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3-08
연구과제명
  • 국문 : 장서각 소장 御製類 한글 필사본 자료의 역주 및 연구 -영조대를 중심으로-
  • 영문 : -
연구책임자 황문환
공동연구자
  • 조항범 / 충북대학교 국문과 / 교수
  • 김주필 / 국민대학교 국문과 / 부교수
  • 박용만 / 본원 국학자료연구실 / 전문위원
연구기간 2003-01-01 ~ 2003-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과제
연구목적 및 배경

   장서각에 소장된 ‘어제류’(왕이 친히 저술한 글) 가운데는 한문본과 그것을 언해한 한글 필사본이 함께 전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필사본은 장서각 유일본인 경우가 대부분인데 궁중에서 필사된 까닭에 왕실 자료의 성격과 함께 당시의 (궁중) 언어를 잘 반영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필사본을 대상으로 한편으로는 역주를 가하여 학계와 일반에 일차 자료로 제공하고, 한편으로는 자료의 서지 성격과 국어학적 특징을 상세히 밝혀 관련 학계의 자료 활용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는 조선시대 왕실자료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요긴할 뿐 아니라 18세기 당시의 (궁중) 언어를 이해하는 데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역주 역할 분담
      - 대상 자료 해제(박용만 · 황문환)
      - 판독문 작성 및 전산 입력(연구자 공동)
      - 현대역과 어휘 주석(연구자 공동)
      - 색인(배영환)

   2. 연구 분야 분담
      - 자료의 서지적 성격(박용만 · 황문환)
      - 자료의 음운적 특징(김주필)
      - 자료의 어휘적 특징(조항범)
      - 자료의 문법적 특징(황문환)

 

연구내용

   1. 역주: 한글 필사본의 판독문을 작성한 뒤 현대역과 어휘 주석을 가하여 역주 원고 작성
      ■ 대상 자료: 영조대의 한글 필사본으로 한정
          『御製祖訓』 (1책, 28장), 『御製警世問答續錄』 (1책, 51장), 『御製自省編』 (2책, 45장), 『御製續自省編』 (2편 1책), 『御製』 (4편 1책, 27장) 등
      ■ 역주서의 체재
         - 자료 해제
         - 한글 판독문
         - 현대역과 어휘 주석(미주)
         - 색인(어휘 색인과 주석 색인)
         - 영인 자료

   2. 연구: 자료의 서지적 성격 및 국어학적 특징을 밝혀 연구 논문 작성
      ■ 대상 자료의 서지적 성격
         - 장서각 어제류 한글 필사본의 목록 검토
         - 대상 자료의 서지 사항(필사 시기, 필사 목적, 한문본과의 관계, 이본 대비 등)
      ■ 대상 자료의 국어학적 특징
         - 음운적 특징
         - 어휘적 특징
         - 문법적 특징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역주 (판독과 주석)
   가. 《
어졔자셩편》 판독과 주석 ----------- 조항범(충북대)
   나. 《
어졔쇽자셩편》 판독과 주석 -------- 황문환(본 원)
   다. 《
어졔》 판독과 주석 ------------------- 김주필(국민대)

2. 연구
   가. 대상 자료의 서지학적 특징 ------------- 박용만(본 원)
   나. 대상 자료의 음운론적 특징 ------------- 김주필(국민대)
   다. 대상 자료의 문법론적 특징 ------------- 황문환(본 원)
   라. 대상 자료의 어휘론적 특징 ------------- 조항범(충북대)

연구결과

(1) 역주 원고: 대상 자료 3책을 분담하여 흘림체로 된 한글 원문을 판독 · 입력하고 어휘 주석을 달아 아래와 같이 원고를 작성하였음.
   가. 《
어졔자셩편》 판독과 주석: 조항범(충북대)
   나. 《
어졔쇽자셩편》 판독과 주석: 황문환(본원)
   다. 《
어졔》 판독과 주석: 김주필(국민대)

(2) 연구 논문: 대상 자료의 서지적 성격 및 국어학적 특징을 아래와 같이 분담하여 연구 논문을 작성하였음.
   가. 대상 자료의 서지적 특징: 박용만(본원)
   나. 대상 자료의 음운론적 특징: 김주필(국민대)
   다. 대상 자료의 문법론적 특징: 황문환(본원)
   라. 대상 자료의 어휘론적 특징: 조항범(충북대)

참고문헌

강순애(1982), “조선 영조조의 도서편찬 및 간행에 관한 서지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권연웅(1989), “조선 영조대의 문헌”, 한국사논문집(이광린 교수 퇴직 기념), 동아연구소.
박광용(1998, 영조와 정조의 나라, 푸른역사.
박부자(2001), “ 『녈성지장통긔』 에 나타난 주체존대 ‘-시-‘의 통합관계”, 장서각 5.
안병희(1990), “규장각소장 근대국어자료의 서지학적 검토”, 서지학보 2, 한국서지학회.
안병희(1999), “왕실자료의 한글필사본에 대한 국어학적 검토”, 장서각 1.
윤병태(1972), “장서각의 자료적 특성”, 장서각의 역사와 자료적 특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이래호(2001), “장서각 소장 유일본  『어졔』 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장서각 5.
이종묵(1999), “장서각 소장  『열성어제』 와 국왕 문집의 편찬과정”, 장서각 1.
이현희(1999), “장서각 소장의 영조대 한글 문헌”, 장서각 2.
최봉영(1997), “해제: 영조 · 정조 문집”, 한국학자료총서 1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홍윤표(1997), “규장각 소장 근대국어 문헌자료의 종합적 연구”, 한국문화 15,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