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5-06
연구과제명
  • 국문 : 21세기 과학기술 문명과 윤리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2: 거시윤리 이론의 적용과 실천
  • 영문 : -
연구책임자 도성달
공동연구자
  • 유병렬 / 서율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 교수
  • 추병완 / 춘천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 부교수
  • 류지한 / 동의대학교 철학윤리학과 / 조교수
연구기간 2005-04-22 ~ 2005-11-30 연구형태 자체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본 연구는 작년도 연구과제인 “21세기 과학기술문명과 윤리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거시윤리이론”의 후속 연구로서, 현대 과학기술문명이 던져주는 윤리적 메시지를 탐구하고 그 과제와 처방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의 미시윤리적 관점에서 다루어 온 윤리적 주제와 쟁점들을 거시윤리학적 이론과 방법을 통해서 실천윤리의 새로운 방향과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환경윤리 이론의 쟁점과 난점: 거시윤리적 대안

  1. 머리글: 왜 환경윤리의 대안 모색인가?

  2. 환경윤리이론의 주제와 쟁점

  3. 기존 환경윤리이론의 난점과 문제점

  4. 거시윤리는 환경윤리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

  5. 요약 및 결론

 

○ 거시윤리의 도덕교육에 관한 연구

  1. 머리말: 거시윤리적 도덕교육의 의의와 기본방향

  2. 거시윤리의 등장배경과 기존윤리의 한계에 대한 이해의 형성

  3. 거시윤리의 윤리학적 지식과 도덕의식의 형성

  4. 거시윤리적 관점의 도덕적 사고 및 판단 능력의 육성

  5. 거시윤리적 삶을 위한 도덕적 덕들의 육성

  6. 거시윤리적 도덕교육의 지도 방안

  7. 맺음말

 

○ 정보윤리학의 거시윤리학적 접근

  1. 머리말

  2. 정보윤리학의 개념과 역사적 전개

  3. 거시윤리학적 관점에서의 정보윤리학의 필요성과 성격

  4. 거시윤리학적 관점에서의 정보윤리학 연구주제

  5. 맺음말

 

○ 거시윤리에서 본 세계의 기아와 빈곤

  1. 풍요로운 세계에서 기아와 빈곤: 하나의 윤리적 딜레마

  2. 세계 기아의 특별한 도덕적 지위와 지구윤리의 필요성

  3. 세계 기아와 기존 윤리의 한계

  4. 세계 기아문제에 대한 거시윤리적 접근

  5. 맺음말

 
연구결과

 

당초 연구계획은 “거시윤리이론의 실천윤리적 원리와 방법론”이라는 장을 서론으로 설정하였으나 연구진들의 논의과정에서, 별도의 장 설정이 불필요하다는 결정으로 삭제하고, 그 대신 각 장별로 거시윤리적 방법론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윤리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는 “거시윤리이론”의 이념과 원리를 실천윤리 차원에서 실제로 적용해봄으로써 거시윤리이론의 미시윤리이론과의 유사성, 차별성, 정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응용윤리 연구이다.

1장, 거시윤리의 쟁점과 난점

2장, 정보윤리학의 거시윤리학적 접근

3장, 거시윤리에서 본 세계의 기아와 빈곤

4장, 거시윤리의 도덕교육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