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2005-06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도성달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5-04-22 ~ 2005-11-30 | 연구형태 | 자체 |
연구목적 및 배경 | |||
연구방법 및 내용 |
본 연구는 작년도 연구과제인 “21세기 과학기술문명과 윤리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거시윤리이론”의 후속 연구로서, 현대 과학기술문명이 던져주는 윤리적 메시지를 탐구하고 그 과제와 처방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의 미시윤리적 관점에서 다루어 온 윤리적 주제와 쟁점들을 거시윤리학적 이론과 방법을 통해서 실천윤리의 새로운 방향과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환경윤리 이론의 쟁점과 난점: 거시윤리적 대안 1. 머리글: 왜 환경윤리의 대안 모색인가? 2. 환경윤리이론의 주제와 쟁점 3. 기존 환경윤리이론의 난점과 문제점 4. 거시윤리는 환경윤리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 5. 요약 및 결론
○ 거시윤리의 도덕교육에 관한 연구 1. 머리말: 거시윤리적 도덕교육의 의의와 기본방향 2. 거시윤리의 등장배경과 기존윤리의 한계에 대한 이해의 형성 3. 거시윤리의 윤리학적 지식과 도덕의식의 형성 4. 거시윤리적 관점의 도덕적 사고 및 판단 능력의 육성 5. 거시윤리적 삶을 위한 도덕적 덕들의 육성 6. 거시윤리적 도덕교육의 지도 방안 7. 맺음말
○ 정보윤리학의 거시윤리학적 접근 1. 머리말 2. 정보윤리학의 개념과 역사적 전개 3. 거시윤리학적 관점에서의 정보윤리학의 필요성과 성격 4. 거시윤리학적 관점에서의 정보윤리학 연구주제 5. 맺음말
○ 거시윤리에서 본 세계의 기아와 빈곤 1. 풍요로운 세계에서 기아와 빈곤: 하나의 윤리적 딜레마 2. 세계 기아의 특별한 도덕적 지위와 지구윤리의 필요성 3. 세계 기아와 기존 윤리의 한계 4. 세계 기아문제에 대한 거시윤리적 접근 5. 맺음말 |
||
연구결과 |
당초 연구계획은 “거시윤리이론의 실천윤리적 원리와 방법론”이라는 장을 서론으로 설정하였으나 연구진들의 논의과정에서, 별도의 장 설정이 불필요하다는 결정으로 삭제하고, 그 대신 각 장별로 거시윤리적 방법론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윤리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는 “거시윤리이론”의 이념과 원리를 실천윤리 차원에서 실제로 적용해봄으로써 거시윤리이론의 미시윤리이론과의 유사성, 차별성, 정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응용윤리 연구이다. 1장, 거시윤리의 쟁점과 난점 2장, 정보윤리학의 거시윤리학적 접근 3장, 거시윤리에서 본 세계의 기아와 빈곤 4장, 거시윤리의 도덕교육에 관한 연구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