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3-06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지명 변천 연구, 3
  • 영문 : -
연구책임자 최진옥
공동연구자
  • 김재명 / 원광대학교 / 부교수
연구기간 2003-03-26 ~ 2003-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과제
연구목적 및 배경

   한국학 연구에서 지리 및 지명에 대한 이해는 가장 기본이 되는 영역 중에 하나이다. 정치, 경제, 사회, 군사, 행정 등 각 분야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지명 변천에 대한 연구는 절실히 요구되는 분야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 성과가 부진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불편을 겪어 왔다. 지명 변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고문헌을 다루는 연구자뿐 아니라 지방자치제가 활성화됨에 따라 활발해진 지역 연구자들의 요구에도 부합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지명의 역사적 변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학계에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기본적으로 문헌연구이며 모든 자료는 전산화한다.

   1. 대상 자료에서 지리 관련 내용을 발췌하여 입력한다.
   2. 군현단위로 파일을 정리하고 명칭의 변천시기와 변천 내용을 정리한다.
   3. 표제어에 대한 선정과 내용을 보완한다.
   4. 사전의 일관된 체제를 유지하기 위하여 윤문 작업을 거친다.
   5.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마크업 작업을 한다.

 

연구내용

   우리나라의 지명은 삼국시대 이래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나라가 바뀌고 지방행정제도가 바뀔 때마다 변해왔다. 따라서 지명은 한 시대의 역사와 사회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척도가 된다. 우리나라 고대 사서인 『삼국사기』를 비롯해 주요 史書에서 지리지를 다루고 있어 각종 사서와 지리지에 나타난 지명의 변천을 정리하면 우리나라 지명 변천의 연혁을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세종실록 지리지』 『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증보문헌비고』 등의 지리 관련 내용을 시대별로 정리하여 한 지역의 명칭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천해 갔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조선시대 360여개의 군현을 『신증동국여지승람』을 기준으로 하여 지명 명칭과 그 변천 시기 등을 위의 자료에서 뽑아 사전식으로 정리하여 지명 변천 과정을 알기 쉽게 한다. 먼저 사전으로 출판하고 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학계 및 일반인에게 CD-ROM 및 온라인으로 제공하도록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1) 사료별로 입력된 자료를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군현을 기초로 하여 각 군현별로 파일을 정리한 다음 각 사료의 내용을 종합하였다.

   2) 군현의 명칭 변화 내용을 토대로 색인어를 결정하고 군현의 상하관계, 영현, 속현관계 등이 나타나도록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하였다.

   3) 전문 연구자들에게 원문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한문 원문을 입력하였다. 입력 자료는 『삼국사기』, 『고려사』 『세종실록 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대동지지』 『증보문헌비고』이다.

참고문헌

기본자료

삼국시대: 『三國史記』 『三國遺事』
고려시대: 『高麗史』
조선시대: 『慶尙道地理誌』 『慶尙道續撰地理誌』 『世宗實錄地理志』 『東國輿地勝覽』 『輿地圖書』 『增補文獻備考』

 

조선총독부, 『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 1912.
권상로, 『韓國地名沿革考』, 동국문화사, 1965.
한글학회, 『韓國地名總攬』
동아문화연구소, 『韓國地方志綜觀』, 1974.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