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2005-11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영운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5-04-22 ~ 2005-11-30 | 연구형태 | 공동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
연구방법 및 내용 | 한국인의 기본적인 음악 감수성에 대한 연구는 한국음악의 특징을 밝히는 한 방편으로 그동안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그 결과 한국음악을 형성하는 기본적인 음악양식은 기층음악을 중심으로 논의되어야 하고, 그 중심에 향토민요(토속민요)가 자리하고 있다. 그러나 그간의 연구는 남한지역 향토민요를 주로 다루었고, 북한지역의 민요 연구는 자료 확보의 곤란으로 그리 활발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최근(2004) CD음반 10장으로 MBC에서 출반한 북한 향토민요 자료를 대상으로 북한지역 민요의 음악양식을 밝히려는 연구이다. 아울러 이 연구를 위하여 채보된 악보를 중심으로 <북한의 향토민요> 자료집을 출간하고자 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북한 향토민요의 음악양식과 특징
Ⅰ. 북한 민요 자료의 지역 분포 1. 평안북도 2. 평안남도·평양직할시·남포특급시 3. 황해북도 4. 황해남도 5. 함경북도 6. 함경남도 7. 자강도 8. 량강도 9. 강원도 Ⅱ. 북한 민요 자료의 기능별 분포 1. 농산노동요 2. 수산노동요 3. 임산노동요 4. 공산노동요 5. 운수노동요 6. 가사노동요 7. 토건노동요 8. 통과의식요 9. 동작유희요 10. 가창유희요 Ⅲ. 북한 민요 자료의 음악적 특성 1. 음계 활용 양상 2. 박자 활용 양상 Ⅳ. 맺는말
○ 북한 향토민요 자료의 이해
Ⅰ. 머리말 Ⅱ. 북한 민요 관련 자료 검토 1. 민요 관련 악보자료집 2. 민요 관련 단행본 자료 3. 북한 잡지에 보이는 민요 관련 기사 4. 민요 수록 음원 및 영상 자료 검토 Ⅲ. 북한 향토 민요 녹음 공개의 의미
○ 북한지역의 서도 민요 전승양상
1. 머리말 2. 해방 후 북한의 음악계와 민요 3. 음악 교육 체제 속에서의 민요 4. 북한 지역의 서도민요 전승 인맥 5. 1970년대 이후 서도민요 전승 및 그 주역들 6. 북한 서도민요의 변화 전승 양상 |
||
연구결과 | 1. 북한 향토민요 자료의 이해 2. 북한 향토민요의 음악양식과 특징 1) 북한 민요 자료의 지역 분포 2) 북한 민요 자료의 기능별 분포 3) 북한 민요 자료의 음악적 특성 3. 북한지역 서도민요의 전승양상 4. 북한민요 악보자료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