한 임차농업을 의미한다. 이는 한인 사회의 특성을 이루고 있다. 이 현상을 특별히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이같은 성격의 농업이 한인사회에서는 이미 1960년대부터 이루어졌고 그후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에도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이는 한인들의 역사적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아울러 현재 한인사회의 동학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간주되는 바 이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본 주제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보고가 거의 없기 때문에 현지 참여 조사가 불가피하다. 이를 위하여 약 1달간 예정으로 참여관찰을 통한 사례연구를 행할 것이다.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을 중심으로 하여 한인들의 고본지 농업을 추적하고 이를 충실히 기술하고 이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의 문화적 전통과 관계하여 한인사회에서의 고본지 발달과 원인, 고본지가 한인 사회의 동학에 기여한 부분, 문제점 등을 분석할 것이다.
○ 연구내용 고본쟈들의 역사, 생활환경, 노동 및 자본의 조직, 이윤의 획득, 가정 생활 사회문제 등을 역사학적-인류학적으로 검토하여 고본쟈의 특성이 중앙아시아 한인 사회에 어떤 영향을 주며 어떠한 특성을 형성하는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 및 현장 조사를 병행한다. 대략 다음과 같은 항목의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1. 한인사회에서의 고본지 발달의 역사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서론(권희영, 발레리 한) 제1장 고본지 연구의 사료편찬과 방법론(발레리) 제2장 고본지의 전사(前史)와 발생(발레리) 제3장 고본쟈와 고본지의 조직(권희영) 제4장 고본지의 특성과 한인사회(권희영) 제5장 고본지의 오늘과 한인들(발레리) 결론(권희영, 발레리 한) |
||
연구결과 | 중앙아시아 한인들의 독특한 생활조건에서 비롯된 독특한 생존방식이 고본지이며 그것은 현재에도 한인들의 주요 생계수단이다. 그러나 현재 유랑형 고본지는 점차 효력을 상실하고 있으며 도시 주변의 정착형 고본지도 나타나고 있으나 적정한 자본 투입이 어려운 조건에서 변화의 기로에 서 있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