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2003-07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건곤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3-03-17 ~ 2003-11-30 | 연구형태 | 공동연구과제 |
연구목적 및 배경 | 우리나라에는 세계에 알릴 만한 아름다운 승경이 있으며,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과거의 문인들의 답사기가 매우 많이 전하고 있지만, 이들이 종합적으로 정리되지 못하고 있으며 더욱 제영에 대한 종합적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승경이나 유적지를 찾는 사람들에게 해당 지역의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배경을 설명할 자료가 가공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2002년에 『한국 명승지의 답사자료 연구』(1)을 추진하여 이종묵·김건곤·정민·안대회 교수가 『한국문집총간』 1~40책까지의 기문 719건을 연구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제2차년도 사업으로 『한국문집총간』 41~60책 및 『동국여지승람』과 『동문선』 소재의 명승·답사 자료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유적지나 명승지의 피상적인 외관이 아니라 그 속의 정신 문화를 관광자원화하여야 하기 위하여, 과거 문인들이 명승 및 유적지의 답사 자료(제영 포함)를 체계적으로 정리함을 목적으로 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1) 자료 조사: 한국문집총간(41-60)을 분담하여 자료를 검토하여 답사자료를 추출함. (2) 지역별 답사자료 해제: 자료 조사를 통하여 지역별로 항목을 추출하고 그 내용을 요약하여 제시함.
◯ 연구내용 1. 1차년도 연구 내용 2. 2차년도 연구 내용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韓國文集叢刊』 · 『臥遊錄』 · 『皇華集』의 名勝 · 古跡 踏査資料 - 李 鍾 默 (서울大) |
||
연구결과 | 『한국문집총간』 41~60책까지의 기문자료 101건과 『동국여지승람』 · 『동문선』 · 『와유록』 등 문집에 실려 있지 않은 기문자료 181건, 총 292건의 자료를 해제 · 연구하였다. 여기에는 기문뿐만 아니라, 명승 · 고적과 관련있는 송서 · 시서 · 비명 · 부 · 명 · 설 · 지 등도 포함시켜 다루었다. 해제에는 지은이 · 출전 · 건립 경위 · 유람답사 경위 · 저작 경위 · 경관 · 관련 시문 등의 정보를 담았다. 지역별로는 서울 36건, 경기 35건, 강원 25건, 충청 31건, 영남 84건, 호남 · 제주 40건, 북한 · 기타 41건이다.
- 1 · 2차년도 연구가 끝남에 따라 『한국문집총간』 60책까지의 명승 · 답사자료가 정리되었다. 이는 시기적으로 임진왜란 이전까지에 해당한다. 1차년도 719건(4인 연구)과 2차년도 292건(2인 연구)을 합쳐 『고려 · 조선 전기의 명승 고적 답사자료집』으로 간행한다. - 한문학 · 국문학 · 역사학 · 미술사학 · 건축학 · 조경학 · 지리학 등 한국학 전반에 걸쳐 문화공간과 관련한 연구의 1차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지역 문화유산을 관광 자원화하는 데도 유용할 것이다. |
||
참고문헌 | 1) 자료집 2) 연구서 및 논문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