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5-16
연구과제명
  • 국문 : 시민공동체연구, Ⅲ : 일반시민의 사회참여와 봉사
  • 영문 : -
연구책임자 한도현
공동연구자
  • 박영도 / 본원, 기초학문 / 연구원
  • 윤상철 / 한신대학교, 사회학과 / 부교수
  • 이기홍 /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 전임강사
  • 이선미 / 한양대학교, 제3섹터 / 연구교수
연구기간 2005-04-22 ~ 2005-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본 연구는 한국의 시민사회 발전 특히 시민공동체의 발전을 위한 정책 계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시민 사회 각 주체들의 사회참여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참여확대 방안 내지 시민정신 계발 방안을 탐구하여 한국사회의 시민정신 함양에 기여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시민공동체 발전 연구의 제3차 년도 과제이다. 3차연도인 본 연구에서는 시민사회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인 일반시민들의 사회참여와 봉사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시민공동체 발전을 위해 시민들의 참여와 봉사 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사회자본론의 공익적 관점의 한계를 지적하고 표출적 행위와 상호인정의 장으로서 결사체참여를 강조하며 성남시 주민들의 지역결사체 참여, 젠더간의 차이, 사회자본과 삶의 만족도, 공동체 정신과 지역사회의 참여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05년 8월 16일부터 9월 25일까지 성남시 19세 이상 성인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머리말(한도현, 본원 부교수)

○ 민주적 인륜성과 시민참여 : 이론적 고찰과 개념적 제안(박영도, 본원 연구원)

○ 연구대상, 지역의 특징, 연구방법, 자료(한도현, 본원 부교수)

○ 지역시민들의 사회참여의 유형과 성격(윤상철, 한신대 부교수)

○ 지역공동체 참여와 젠더(이선미, 한양대 연구교수)

○ 사회자본, 신뢰, 참여, 그리고 삶의 만족(이기홍, 한림대 전임강사)

○ 공동체 정신과 지역사회 참여(한도현, 본원 부교수)

○ 결론(한도현, 본원 부교수)

○ 부록 1(통계자료)

○ 부록 2(설문지)

 
연구결과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가운데 지난 1년 동안 자원봉사경험이 있는 사람은 12.3%로 조사되었다. 다른 사회조사보다 자원봉사참가율이 낮게 보고되었다. 지난 1년간 기부경험자는 34%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를 근거로 볼 때, 한국사회의 지역시민들의 사회단체 접촉 비율은 예상보다 높게 나왔으며 젊고 고학력이며 사무직, 생산직 종사자들일수록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실제로 지역시민들은 시민단체 등 사회운동단체보다는 각종 친목회, 계모임, 동창회, 향우회, 종친회, 스포츠, 취미관련 동호회 등을 중심으로 2개 이상의 단체에 참여하고 있다. 결사체참여에서 젠더 차이도 나타나고 있다. 현실적으로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조직화의 조건이 젠더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말한다. 즉 지역공동체발전을 위해서는 젠더간 특성도 고려해야 한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