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3-12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인의 일상생활연구 II
  • 영문 : -
연구책임자 은기수
공동연구자
  • 오만석 / 사회교육연구실 / 교수
  • 김복수 / 사회교육연구실 / 교수
  • 김정석 / 동국대학교 사회학과 / 조교수
  • 이윤석 / 성균관대학교 / 전임연구원
연구기간 2003-05-01 ~ 2003-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과제
연구목적 및 배경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일상생활을 구체적인 자료에 근거해 밝히고자 하는 데 있다. 한국인과 한국사회의 특성은 주요 연구관심 분야인 제도, 구조 등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일상생활과 같이 별로 관심을 기울여오지 않은. 어쩌면 지금까지는 무시되어온 분야에서 한국인, 한국사회의 특성이 만들어지고 유지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우리 자신이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에 현대 한국인의 일상생활에 관해서는 누구나 잘 아는 것처럼 생각하지만, 막상 한국인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영위될까 라는 질문을 받는다면 누구도 자신 있게 한국인이 하루하루를 어떤 맥락 속에서 생각하고, 행위 하면서 살아가는지 말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학계의 연구에서 무시되어 왔지만, 한국사회와 한국인의 특성을 가장 잘 드러내주는 현대 한국인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이 연구는 4만명 이상이 참여한 99생활시간조사 자료를 분석한다. 각 응답자는 매 10분 간격으로 자신들의 시간-일기(time-diary)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한 사람당 하루 최대 144 record를 제공하였고, 동시행동까지 포함하면 하루 최대 288 records를 제공한다. 일인당 이틀씩 생활일기를 썼기 때문에 한 사람당 거의 600 records를 제공하는 셈이다. 전체 응답자가 4만명이 넘는데, 4만명으로 잡아도 원자료의 양이 24.000.000 records에 달하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된다. 이 원자료를 SAS나 SPSS로 불러 읽어 system data file로 만들어 새로운 변수를 만들어 분석할 것이다.

 

 

○ 연구내용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인의 일상생활에 관한 연구는 크게 이론적 연구와 경험적 연구로 나뉜다. 이론적 연구는 주로 프랑스에서 발달한 일상생활에 관한 이론 및 현상학 등의 관점에 연구에 기반하여 일상생활에 관한 이론을 정리, 소개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졌다. 경험적 연구는 일상문화연구회가 펴내 두 권의 책이 있다. 그러나 경험적 연구는 모두 연구자 각자의 개인적인 경험과 피상적 관찰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이 연구는 한국인의 일상생활을 자료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서 1999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분석한다. 통계청은 4만여명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각 사람당 이틀씩 매 10분 간격으로 자신들의 시간-일기를 쓰도록 했다. 그 결과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평일과 주말을 모두 포함하여 한국인들이 매일 10분 간격으로 무엇을 하고 지내는지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를 만들어냈다. 이 전에도 한국방송공사는 1980년부터 매 5년 간격으로 국민생활시간조사를 했고, 그 보고서를 만들었다. 이 자료들은 모두 한국인들이 매일의 삶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고 살아가고 있는지 알려준다.

   이 자료는 비단 개인적인 차원에서 성, 연령, 교육수준, 직업 등에 따라 일과 여가를 어떻게 조화시키고 있는지 보여줄 뿐만 아니라 부부간에 함께 보내는 시간과 내용은 무엇이고, 따로 떨어져서 보내는 시간과 그 내용이 무엇인지도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가족주의적인 성향이 강한 한국 사회에서 가족이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경우는 하루 생활 중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그 내용은 무엇인지도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 즉, 개인단위에서뿐만 아니라 부부단위, 그리고 가족단위에서 한국인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할 수 있다.

 

   이 연구는 3개년도 과제이다. 제1차연도인 2002년에는 개인 수준에서 한국인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주로 일과 여가라는 측면에서 한국인들은 개인적으로 일상생활을 어떻게 영위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제2차연도인 2003년에는 결혼을 한 부부를 단위로 일상생활을 어떻게 이루어가고 있는지 분석할 것이다. 연령, 교육수준, 직업 등 여러 차원에서 부부가 함께 보내는 시간과 내용은 무엇이고, 따로 보내는 시간과 내용은 무엇인지 분석할 것이다.

   제3차연도에는 가족단위로 한국인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분석한다. 개인적인 수준에서의 일상생활이나 부부단위의 일상생활은 가족단위의 일상생활과 분리될 수 없다. 그러나 가족단위로 한국인의 일상생활을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자료가 없거나 자료가 있어도 분석의 어려움에 기인한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가족을 단위로 한국인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분석하려고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한국 학생들이 일상생활에 관한 연구 ㅡ하루 시간 사용을 중심으로ㅡ   / 오만석(본원 교수)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가. 연구의 내용
   나.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결과 및 해석
   가. 하루 생활시간
   나. 수면과 학습
   다. 가사참여와 사회봉사
   라. 여가활동
   마. 기타활동
4. 요약 및 논의

 

