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3-07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名勝地의 답사 자료 연구, 2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건곤
공동연구자
  • 이종묵 / 서울대학교 / 조교수
연구기간 2003-03-17 ~ 2003-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과제
연구목적 및 배경

   우리나라에는 세계에 알릴 만한 아름다운 승경이 있으며,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과거의 문인들의 답사기가 매우 많이 전하고 있지만, 이들이 종합적으로 정리되지 못하고 있으며 더욱 제영에 대한 종합적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승경이나 유적지를 찾는 사람들에게 해당 지역의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배경을 설명할 자료가 가공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2002년에 『한국 명승지의 답사자료 연구』(1)을 추진하여 이종묵·김건곤·정민·안대회 교수가 『한국문집총간』 1~40책까지의 기문 719건을 연구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제2차년도 사업으로 『한국문집총간』 41~60책 및 『동국여지승람』과 『동문선』 소재의 명승·답사 자료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유적지나 명승지의 피상적인 외관이 아니라 그 속의 정신 문화를 관광자원화하여야 하기 위하여, 과거 문인들이 명승 및 유적지의 답사 자료(제영 포함)를 체계적으로 정리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자료 조사: 한국문집총간(41-60)을 분담하여 자료를 검토하여 답사자료를 추출함.

   (2) 지역별 답사자료 해제: 자료 조사를 통하여 지역별로 항목을 추출하고 그 내용을 요약하여 제시함.
        한국문집총간 41-50책: 김건곤
        한국문집총간 51-60책: 이종묵

 

연구내용

   1. 1차년도 연구 내용
   한국문집총간 1-40책을 대상으로 하여 사찰, 누정, 전장, 객관, 동헌 등에 대한 산문 자료를 요약하고 이를 지역별로 분류하여 답사자료로 활용하도록 하였음.

   2. 2차년도 연구 내용
      1) 다음과 같은 자료를 대상으로 함
         한국문집총간 41-70
         설월당집(雪月堂集) 송암집(松巖集) 권호문(權好文) 성암유고(省菴遺稿) 백록유고(白麓遺稿) 지천집(芝川集) 오음유고(梧陰遺稿) 제봉집(霽峯集) 문봉집(文峯集) 초간집(草澗集) 귀봉집(龜峯集) 우계집(牛溪集) 내암집(來庵集) 청강집(淸江集) 율곡전서(栗谷全書) 약포유고(藥圃遺稿) 송강집(松江集) 졸옹집(拙翁集) 건재집(健齋集) 옥봉집(玉峯集) 월정집(月汀集) 대소헌일고(大笑軒逸稿) 아계유고(鵝溪遺稿) 학봉집(鶴峯集) 백곡집(栢谷集) 각재집(覺齋集) 겸암집(謙菴集) 파곡유고(坡谷遺稿) 간이집(簡易集) 고죽유고(孤竹遺稿)
         백암집(栢巖集) 동강집(東岡集) 송애집(松崖集) 간재집(艮齋集) 사류재집(四留齋集) 만전집(晩全集) 풍애집(楓崖集) 서애집(西厓集) 옥산시고(玉山詩稿) 고담일고(孤潭逸稿) 한강집(寒岡集) 청계집(靑溪集) 송암집(松巖集) 중봉집(重峰集) 촌은집(村隱集)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 지산집(芝山集) 지헌집(芝軒集) 부사집(浮査集) 용담집(龍潭集) 오리집(梧里集) 사계유고(沙溪遺稿) 일송집(一松集) 악록집(岳麓集) 서경집(西坰集) 지퇴당집(知退堂集) 임백호집(林白湖集) 천곡집(泉谷集) 하곡집(荷谷集) 망우집(忘憂集) 태천집(苔泉集) 만취집(晩翠集) 구암유고(久菴遺稿) 태촌집(泰村集) 오봉집(五峯集) 여헌집(旅軒集) 백졸재유고(百拙齋遺稿)

      2) 사찰, 누정, 객관, 사우, 전장, 명승 등에 대한 관련 항목을 추출하고
      3) 항목별로 자료 내용을 요약하여 지역별로 분류하여 고려 및 조선전기 답사자료집으로 발간함.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韓國文集叢刊』 · 『臥遊錄』 · 『皇華集』의 名勝 · 古跡 踏査資料   - 李 鍾 默 (서울大)
『新增東國輿地勝覽』 · 『東文選』의 名勝 · 古跡 踏査資料   - 金 乾 坤 (本 院)

연구결과

   『한국문집총간』 41~60책까지의 기문자료 101건과 『동국여지승람』 · 『동문선』 · 『와유록』 등 문집에 실려 있지 않은 기문자료 181건, 총 292건의 자료를 해제 · 연구하였다. 여기에는 기문뿐만 아니라, 명승 · 고적과 관련있는 송서 · 시서 · 비명 · 부 · 명 · 설 · 지 등도 포함시켜 다루었다. 해제에는 지은이 · 출전 · 건립 경위 · 유람답사 경위 · 저작 경위 · 경관 · 관련 시문 등의 정보를 담았다. 지역별로는 서울 36건, 경기 35건, 강원 25건, 충청 31건, 영남 84건, 호남 · 제주 40건, 북한 · 기타 41건이다.

   - 1 · 2차년도 연구가 끝남에 따라 『한국문집총간』 60책까지의 명승 · 답사자료가 정리되었다. 이는 시기적으로 임진왜란 이전까지에 해당한다. 1차년도 719건(4인 연구)과 2차년도 292건(2인 연구)을 합쳐 『고려 · 조선 전기의 명승 고적 답사자료집』으로 간행한다.

   - 한문학 · 국문학 · 역사학 · 미술사학 · 건축학 · 조경학 · 지리학 등 한국학 전반에 걸쳐 문화공간과 관련한 연구의 1차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지역 문화유산을 관광 자원화하는 데도 유용할 것이다.

참고문헌

1) 자료집
   『한국문집총간』(민족문화추진회)
   『한국역대문집총서』(경인문화사)
   『조선시대사찬읍지』
   『경기도읍지』(서울대 규장각)
   『와유록』(한국정신문화연구원)
   『와유록』(서울대 규장각)
   윤남한, 『잡저기사색인』(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정민, 『한국산수유기취편』(민창문화사)
   최철, 『동국산수기』(덕문출판사)
   이혜순 외, 『조선 중기의 유산기 문학』(집문당)
   장서각 및 규장각, 국립도서관 등 소장 고서
   『안산시사』, 『수원시사』, 『서울시사』, 『인천시사』 등 각 군지 및 시지

2) 연구서 및 논문
   김영상, 『서울 육백년』(대학당)
   정민, 「세검정 구경하는 법, 다산의 유기 두 편」(『문헌과해석』 1998년 여름호, 통권3호)
   이종묵, 「유산의 풍속과 유기류의 전통」(『고전문학연구』)
   이종묵, 「조선시대 인천의 명승과 제영」(『한국한문학연구』)
   호승희, 「조선전기 유산록 연구」(『한국한문학연구』)
   박희병, 「한국산수기 연구」(『고전문학연구』)
   이지영, 「조선 전기의 지리산 기행문 연구」(『고전문학연구』)
   姜鉉求, 「朴琮의 山水遊記 考察」(한양대석사논문)
   孫惠莉, 「당주 朴琮의 山水遊記 硏究」(경북대석사논문)
   黃仁健, 「谷雲 金壽增의 山水文學 硏究」(한양대석사논문)
   남현희, 「고려후기 산수유기 연구」(성균관대석사논문)
   고연희, 「18세기 전반기 산수기행문학」(이혜순 외,
『우리 한문학사의 새로운 조명』)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