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2005-09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신익철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5-04-22 ~ 2005-11-30 | 연구형태 | 공동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송천필담>은 조선조 후기의 문인 沈梓(1722-1784)가 저술한 필담집이다. 그 내용은 고금의 事變과 선악의 권징, 성현의 遺訓, 閭巷의 속담, 화훼 등 다양한 이야기를 漫錄體로 기술한 것이다. 주요 기사를 소개하면 권1에 ‘선인들의 독서법’을 비롯한 여러 이야기, 권2에 ‘<東國誌>에 나오는 檀君說話’ 등, 권3에 ‘先佛後儒의 한국 풍속에 관한 이야기’ 등, 권4에 ‘孫眞人의 이야기’ 등, 권5에 ‘<退陶言行錄>에서 발췌한 이야기’ 등, 권6에 ‘李達의 이야기’ 등, 권7에 ‘숙종 때 107세 된 金尙紳의 이야기’ 등, 권8에 ‘<淸暑筆談>에 나오는 이야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상의 개략적인 검토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송천필담>은 문학·역사·예술·민속 등 다양한 분야에 관한 귀중한 정보가 담겨져 있는 고전이다. 한국학의 주요 고전이라 할 <송천필담>의 이본을 대비하여 교감하고 역주하여 학계와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제공하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조선조 후기의 문인 沈梓(1722-1784)가 저술한 필담집 <송천필담>은 문학·역사·예술·민속 등 다양한 분야에 관한 귀중한 정보가 담겨져 있는 고전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 <송천필담>은 두 종류의 필사본이 전한다. 장서각 소장 8권 8책본과 규장각 소장 4권 4책본이 그것이다. 여기에서는 규장각본 <송천필담 상>을 저본으로 하며, 장서각본과 대비 교감하여 번역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공동연구자 4인이 각 100화 정도의 이야기를 책임지고 번역하기로 했다. 다만, 공동 연구의 장점을 활용하기 위해 매월 한 차례씩 모임을 가져 작업한 결과를 확인하고, 문제점에 대해서는 공동으로 토의하여 해결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대한 오역을 피하고, 교감과 역주의 체재를 통일해 나갈 것이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이상의 계획대로 연구를 차질없이 수행하였다. 다만 매월 한 차례씩 모임을 가져 문제점을 공동으로 토의하여 해결하기로 하였으나, 현실적 여건상 어려워서 두 달에 한 차례씩 총 4회 모임을 가져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리고 원출전과의 대본 및 주석이 미진한 부분이 다소 있는 바, 이는 출판시까지 지속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송천필담>은 문학·역사·예술·민속 등 다양한 분야에 관한 귀중한 정보가 담겨져 있는 한국학 분야의 주요 고전이다. 그 가치에 비해 <송천필담>은 번역이 이루어지지 않아, 지금까지 일부 전공자들의 연구 논문에 산발적으로 인용되어 올 뿐이었다. 번역본의 출간은 해당 분야 연구의 활성화를 촉진시킬 뿐 아니라, 일반 대중들에게도 한국학에 관한 풍부한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점이 본 연구의 주요 성과라 하겠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