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5-08
연구과제명
  • 국문 : 장서각 소장 한글본 『됴야긔문』에 대한 종합적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임치균
공동연구자
  • 이광호 / 본원 / 교수
  • 박재연 / 선문대학교 / 교수
  • 김주필 / 국민대학교 / 부교수
  • 황문환 / 본원 / 조교수
  • 박인호 / 금오공과대학교 / 부교수
  • 박용만 / 상지대학교 / 강사
연구기간 2005-05-02 ~ 2005-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23권 23책의 한글본 조야기문에 대하여 한문본을 참고하면서 『됴야긔문』의 편찬 체제, 국어학적 특징, 수록된 문학 작품의 의미를 밝혀 이 자료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인명과 지명 등의 고유 명사 색인 작업을 수행하여 자료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및 내용

 

박인호: 『됴야긔문』의 사학사적 연구

박재연: 『됴야긔문』의 번역 양상과 어휘론적 고찰

임치균: 『됴야긔문』에 수록된 서사문학

박용만: 『됴야긔문』에 수록된 한시

이광호: 『됴야긔문』의 문법적 고찰

김주필: 『됴야긔문』의 음운 현상

황문환: 『됴야긔문』의 어휘적 고찰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조야기문』에 대한 사학사적 고찰

   1. 머리말

   2. 『조야기문』의 편찬

   3. 『조야기문』에 나타난 편사정신

   4. 맺음말

 

○ 『됴야긔문』의 번역양상과 어휘론적 고찰

   1. 머리말

   2. 『됴야긔문』의 번역양상

   3. 『됴야긔문』의 어휘론적 고찰

   4. 차자표기

   5. 이두어  

   6. 맺는말

 

○ 한글본 『됴야긔문』에 수록된 서사문학

   1. 서론

   2. 한글본 『조야기문』의 의미

   3. 『조야기문』의 글쓰기 전략

   4. 『조야기문』과 고전 서사 문학

   5. 결론

 

○ 『됴야긔문』 수록 한시의 기능과 번역 양상

   1. 머리말

   2. 한시의 수록과 번역의 양상

   3. 인용한시의 기능

   4. 맺음말

 

○ 『됴야긔문』의 문법적 고찰

   1. 머리말

   2. 곡용

   3. 활용

   4. 서법

   5. 맺음말

 

○ 『됴야긔문』(朝野記聞)의 음운현상

   1. 서언

   2. 자음 관련 음운현상

   3. 모음 관련 음운현상

   4. 마무리

 

○ 『됴야긔문』의 어휘적 고찰

   1. 머리말

   2. 언해시기의 추정

   3. 어휘 변천의 이해

   4. 고어사전의 보완

   5. 맺는말

 
연구결과

 

박인호: 『됴야긔문』의 편찬 체제와 시기를 고찰하고, 그 편사 정신을 살폈다.

박재연: 『됴야긔문』에 드러난 逐字的 번역 양상을 살피고, 그 안에 수록된 어휘의 특징을 사전적 의미에서 검토하였다.

임치균: 『됴야긔문』의 글쓰기 전략을 먼저 밝히고 그로 인한 문학 수록의 한계와 그 의미에 대하여 살폈다.

박용만: 『됴야긔문』에 수록된 한시의 총량을 제시하고, 그것이 역사 기술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에 대하여 살폈다.

이광호: 『됴야긔문』에 드러난 문법적 현상을 곡용, 활용, 서법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김주필: 『됴야긔문』에 드러나고 있는 음운 현상을 자음과 모음으로 대별하여 그 속에서 구개음화 등의 현상을 탐구하였다.

황문환: 『됴야긔문』에 드러난 어휘적 양상을 바탕으로 언해 시기를 추정하였고, 어휘 변천의 양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됴야긔문』의 편찬 체제와 시기가 추정되었으며 그 편사 정신을 검토하였다. 뿐만 아니라 『됴야긔문』의 글쓰기 전략을 밝히고, 그 속에서 문학 작품이 역사 기술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를 밝혀 『됴야긔문』만의 특징을 찾아내었다. 또한 『됴야긔문』에 대한 어학적 고찰을 시도하여 필사본에 드러나고 있는 문법적 현상과 음운 현상을 탐구하는 한편 그 속에 드러난 어휘적 양상을 바탕으로 언해 시기와 어휘 변천의 양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됴야긔문』에 대한 종합적 연구로서 가치를 가진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