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2005-15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정영훈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5-05-02 ~ 2005-11-30 | 연구형태 | 공동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이 연구는 한국사를 통하여 제기되어왔던 탈민족주의적 사조의 양상과 논리를 시기별로 살피고 그 정비방향을 모색해 보는 데에 목적이 있었음. 한국사를 통하여 민족주의는 민족적 자주독립과 통일 및 민주화와 근대화의 방향으로 역사를 진전시킨 동력으로 기여해왔고, 구성원 개개인들에게도 민족의 일원으로의 소속감과 정체성을 부여해왔지만, 민족주의와 세계관적 배경을 달리하는 다양한 사상조류들에 의해 공격당하기도 했었음. 민족주의를 거부하고 배척한 조류들의 흐름과 논리를 정리-분석하는 일은 한국의 민족주의를 정비해야 한다는 실천적 과제와 관련하여 의미있으며, 한국의 사상사-정신사를 체계화하는 순수학문적 과제에도 기여하는 바 크다고 하지 않을 수 없음.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를 통하여 민족주의를 배척하거나 그 진전을 저해하였던 사상조류는 어떤 것들이 있었으며 그들이 갖고있던 논리와 대안은 무엇이었고 어떤 취약점을 갖고있는지 하는 것을 살피고, 그를 통하여 한국에서 민족주의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시사받고자 하였음.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내용(소주제) / 연구자(소속) 1. 한국사 속에서의 민족과 탈민족 / 정영훈(본원) 2. 일제하의 민족주의와 탈민족주의 / 강병수(본원) 3. 냉전시대의 한국민족주의의 존재양상 / 남광규(고려대) 4. 21세기 한국에서의 탈민족주의 사조들 / 임형진(경기대) 5. 신민족주의론의 민주주의 / 유병용(본원)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한국사 속에서의 민족과 탈민족(정영훈, 본원 교수) 1. 머리말 2. 민족주의의 개념과 본질 3. 한국사 속에서의 민족주의 4. 한국사 속에서의 탈민족주의 사조들 5. 맺음말
○ 신민족주의론의 민족주의(유병용, 본원 교수) 1. 머리말 2. 단재사학과의 관계 3. 신민족주의 사상의 형성 4. 신민족주의사관의 성립 5. 신민족주의의 성격 6. 맺는말
○ 일제하의 민족주의와 탈민족주의(강병수, 본원 연구원) 머리말 제1장 민족주의의 개념 설정 문제 제2장 민족주의의 전개 제3장 탈 민족주의의 성격과 궁극적 지향 맺음말
○ 냉전기 한국민주주의의 존재양상과 평가(남광규, 매봉통일연구소) Ⅰ. 냉전기 한국민족주의 – 분단, 냉전극복 관점에서의 평가 필요성 Ⅱ. 분단극복의 관점에서 본 민족주의의 성격 – 해방기 중간파 정치노선 Ⅲ. 냉전 시기 남북한 통일정책의 성격과 평가 Ⅳ. 냉전 붕괴 전후의 남북한 통일정책의 변화와 평가 Ⅴ. 분단극복을 위한 민족주의 – 국제세력의 협력유도와 남북관계의 제도화
○ 21세기 한국에서의 탈민족주의 사조들(임형진, 경기대 교수) 1. 서언 2. 한국민족주의의 특징과 기능 3. 세계화와 탈민족주의 사조 4. 탈민족주의론의 한계와 민족주의의 유용성 5. 결론 |
||
연구결과 |
당초의 계획대로 마무리되었음.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