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5-07
연구과제명
  • 국문 : 고려시대의 儒·佛 교섭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건곤
공동연구자
  • 이종문 / 계명대학교 / 교수
  • 안장리 / 본원 / 책임연구원
  • 여운필 / 신라대학교 / 교수
  • 이진오 / 부산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2005-04-22 ~ 2005-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1. 고려시대에는 유교를 치국이념으로 삼고 사상적으로 불교를 국교로 삼았던 바, 유학의 소양을 갖춘 문인들과 불교의 승려들 사이에 긴밀한 교섭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양자 간의 수창도 매우 활발하였다. 그러나 그간의 연구는 문인들의 문학과 승려들의 문학을 분리하여 진행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려시대 문학의 폭넓은 이해를 위하여 문인들과 승려들의 문학적 교섭양상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2. 이를 위하여 문인의 경우 고려 전기, 무신 집권기, 성리학 도입기, 고려 말기로 나누어 승려와 교유한 양상을 살피고, 반대로 승려의 입장에서 문인과 교유한 모습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및 내용

1. 고려 전기 문인의 승려 교유

2. 무신 집권기 문인의 승려 교유

3. 성리학 도입기 문인의 승려 교유

4. 고려 말기 문인의 승려 교유

5. 고려시대 승려의 문인 교유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고려전기 문인의 승려 교유

    - 최행귀와 균여, 김부식과 혜소의 교류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고려 전기 문사와 승려의 교류

       (1) 최행귀와 균여의 교류

       (2) 김부식과 혜소의 교류

    3. 맺음말

 

○ 고려 무신 집권기 문인의 승려 교유

    1. 서론

    2. 이인로의 승려와 교유

    3. 이규보의 승려와 교유

    4. 이장용·김구의 승려와 교유

    5. 결론

 

○ 고려 성리학 도입기 문인의 승려 교유

    1. 서론

    2. 이제현의 불교에 대한 인식과 태도

    3. 이제현의 불교 관련 저술과 승려교유

    4. 식영암의 정체에 대한 재론

    5. 결론

 

○ 고려 말기 문인의 승려 교유

    1. 서언

    2. 삼은의 불교관

    3. 삼은과 승려의 교유 및 관련시작의 개황

    4. 증승시의 제재별 양상

       (1) 인간적 교정

       (2) 불교에 대한 예찬과 선승의 정신적 경지에 대한 동경

 
연구결과

1. 고려 전기의 경우, 최행귀-균여, 김부식-혜소의 교유양상을 분석하였으며, 무신집권기는 이인로-요일·각훈·혜문, 이규보-혜문·수기, 백련결사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성리학 도입기는 이제현-식영암의 사례를 살피는 한편 그동안 문제가 되었던 식영암의 정체를 새로이 조명하였으며, 말기는 삼은-환암·만우·죽간·절간의 시적 교유를 분석하고, 승려가 문인과 교유한 사례는 혜심·천책·충지·경한·보우·나옹의 경우를 살폈다.

2. 본 연구는 유·불간의 교유와 관련 있는 문인과 승려들을 집중적으로 다룬 데 의의가 있으며, 식영암의 정체를 바로잡은 것도 성과 중의 하나이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