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3-18
연구과제명
  • 국문 : 한민족 문화자원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양명
공동연구자
  • 김진용 / 중국 언변대학교 경희대정보통신대학원 / 교수
  • 박홍기 / 경원대학교 / 교수
  • 유승호 / 한국게임산업개발원 / 산업진흥본부장
연구기간 2003-03-01 ~ 2003-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과제
연구목적 및 배경

   한민족은 세계에서 사실상 유일하게 민족분단의 극복이라는 미결의 과제를 안고 정보화시대에 발을 들여 놓았다. 인류에게 불가항력적 장애물로 간주되어 오던 시간적 격차와 공간적 거리를 크게 해소하면서 인류생활의 모든 국면을 급격한 변화의 소용돌이에 몰아넣고 있는 정보기술혁명은 민족통합을 촉진하는 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도구로 기능할 것이 분명하다. 정보통신기술은 민족의 동질성을 복원하고 공존공영의 기반을 다지며 민족의 궁극적 통합을 실현하는 데에 어떻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인가? 남북한을 포함하는 우리 민족은 이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 것인가? 이 연구는 주로 민족문화자원의 정보화라는 관점에서 위의 문제들을 검토하려 한다. 이 연구는 민족정체성의 가장 중요한 근원을 이루는 한민족 공동의 문화유산정보, 문학언어정보, 지역정보 등 세 가지 측면에서의 정보화를 위한 협력방안과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아갈 인력양성을 위한 공동협력의 문제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1) 현황자료 조사
   2) 관련전문가 및 정책당국의 견해수집
   3) 토의 및 자문
   4) 비평적 검토 및 종합

 

○ 연구내용

   1. 한민족 문화유산 정보화 방안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김양명)
      - 서론: 연구의 목적과 의의
      - 한민족 문화유산정보의 현황과 문제점
      - 통합정보시스템의 구상과 남북협력의 기본방향
      - 구체적 방안
      - 결론

   2. 한민족의 문학언어정보 통합시스템 구축을 위한 방안 (연변대/경희대 김진용)
      - 한민족의 말과 글: 이질화의 현황
      - 통합을 위한 범민족적 협력의 기본방향과 전략
      - 구체적 방안들 (자판, 폰트, 문서작성프로그램, 사전 등)

   3.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정보화를 위한 남북간 협력방안 (한국게임산업개발원 유승호)
      - 남북한의 멀티미디어 및 정보화 기술 활용 및 인력양성 현황
      - 인력양성 및 활용을 위한 협력의 방향, 방법, 문제와 대책제시

   4. 한반도 지리 · 지역정보 통합시스템 구축을 위한 협력방안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동준)
      - 한반도 지리/지역정보자원의 개발 및 활용 현황
      - 남북간 정보화협력의 기본방향 및 구체적 방안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제 1 장 한민족 문화유산 정보화 방안     / 김양명(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교수, 사회정보학)
제 1 절 연구의 목적과 의의
제 2 절 민족문화의 정보화
   1. 민족문화와 민족정체성
   2. 민족문화의 역사적 과제
   3. 민족문화와 정보화
제 3 절 민족문화 자원의 디지털화를 위한 공동협력
   1. 민족문화자원 디지털화 사업의 배경과 몇 가지 기본전제
   2. 디지털 민족문화공동체(Digital Koreana): 사업의 의의
   3. 디지털 민족문화공동체(Digital Koreana)의 구성과 운영
   4. 전망

 

제 2 장 한민족 문학 언어정보 통합시스템 구축 방안     / 김진용(연변대학교 · 경희대학교 교수, 국어학 · 사회정보학)
제 1 절 한민족의 말과 글: 남북 언어 이질화 현황
   1. 언어의 사실상의 이질화 실태
   2. 언어의 제도적 측면의 이질화
   3. 정보 처리 기술 표준의 이질화
제 2 절 언어정보 통합시스템 구축을 위한 범민족적 협력의 기본 방향과 전략
   1. 자모표의 미래 지향적인 수정
   2. 어문 관련 규정 수정의 단계적 추진
제 3 절 언어 정보 통합 과도기의 준비 작업
   1. 내용적 측면의 차이를 극복하는 방안
   2. 과도기의 도구적 측면의 차이를 극복하는 방안
결 론

 

제 3 장 한반도 지리 · 지역정보 통합시스템 구축 방안     / 박홍기(경원대학교 교수, 지리학)
제 1 절 북한의 지형 현황
   1. 한반도의 지형
   2. 북한의 산림실태
   3. 북한의 수자원 개발실태
   4. 북한의 교통
제 2 절 북한의 측량 및 지도제작
   1. 북한의 측량제도
   2. 북한의 토지 및 지적제도
제 3 절 북한의 IT산업과 GIS
   1. 북한 IT산업의 현황
   2. 북한의 정보화 현황과 전망
   3. 북한의 지리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제 4 절 한반도 통합 지리 · 지역정보시스템
   1. 한반도 지도정보
   2. 국가지리정보체계구축사업
   3. 통합상의 문제점
   4. 통합정보시스템 구축방안
제 5 절 소결론

 

제 4 장 한민족 문화 · 예술부문 통합정보화를 위한 남북간 협력방안     / 유승호(한국게임산업개발원 산업진흥본부장)
제 1 절 남북한 문화교류 철학과 IT문화교류의 지향점
   1. 문화교류와 문화교류정책의 철학 : 통일독일과 캐나다의 사례
   2. 남북한 문화교류의 지향점: IT문화교류
제 2 절 남북한 IT문화 및 문화정보교류 현황과 과제
   1. 남북 IT문화교류 현황
   2. 남북 IT문화콘텐츠교류의 시범사례 : 애니메이션 공동제작
   3. 남북 IT문화교류 및 문화정보구축의 방향 (한민족 통합을 위한 구축과제)
   4. 한민족 통합을 위한 문화정보 구축의 의미

연구결과

원래의 계획과 같음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