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3-09
연구과제명
  • 국문 : 조선시대 정치사상사 자료선집 편찬 및 해제 1: 조선전기
  • 영문 : -
연구책임자 강광식
공동연구자
  • 손문호 / 서원대학교 / 교수
  • 이익주 / 서울시립대학교 / 교수
  • 박현모 / 본원 / 연구교수
연구기간 2003-03-02 ~ 2003-11-30 연구형태 문헌연구(자료선집)
연구목적 및 배경

1. 연구의 필요성: 조선시대를 연구대상 시기로 선정한 이유
   - 관련문헌 자료가 시대별 및 주제별로 비교적 균형있게 간행되어 접근가능성 용이.
   - 정치사 등 관련분야 연구축적이 상당한 수준으로 이뤄져 있어, 이제는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단계에 이름.

2. 연구의 목적 및 활용성
   - 조선시대 정치사상 관련 고전 자료를 '정치언어분석방법'에 의거해 선별 · 발췌 · 분류 · 해제하고자 함.
   - 한국정치사상사 관련 1차자료를 집대성, 편찬하여 이를 학계에 보급함으로써 이 분야 연구 활성화에 기여.
   - 각 대학 및 대학원의 교육을 위해 시급히 요구되는 한국정치사상사 교재 편찬을 위한 기반(infrastructure) 조성.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1. 연구의 방법

   1) 정치적 논쟁을 둘러싼 정치언어의 역사적 연구방법
      - 정치사상을 일종의 '언어행위'(speech-act)로 간주하는 바탕 위에서 정치사상적 저술이나 발언의 역사적 맥락을 파악함.
      - 그 저술이나 발언에 숨겨진 저자(또는 화자)의 의도를 '있었던 그대로' 찾아내려는 함(Q. Skinner 1988, 123).

   2) 정치사와 정치사상의 변증법적 결합
      - 정치사상의 본질을 이루고 있는 관념들의 내재적 연관성과 외재적 연관성을 구명하기 위해 정치사와 정치사상을 상호 연관시켜 접근할 것임.
      - 각 시대의 정치적 논쟁에 나타난 정치적 언어와 규범적 어휘를 통해서 그 시대 주요 인물들의 '의도'를 섬세히 관찰하고 추적하되, 그것의 사회 · 경제적 배경 및 현재적 의의까지도 재해석해낼 것임.

 

2. 연구의 절차

   1) 고전자료의 선별 기준을 마련하는 제1단계
      - 정치적 논쟁과 관련하여 조선시대 주요인물의 정치적인 저술이나, 행장, 상소문, 차자, 잠을 비롯하여, 그 시대를 풍미하는 지배적인 문법으로서의 정치담론 및 언어행위 등을 선별함.
      - 이는 조선시대 주요인물의 정치적인 저술이나 상소문 및 실록에 나타난 정치사상사적으로 사료적 가치가 인정되는 대상자료를 일정한 기준(시각)에 의거하여 선별해내는 예비적 작업에 해당함.
      - 각 시대를 풍미하는 지배적인 문법으로서의 정치담론(discourse) 및 언어행위(speech-acts) 등을 중심으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켜 작성한 강독목록(reading checklist)은 고전자료의 편찬을 위한 기준이 될 것임.
      - 이는 조선시대 정치사상 문헌자료 체계화 연구라는 책자로 출간될 것임.

   2) 고전자료의 실제적인 강독 · 발췌 · 정리의 제2단계
      - 앞 단계에서 마련된 기준 내지 준거틀에 따라서 현재 생자료의 형태로 각 개인들의 문집과 조선왕조실록 등에 산재되어 있는 연구에 소용되는 대상자료들을 본격적인 연구에 활용될 수 있도록 선별 · 발췌 · 분류 처리하여 체계화함.
      - 문집총간 조선왕조실록 등이 그 주요 텍스트가 될 것임.
      - 연구자들은 체크 리스트에 있는 규범적 어휘와 주의, 그리고 인물들을 발굴 · 분류해내는 작업을 수행할 것임.
      - 이 작업을 통해 편찬된 자료는 연구자의 사회 · 경제적 배경 설명과 정치사상적 의의 등이 들어간 조선시대 정치사상사 편찬연구라는 영인본 책자로 발간될 것임.

