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2005-14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정윤재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5-04-22 ~ 2005-11-30 | 연구형태 | 자체공동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세종시대의 국가경영과정을 실록에 의거해 핵심주제를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그 내용을 한권의 책으로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착수되었음.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시기는 크게 <태종의 상왕기, 1418-1422)와 <세종의 친정기, 1422-1450)로 구분함. - 주요 내용은 세자교체 및 양위과정, 양녕대군 문제의 사후처리과정, 과학기술 정책 수립추진과정, 파저강 지역 여진토벌 및 4군 6진 설치과정, 세제개혁 관련 여론조사 및 공법 실시 과정, 예악정책 추진과정, 훈민정음 제정과정, 세자섭정 및 첨사원 설치과정, 내불당설립과정 등으로 정리함.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세종시대 연포(안)
【1부】 Ⅰ. 시기별 개관(세종 즉위년~15년 9월) Ⅱ. 양녕의 폐위, 태종의 전위, 세종의 즉위 1. 양녕의 폐위 2. 세종의 즉위 Ⅲ. 강상인/심온 사건 : 태평성세를 위한 희생양
【2부】 Ⅰ. 사대: 굴욕, 정성, 시눙, 기만, 존경 Ⅱ. 대일관계와 대마도 정벌 1. 대일관계 2. 왜구와 대마도 정벌 : 위세와 허세성세를 위한 희생양 Ⅲ. 대여진 관계와 파저강 정벌
【3부】 Ⅰ. 약자에 대한 연민 : 민생, 구휼, 형옥 Ⅱ. 협의와 판단 : 집단과 성찰의 지혜
제4강 개혁과 개척 Ⅰ. 개관 Ⅱ. 주요문제 발췌와 해설 1. 4군 6진 개척 2. 세제개혁을 위한 법제 마련 3. 경연(經筵)에 오른 풍수지리 논쟁
제5강 설득과 분산 Ⅰ. 개관 Ⅱ. 주요내용 발췌와 해설 1. 권력구조와 정치운영 방식 2. 김종서와 세종 : 정치와 모함, 그리고 죽음
제6강 결실과 그늘 Ⅰ. 개관 Ⅱ. 주요내용 발췌와 해설 1. 비밀 프로젝트 훈민정음 창제 2. 원손의 탄생과 세자빈의 사망 3. ‘불교신도’ 세종의 유교정치 4. 왕의 최후, 그리고 후계자 문제 |
||
연구결과 |
- 상기한 바와 같은 당초 연구계획을 달성하였으나, 내용분량이 많아 조정할 필요가 있음. - 동시에 연구과정에서 <세종시대 연보>가 불실한 것을 발견하고 관련문헌을 참고로 새로 작성하였음.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