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2003-08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황문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3-01-01 ~ 2003-11-30 | 연구형태 | 공동연구과제 |
연구목적 및 배경 | 장서각에 소장된 ‘어제류’(왕이 친히 저술한 글) 가운데는 한문본과 그것을 언해한 한글 필사본이 함께 전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필사본은 장서각 유일본인 경우가 대부분인데 궁중에서 필사된 까닭에 왕실 자료의 성격과 함께 당시의 (궁중) 언어를 잘 반영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필사본을 대상으로 한편으로는 역주를 가하여 학계와 일반에 일차 자료로 제공하고, 한편으로는 자료의 서지 성격과 국어학적 특징을 상세히 밝혀 관련 학계의 자료 활용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는 조선시대 왕실자료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요긴할 뿐 아니라 18세기 당시의 (궁중) 언어를 이해하는 데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1. 역주 역할 분담 2. 연구 분야 분담
◯ 연구내용 1. 역주: 한글 필사본의 판독문을 작성한 뒤 현대역과 어휘 주석을 가하여 역주 원고 작성 2. 연구: 자료의 서지적 성격 및 국어학적 특징을 밝혀 연구 논문 작성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1. 역주 (판독과 주석) 2. 연구 |
||
연구결과 | (1) 역주 원고: 대상 자료 3책을 분담하여 흘림체로 된 한글 원문을 판독 · 입력하고 어휘 주석을 달아 아래와 같이 원고를 작성하였음. (2) 연구 논문: 대상 자료의 서지적 성격 및 국어학적 특징을 아래와 같이 분담하여 연구 논문을 작성하였음. |
||
참고문헌 | 강순애(1982), “조선 영조조의 도서편찬 및 간행에 관한 서지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