 

 

○ 연구내용

 

1. 중장기 연구내용 전체 개관

   1) 제1차년도(조선전기): 조선건국기 및 조선전기에 해당하는 14세기~15세기의 정치사상 관련 자료의 발췌 · 정리 및 그 해제(세부내용은 뒤의 제1차년도 연구내용 참조).
   2) 제2차년도(조선 중·후기): 조선 중기 및 후기에 해당하는 16세기~18세기의 정치사상 자료의 발췌 · 정리 및 그 해제.
      - 구체적으로는 복제논쟁으로 드러난 예송, 붕당론, 탕평론 및 서세동점의 충격에 따른 새로운 대응책 관련자료
   3) 3차년도(개항 이후 한말): 개항기에 해당하는 19세기~20세기 초의 정치사상 자료의 발췌 · 정리 및 그 해제.
      - 구체적으로는 衛正斥邪論, 東道西器論 및 開化자강론, 東學과 甲牛改革 관련자료

 

2. 제1차년도 연구내용

   1) 시대별 또는 주제별 연구내용 적출: 구체적인 내용은 공동연구자 회의 및 연구자문회의를 통한 협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결정; 구체적인 내용은 중간연구보고서에서 제출 예정.
   2) 주제별 연구내용 예시:
      (1) 조선의 건국이념 관련 정치사상 (손문호)
      (2) 법제적 기반 관련 정치사상 (박현모)
      (3) 정치운용 관련 정치사상 (강광식)
      (4) 대외관계 관련 정치사상 관련 자료 (이익주)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제1부 자료 선정기준 및 분류체계와 그 독법

1. 總序: 한국정치사상사 연구의 對象과 方法/ 강광식

2. 조선전기 정치사상 자료선집의 준거와 체계: 유교국가론/ 손문호
   I. 序
   II. 유교국가의 개념과 실제
   III. 유교국가에 대한 편견들: 專制政論과 家産制論
   IV. 유교국가의 특성과 구조
   V. 조선전기의 주요 담론들

3. 분야별 해제1: 정치이념, 통치주체, 정치운영론/ 박현모
   I. 정치이념으로서 유교국가주의
   II. 통치의 주체로서 왕과 사대부
   III. 정치운영론

4. 분야별 해제2: 사회경제적 기초, 대외인식과 정책/ 이익주
   I. 유교국가의 사회경제적 기초
   II. 대외인식과 정책

 

▩ 제2부 분야별 원전자료

1. 정치이념으로서 유교국가주의
   I. 유교국가주의의 내용
   II. 불교 비판
   III. 풍수지리설에 대한 견해
   IV. 中華와 土風論

2. 통치의 주체로서 왕과 사대부
   I. 民의 정치적 위치
   II. 관료체계
   III. 재상과 언관의 위상
   IV. 종친과 공신에 대한 제도적 규정

3. 정치운영론
   I. 공론정치
   II. 의정부서사제와 육조직계제, 세자첨사원, 그리고 원상제
   III. 정무와 군정: 사병혁파
   IV. 군현의 정비와 경재소, 유향소의 운영

4. 유교국가의 경제적 기초
   I. 토지제도의 정비
   II. 수취제도의 개선
   III. 생산력 증대를 위한 노력
       - 권농정책
       - 새로운 농법의 보급
   IV. 양인의 확보와 노비

5. 대외인식과 정책
   I. 중국에 대한 사대외교
   II. 교린정책

연구결과

<제1부>: 자료 선정기준 및 분류체계와 그 독법
   1) 방법론적 의미의 독법: 한국정치사상사 연구의 대상과 방법
   2) 조선 전기의 정치사상사적 함의와 수록 자료의 분류체계
   3) 분야별 수록 자료의 해제(1)
   4) 분야별 수록 자료의 해제(2)

 

<제2부>: 분야별 원전자료(영인본)
   1) 유교국가이념의 제도화
   2) 통치주체로서 왕과 사대부
   3) 정치운영론
   4) 유교국가의 경제적 기초
   5) 대외인식과 정책

