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5-13
연구과제명
  • 국문 : 조선시대 정치사상사 자료선집 편찬 및 해제(3) : 개항기편
  • 영문 : -
연구책임자 강광식
공동연구자
  • 신복룡 / 건국대학교 / 교수
  • 이상익 / 영산대학교 / 교수
  • 김현철 / 고려대학교 / 연구조교수
연구기간 2005-04-22 ~ 2005-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 조선시대 개항기 자료들을 정치사상사 관련 주제별로 수집, 발췌·정리하여 편집하되 편집된 자료에 대한 방법론상의 독법 및 주제별 해제를 첨부하여 편찬

- 구체적인 자료분류체계와 편찬체계(공동연구자별 연구분담체계 포함)는 공동연구자회의에서 협의하여 최종적으로 확정(중간보고서를 통해 연구행정 당국에 보고), 연구 추진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총서] 한국정치사상사 연구의 대상과 방법(강광식, 본원 교수)

 

[序說] 개항기 문헌자료의 정치사상사적 함의와 그 독법(강광식, 본원 교수)

   1. 西學의 傳播樣相과 西學觀의 形成·變轉過程

   2. 朝鮮 社會의 反應樣相과 그 論理

 

○ 위정척사론 문헌 해제(이상익, 영산대 교수)

   1. 위정척사파의 정치이념적 특징

   2. 위정척사파 對外認識의 전개과정

   3. 위정척사파의 정책적 대안: 內修外攘論

 

○ 개화사상(동도서기론과 개화자강운동) 문헌 해제(김현철, 고려대 연구조교수)

   1. 개화사상의 이념적 지향성과 그 전개과정

   2. 개화파의 정치개혁구상: 정치운용방식

   3. 개화파의 대외인식과 대외정책 구상

 

○ 동학과 갑오농민혁명(신복룡, 건국대 교수)

   1. 인간에 대한 이해: 인권

   2. 종교 박해와 신원 운동: 지하 포교의 시대

   3. 통치권에 대한 인식: 반봉건투쟁의 논리

   4. 민족주의적 성찰

 
연구결과

 

(1) 총서: 한국정치사상사 연구의 대상과 방법: 대상자료의 선정 기준과 그 독법

(2) 서설: 조선시대 개항기 문헌자료의 정치사상사적 함의와 그 독법

(3) 각론(1): 위정척사론과 그 운동: 분야별 해제 및 관련 자료

(4) 동도서기론과 개화자강운동: 분야별 해제 및 관련 자료

(5) 동학과 갑오농민혁명: 분야별 해제 및 관련 자료

(6) 부록: 한문 원전자료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