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2003-12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은기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3-05-01 ~ 2003-11-30 | 연구형태 | 공동연구과제 |
연구목적 및 배경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일상생활을 구체적인 자료에 근거해 밝히고자 하는 데 있다. 한국인과 한국사회의 특성은 주요 연구관심 분야인 제도, 구조 등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일상생활과 같이 별로 관심을 기울여오지 않은. 어쩌면 지금까지는 무시되어온 분야에서 한국인, 한국사회의 특성이 만들어지고 유지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우리 자신이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에 현대 한국인의 일상생활에 관해서는 누구나 잘 아는 것처럼 생각하지만, 막상 한국인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영위될까 라는 질문을 받는다면 누구도 자신 있게 한국인이 하루하루를 어떤 맥락 속에서 생각하고, 행위 하면서 살아가는지 말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학계의 연구에서 무시되어 왔지만, 한국사회와 한국인의 특성을 가장 잘 드러내주는 현대 한국인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이 연구는 4만명 이상이 참여한 99생활시간조사 자료를 분석한다. 각 응답자는 매 10분 간격으로 자신들의 시간-일기(time-diary)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한 사람당 하루 최대 144 record를 제공하였고, 동시행동까지 포함하면 하루 최대 288 records를 제공한다. 일인당 이틀씩 생활일기를 썼기 때문에 한 사람당 거의 600 records를 제공하는 셈이다. 전체 응답자가 4만명이 넘는데, 4만명으로 잡아도 원자료의 양이 24.000.000 records에 달하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된다. 이 원자료를 SAS나 SPSS로 불러 읽어 system data file로 만들어 새로운 변수를 만들어 분석할 것이다.
○ 연구내용 지금까지 이루어진 한국인의 일상생활에 관한 연구는 크게 이론적 연구와 경험적 연구로 나뉜다. 이론적 연구는 주로 프랑스에서 발달한 일상생활에 관한 이론 및 현상학 등의 관점에 연구에 기반하여 일상생활에 관한 이론을 정리, 소개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졌다. 경험적 연구는 일상문화연구회가 펴내 두 권의 책이 있다. 그러나 경험적 연구는 모두 연구자 각자의 개인적인 경험과 피상적 관찰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이 연구는 한국인의 일상생활을 자료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서 1999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분석한다. 통계청은 4만여명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각 사람당 이틀씩 매 10분 간격으로 자신들의 시간-일기를 쓰도록 했다. 그 결과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평일과 주말을 모두 포함하여 한국인들이 매일 10분 간격으로 무엇을 하고 지내는지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를 만들어냈다. 이 전에도 한국방송공사는 1980년부터 매 5년 간격으로 국민생활시간조사를 했고, 그 보고서를 만들었다. 이 자료들은 모두 한국인들이 매일의 삶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고 살아가고 있는지 알려준다. 이 자료는 비단 개인적인 차원에서 성, 연령, 교육수준, 직업 등에 따라 일과 여가를 어떻게 조화시키고 있는지 보여줄 뿐만 아니라 부부간에 함께 보내는 시간과 내용은 무엇이고, 따로 떨어져서 보내는 시간과 그 내용이 무엇인지도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가족주의적인 성향이 강한 한국 사회에서 가족이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경우는 하루 생활 중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그 내용은 무엇인지도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 즉, 개인단위에서뿐만 아니라 부부단위, 그리고 가족단위에서 한국인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할 수 있다.
이 연구는 3개년도 과제이다. 제1차연도인 2002년에는 개인 수준에서 한국인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주로 일과 여가라는 측면에서 한국인들은 개인적으로 일상생활을 어떻게 영위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제2차연도인 2003년에는 결혼을 한 부부를 단위로 일상생활을 어떻게 이루어가고 있는지 분석할 것이다. 연령, 교육수준, 직업 등 여러 차원에서 부부가 함께 보내는 시간과 내용은 무엇이고, 따로 보내는 시간과 내용은 무엇인지 분석할 것이다. 제3차연도에는 가족단위로 한국인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분석한다. 개인적인 수준에서의 일상생활이나 부부단위의 일상생활은 가족단위의 일상생활과 분리될 수 없다. 그러나 가족단위로 한국인의 일상생활을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자료가 없거나 자료가 있어도 분석의 어려움에 기인한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가족을 단위로 한국인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분석하려고 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한국 학생들이 일상생활에 관한 연구 ㅡ하루 시간 사용을 중심으로ㅡ / 오만석(본원 교수)
▨ 한국 20대 미혼자의 일상생활연구 / 은기수(본원 조교수)
▨ 한국인 부부의 일상생활 연구 ㅡ만 20세 이상 59세 이하 부부의 노동시간과 여가시간을 중심으로ㅡ / 김복수(본원 교수)
▨ 이혼자의 시간 사용에 대한 연구: 기혼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윤석(성균관대학교 서베이리서치센터 전임연구원)
▨ 한국 노인들의 일상생활 / 김정석(동국대학교 조교수) |
||
연구결과 | 올해 다섯명의 연구자가 10대(초중고, 대학생), 20대 미혼자, 기혼부부, 이혼자, 노인 등 생애과정의 각 생애단계별로 일상생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기본적으로 개인유지활동, 일과 학습, 무급노동, 여가 및 이동이 주중과 주말에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성, 연령, 사회경제적 상태 등의 독립변수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생애단계별로 일상생활이 동질적인 측면과 이질적인 측면으로 분명히 구별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
||
참고문헌 | Bennett, Tony et. al., 1999. Accounting for Tastes: Australian Everyday Cultures.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