참고문헌

강광식 외. 1998. 조선시대 개혁사상연구. 성남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강광식, 1993, "政派政治와 관련한 조선조의 유교정치문화: 士禍와 黨爭의 정치문화 비교분석," 한국의 정치와 경제 제3집,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강광식, 2000. 신유학사상과 조선조 유교정치문화. 집문당.
강재언. 1990. 신유교난 후의 서학의 조락과 개국, 조선의 서학사, 민음사
김기혁, "개항을 둘러싼 국제정치", 한국사 시민강좌제7집, 1990
김석근. 1997. '개혁'과 '혁명' 그리고 주자학: 여말 선초를 산 정몽주와 정도전의 현실인식과 비젼. (한국정치학회엮음. 한국 정치의 재성찰: 전근대성 · 근대성 · 탈근대성. 한울아카데미)
김석근. 1999. '훈요십조'와 '시무 28조': 고려 전기 정치사상에 관한 소묘. 아세아연구 제42권 1호.
김석근. 2002. '단군신화'와 정치적 사유, 한국정치사상사 집문당.
김석근. 2002. 삼국 및 남북국시대의 정치사상 한국정치사상사 집문당.
김영수, 1997 고려말과 조선조 건국기의 정치적 위기와 극복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김영수. 1996. 독립의 정치: 고려말 공민왕의 반원정책과 실지회복 전쟁 한국정치연구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김영수. 1997. 갑오농민군과 흥선대원군의 정치적 관계에 대한 연구: 이병휘, 전봉준의 공초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김영수. 1997. 고려 공민왕대 초반기의 개혁정치와 반개혁정치의 대립 한국정치연구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김영수. 1997. 고려말과 조선조 건국기의 정치적 위기와 극복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영수. 1997. 정치와 운명: 고려말 공민왕의 정치적 방황에 나타난 풍수도참과 유교의 대립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한국정치외교사학회.
김영수. 1998. 여말 선초 정치운영론의 변화 역사와 현실 한국역사연구회
김영수. 1998. 토지와 정치: 고려말 조선 건국세력의 전제개혁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사상의 조명 한국정치외교사학회
김영수. 1999. 고려말 위화도회군을 전후한 권력투쟁과 정치이념 논쟁 한국정치학회보 한국정치학회.
김영수. 2001. 여말선초 지식인의 문제의식과 실천성리학: 정몽주와 정도전의 <역사-천도>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김영수. 2002. 고려말 조선초기의 정치사상 한국정치사상사 집문당.
김용구, 세계관충돌의 국제정치학, 나남출판, 1997
김호성, "한말의병운동의 사상사적 배경", 한국정치외교사학회편, 조선조 정치사상 연구, 평민사, 1987
도현철, 1999 고려말 사대부의 정치사상연구, 일조각
도현철. 2000. 경제문감의 인용전거로 본 정도전의 정치사상. 역사학보 165. 역사학회.
문철영, 1999 고려후기 신유학 수용과 사대부의 의식세계 한국사론 41·42합집
박광용. 1997. 정조대 탕평정국과 왕권체제의 확립 한국사32, 국사편찬위원회
박병련. 1997. "남명 조식의 정치사상과 사상사적 위치". 정신문화연구 6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병련. 2001. 政治史의 脈絡에서 본 南冥學派의 계승양상 장서각(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병련. 2002. 茶山 丁若鏞의 政治리더십론 연구 유교정치리더십과 한국정치(백산서당)
박병련. 2002. 修己와 治人의 관점에서 본 동양의 행정윤리 공직윤리와 최근 인사행정의 이슈 (한국인사행정학회)
박충석, 1992, 실학과 북학의 정치의식성향과 구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의 정치와 경제
박충석, 1999, 조선주자학 : 그 규범성과 역사성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아세아연구 제42집
박충석. 1988. "퇴계사상의 특질". 퇴계학연구 제2집. 단국대 퇴계학연구소.
박현모, 1999, 정조의 정치현실인식과 권도론 한국학보 제97집(일지사)
박현모, 2000, 정조의 君師論 비판: 초계문신제와 문체반정을 중심으로 한국실학연구회, 한국실학연구 제2집
박현모. 2000 정조의 성왕론과 지방통치방식 정신문화연구 제23권4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현모. 2000 서학과 유학의 만남: 18C말 천주교 논쟁과 정조의 대응 한국정치사상학회, 『정치사상연구 제4집
박현모. 2001. 신해통공(辛亥通共)의 정치경제학: 18세기말 개혁논쟁과 정조의 경제개혁 한국정치학회보 제35집
박현모. 2001. 정조의 정치와 수원성: 華城건설의 정치적 의미 한국과 국제정치 제17집 1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박현모. 2001. 정치가 정조의 역사적 책임: 역사 속의 정조와 정조 안의 역사 한국학보 제103호(일지사)
배병삼, 1993, 정다산의 '정치'에 관한 인식 한국정치학회보 제27집
배병삼, 1997, 조선시대 '정치적 리더십'론: 수기치인과 무위이치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31집
부남철, 2000, 한국정치사상에 있어서의 정치와 종교: 조선 성리학자의 불교, 천주교 등 종교에 대한 정치 평가와 비판 한국정치학회보 제34집 3호
신복룡, 1997, 천주학의 전래와 조선조 지식인의 고뇌: Matteo Ricci를 유념하면서 한국정치학회보 제31집
신복룡, 전봉준 평전, 지식산업사, 1998
안외순, 2000, 정약용의 사상에 나타난 서학과 유학의 만남과 갈등 : 자유주의 수용의 前史 한국정치사상학회, 정치사상연구 제2집
양승태 · 안외순. 1999. "한국보수주의 연구: 송시열과 한국보수주의의 기원". 한국정치학회보33집 1호. 한국정치학회.
원재연, 2000, 조선후기 서양인식의 변천과 대외개방론 서울대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유미림. 1999, 조선후기 통치이념의 구조적 분석 이화여대 정치학과 박사학위논문
