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5-12
연구과제명
  • 국문 : 재미한인의 민족관계
  • 영문 : Ethnic Relations of Korean American
연구책임자 양영균
공동연구자
  • 문옥표 / 본원 / 교수
  • 이정덕 / 전북대학교 / 교수
  • 박계영 / UCLA / 부교수
  • 채수홍 / 전북대학교 / 조교수
연구기간 2005-05-02 ~ 2006-05-31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본 연구는 인류학적 현지조사를 통하여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동포들의 민족관계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국 사회는 다양한 인종이 망라되어 있으며, 불과 30여년 전만 해도 악명 높은 인종차별정책을 시행했으며, 최근에는 소수민족 보호정책에 대해서 백인들이 오히려 역차별의 폐해를 들어 반대하고 있는 민족문제에 관한 한 매우 복잡한 역사(history)와 동학(dynamics)을 가진 사회이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미국 사회 내에서 유색인종이며 소수민족인 한인이 현지주민들과 맺는 복합적인 관계를 LA 지역에 거주하는 한인들을 대상으로 경제활동, 단체활동, 그리고 주거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재미한인 사회는 미국 사회 내에서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1970년대 이후 급격하게 성장해왔다. 그 과정에서 타인종 혹은 민족들과 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지 못하여 1992년 4 · 29 폭동이라는 엄청난 시련을 겪게 되었다. 그 이후 재미한인 사회 내에서 다른 민족 흑은 인종에 대한 편견의 문제와 그들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여러 가지 변화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민족정책(이민정책 포함), 인종질서 등을 배경으로 재미한인 사회가 여러 가지 setting에서 어떻게 타민족 또는 인종과 관계를 형성해왔으며, 그 과정에서 어떤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해왔는지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은 어떤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Foundations of Violence: Korean Vendors and Powerless Customers in South Centeral Los Angeles

   (박계영,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1. Korean-Black/Latino Conflict

   2. “Kimbo” Liquor Store

   3. Civil Encounters

   4. Surveillance and Discipline

   5. Confrontation and Coercion

      Customers’ Tactics

   6. Class Interest vs. Civil rights

 

○ South Central Aftermath: Black and Latino Commentaies on Koreans

   (박계영,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1. Race Theorists

   2. Recent Anti-Immigrant Sentiment

   3. Black and Latino Analyses of the Uprising

   4. Black and Latino Encounter with Koreans

   5. From Bi-Polar to Multiracial

 

○ 노동문제와 LA 한인사회의 민족관계

   (채수홍, 전북대학교)

   1. 문제제기

   2. LA 한인경제의 성장

   3. 마켓, 식당, 의료업체의 노동력과 노동조건

    (1) 마켓의 노동력과 노동조건

    (2) 식당의 노동력과 노동조건

    (3) 의류업체의 노동력과 노동조건

   4. 코리아타운의 노동문제와 노동운동

   5. 코리아타운 노동문제의 민족/인종적 성격

   6. 결어: 명주자루에 개똥

 

○ 재미한인 전문직 종사자의 민족관계

   (양영균, 한국학중앙연구원)

   Ⅰ. 서론

   Ⅱ. 재미한인의 이주

   Ⅲ. 재미한인의 정착

   Ⅳ. 전문직 종사자의 민족관계

    1) 세대에 따른 민족관계

    2) 고용형태에 따른 민족관계

    3) 고객과 관계

   Ⅴ. 결론

 

○ LA한인단체와 다민족관계

   (이정덕, 전북대학교)

   1. LA 정치상황과 아시아계

    1) LA 인종과 정치상황

    2) 아시아계의 교외거주 확대의 의미

    3) 아시아계와 정당

   2. 한인단체와 미국 국가체제와의 관계

    1) 미국 국가와의 접촉지원

    2) 한인인권보호단체

    3) 법률집행자로서의 국가

   3. 한인단체와 정치활동

    1) 한인정당조직

    2) 정치인과의 관계형성

    3) 후원회 활동

    4) 시민권 및 유권자 등록운동

    5) 직접 출마하기

    6) 주민의회

   4. 한인단체와 타민족들과의 관계

    1) 아시아인들과의 관계

    2) 흑인들과의 관계

    3) 라티노와의 관계

    4) 백인들과의 관계

   5. 다민족단체에의 가입과 활동

    1) 아시안 다민족 단체

    2) 일반 다인종 단체

   6. 미디어의 역할

    1) 한인 미디어

    2) 주류 미디어

    3) 아시아 미디어

   7. 결론

 

○ 재미한인동포의 주거지역에서의 민족관계 –LA 교외 거주 한인 동포 자녀들의 학교생활을 중심으로

   (문옥표, 한국학중앙연구원)

   1. 서론

   2. 학교를 중심으로 한 민족관계

    1) 학교 및 주거지역에서의 인종/민족관계에 관한 Ngin의 연구

    2) L.A. 북부 밸리 지역 한 초등학교의 한인 학생들과 부모들

      ① 선생과 학교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차이

      ② 학교 내 볼런티어 활동과 PTA 참가

      ③ 경제적 요인과 이민가족의 life style

      ④ 학생들이 경험하는 민족관계

      ⑤ 한국계 주민/학부모들 간의 관계

   3. 맺음말

 
연구결과

 

본 연구가 수행된 LA 지역의 경우 라티노가 전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인들이 일상적으로 그들과 가장 많이 접촉하고 있다. 흑인과의 갈등처럼 폭발하지는 않았지만, 그것은 이주 경험이 일천하거나 불법체류자가 많은 라티노의 특징 때문이며, 한인에 대한 라티노의 인식이 매우 나쁘기 때문에 그들에 대한 인식전환과 관계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