▨ 한국 20대 미혼자의 일상생활연구   / 은기수(본원 조교수)
1. 머리말
2. 일상생활연구의 쟁점
   (1) 일과 여가
   (2) 유급노동과 무급노동의 관계
3. 자료 및 연구대상자의 기본 특성
4. 20대 미혼자의 일상생활의 개관 : 행동유형별 평균 소요시간
5. 유급노동시간과 다른 행동 시간과의 관계
   (1) 유급노동시간과 수면시간과의 관계
   (2) 유급노동시간과 자유시간과의 관계
6. 맺는말 및 이 연구의 한계

 

▨ 한국인 부부의 일상생활 연구 ㅡ만 20세 이상 59세 이하 부부의 노동시간과 여가시간을 중심으로ㅡ   / 김복수(본원 교수)
1. 서론
2. 기존연구의 검토
3. 일상생활에서의 노동시간과 여가시간
4. 분석 : 만20세 이상 59세 이하 한국인 부부의 일상생활 ㅡ노동시간과 여가시간을 중심으로ㅡ
   가. 조사대상자
   나. 한국인 부부의 노동시간
   다. 한국인 부부의 여가시간
5. 요약 및 논의
   가. 한국인 부부의 노동시간
   나. 한국인 부부의 여가시간
   다. 논의 및 제언

 

▨ 이혼자의 시간 사용에 대한 연구: 기혼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윤석(성균관대학교 서베이리서치센터 전임연구원)
1. 서론
2. 이혼자의 인구학적 특징
3. 자료 및 연구대상
4. 이혼자와 기혼자의 사회 · 경제적 비교
5. 이혼자와 기혼자의 시간 사용 비교
6. 결론

 

▨ 한국 노인들의 일상생활   / 김정석(동국대학교 조교수)
1. 들어가는 말
2. 자료 및 표본 특성
3. 분석결과(1) : 주관적으로 느끼는 시간
4. 분석결과(2) : 생활시간량
5. 분석결과(3) : 생활시간대
6. 연구의 한계 및 발전방향

연구결과

   올해 다섯명의 연구자가 10대(초중고, 대학생), 20대 미혼자, 기혼부부, 이혼자, 노인 등 생애과정의 각 생애단계별로 일상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기본적으로 개인유지활동, 일과 학습, 무급노동, 여가 및 이동이 주중과 주말에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성, 연령, 사회경제적 상태 등의 독립변수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생애단계별로 일상생활이 동질적인 측면과 이질적인 측면으로 분명히 구별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참고문헌

Bennett, Tony et. al., 1999. Accounting for Tastes: Australian Everyday Cultu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h 1. "Theorizing Culture" Bianchi, Suzanne b., Melissa a. Milkie, Liana C. Sayer, and John P. Robinsom. 2000.
"Is Anyone Doing the Housework? Trends in the Gender Division of Household Labor" Social Forces 79(1)
Bird, Chloe E., and Allen M. Fremont. 1991. "Gender, Time Use, an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2(June):114-129.
Bittman, Michael, and Judy Wajman. 2000. "The Rush Hour: the Character of Leisure Time and Gender Equity" Social Forces 79(1)
Carrasco, Cristina, and Albert Pecio. 2001. "Time, Work, and Gender in Spain" Time and Society 10(2/3):277-301.
Clarkberg, Marin, and Phyllis Moen. 2001. "Understanding the Time Squeez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 44, No. 7.
Fagan, Colette. 2001. "The Temporal Reorganization of Employment and the Household Rhythm of Work Schedules"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 44, No. 7.
Hochschild, Arlie. 1997. The Time Bind. When Work Becomes Home and Home Becomes Work. Metropolitan Books.
Juster, F. Thomas, and Frank P. Staffod. 1991. "The Allocation of Time: empirical Findings, Behavioral Models, and Problems of Measurement"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vol. XXIX(June): 471-522.
Kingston, Paul William, and Steven L. Nock. 1987. "Time Together among Dual-Income Coupl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2(3):391-400.
Maume, Jr., David J., and Marcia L. Bellas. 2001. "The Overworked American or the Time Bind?"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 44, No. 7.
Peters, Pascale. 1999. "Time Allocation in Times of Structural Transformation: A Synchronic View on Gender Differences in the Netherlands" Time and Society 8(2):329-356.
Prieto-Rodriguez, Juan, and Victor Fernandez-Blanco. 2000. "Are Popular and Classical Music Listeners the Same People?"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24:147-164.
Schor, Juliet B., 1993. The Overworked American: The Unexpected Decline of Leisure. Basic Books. Chs. 1-4, Pp.1-105.
Sullivan, Oriel and J. Gershuny. 2001. "Cross-National Changes in Time-Use: Some Sociological (Hi)Stories Re-examined,"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Vol. 52 No. 2, 331-347.
Bourdieu, Pierre. La Distinction (최종철 역, 『구별짓기: 취미와 취향의 사회학』, 새물결, 1995의 상)
김왕배, 『산업사회의 노동과 계급의 재생산 - 일상생활 세계의 불평등에 대한 성찰』, 한울, 2001.
장미혜, 『소비양식에 미치는 문화자본과 경제자본의 상대적 효과』, 연세대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2000.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