유영익, "전봉준 의거론 : 갑오농민봉기에 대한 통설 비판", 갑오농민봉기와 갑오경장, 일조각, 1998
이경식, 1986 조선전기토지제도연구 ―토지분급제와 농민지배―, 일조각
이상은. 1998. 퇴계의 생애와 학문. 예문서원.
이상익, "한말 문명론에 있어서 도와 기의 문제", 철학58집, 한국철학회, 1999년 봄호
이원택. 2000. "기해복제논쟁과 그 이념적 지향". 한국정치학회보 제34집 4호. 한국정치학회.
이원택. 2000. 숙종초 己卯服制 논쟁의 사상사적 함의 韓國思想史學 한국사상사학회
이익주, 1995 공민왕대 개혁의 추이와 신흥유신의 성장 역사와 현실15
이익주, 1996 고려 · 원관계의 구조와 고려후기 정치체제,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이익주, 1996. 高麗-元關係의 構造에 대한 硏究 --소위 世祖舊制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론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이익주. 2001. 몽고제국의 침략과 고려의 저항 역사평론 (일본)역사과학협의회
이정주, 1997 여말선초 유학자의 불교관,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이지경. 1995. "16세기 사림파 정치사상연구." 서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편. 사회과학연구 제8집.
이지경. 1997. "회재 이언적의 대학장구보유에 관한 연구 : 주자의 대학장구 해석에 대한 근원적 비판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편. 사회과학논총 제16집.
이지경. 1997. "회재 이언적의 왕도정치사상." 유광진 외. 한국정치의 쟁점과 과제. 정익사."
이지경. 1998. "회재 이언적의 『중용구경연의 에 관한 연구." 서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편. 『사회과학연구 제11집.
이지경. 1999. "이언적의 정치사상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태진, 1983 고려말 · 조선초의 사회변화 진단학보55
이택휘, "조선후기 척사논의의 전개와 그 의의", 한국정치외교사학회편, 조선조 정치사상연구, 평민사, 1987
장인성, "체제해체기의 개혁사상", 강광식 외, 조선시대 개혁사상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장인성. 2002. 장소의 국제정치학 (서울대학교출판부)
전정희. 2000. "율곡의 개혁사상과 사상사적 의의". 한국정치학회보 제34집 1호. 한국정치학회.
정석종. 1994. 조선후기 정치사 연구의 과제1: 당쟁사를 중심으로, 조선후기의 정치와 사상 (한길사, 1994).
정용화, "조선에서의 입헌민주주의 관념의 수용 : 188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제32집 2호, 1998
정용화, "안과 밖의 정치학: 19세기후반 개화개혁론에서 국권 · 민권 · 군권의 관계", 한국정치학회보34집2호, 2000년 여름.
정용화, "유길준의 양절체제론 : 이중적 국제질서에서의 방국의 권리", 국제정치논총제37집3호, 1998
정용화. 2000. 유교와 자유주의 : 유길준의 자유주의 개념 수용 정치사상연구 한국정치사상학회
정용화. 2001. 문명개화론의 덫 : [윤치호일기]를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 한국국제정치학회
정용화. 2001. 한국인의 시민상 모색과 선비 한국정치외교사논총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조명제, 2000 고려후기 간화선의 수용과 전개, 부산대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지두환. 1987. "조선후기 예송연구". 부대사학11. 부산대사학회,
채상식, 1991 고려후기불교사연구, 일조각
최병헌, 1986 태고보우의 불교사적 위치한국문화7
최병헌, 1987 수선결사의 사상사적 의의보조사상1
최병헌. 1972 신라하대 선종구산파의 성립한국사연구7
최연식, 1999 균여 화엄사상연구, 서울대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최연식. 1997. 여말선초의 정치인식과 체제개혁의 방향설정: 이색, 정도전, 권근을 중심으로 정치외교사논총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최연식. 1998. 여말선초의 권력구상: 왕권론, 신권론, 군신공치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한국정치학회
최연식. 2000. 수성의 정치론: 권근 한국정치학회보 한국정치학회
최연식. 2000. 정도전의 정치현실주의와 성리학 정치사상연구 한국정치사상학회
한우근. 1961-3. "백호 윤휴연구" (1) · (2) · (3). 역사학보15 · 16 · 16호. 역사학회.
한우근. 1986. "경국대전 해제". 역주 경국대전: 주석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Jahyun Kim Haboush, The Confucian Kingship in Korea: Yongjo and the Politics of Sagacit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중에서 Ch.1 Confucian Kingship and Royal Authority in the Yi Monarchy, pp.7-28. - 영조시대
Palais J.B.. 1975. Politics and Policy in Traditional Korea. cam.: Havard University Press.
Palais J.B.. 1996. Confucian Statecraft and Korean Institutions: Yu Hyongwon and the Late Choson Dynasty. Seattle" Univ. of Washington Press.
Young Ick. Ryu. 1977. "The Reform Efforts and Ideas of Pak Yong-hyo: 1894-1895". Korean Studies 1.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