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하되, 관련 자료(기록화, 복식유물)를 풍부히 수집·비교하여 대한제국기의 궁중 진연의 실상을 파악하고자 함. 특히 일제강점기 왕실 의례에 관한 사료의 발굴에도 관심을 갖고자 함.
◯ 연구내용
1. 조선후기 진연·진찬 의궤를 중심으로 궁중 진연문화의 내용·절차·의미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하고자 함.
2. 금년도에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의궤 자료를 대상으로 연구작업을 수행함. 특히 조선후기 궁중의 잔치와 관련된 제도의 정착과정에 주목하여 각 분야의 연구를 진행함.
3. 미술, 의례, 문학, 음식, 복식, 음악·무용 등 6개 분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 함.
4. 금년도의 연구대상 의궤 자료는 다음과 같음.
진연의궤 (규장각,진연의궤3) 1901(광무05,신축)*
진연의궤 (장서각,2-2867) 1901(광무05,신축)*4책(활)
진연의궤 (장서각,2-2868) 1901(광무05,신축)*4책(활)
진찬의궤 (규장각,진찬의궤7) 1901(광무05,신축)
진찬의궤 (장서각,2-2881) 1901(광무05,신축)*4책(활)
진연의궤 (장서각,2-2869) 1902(광무06,임인,04월)*4책(활)
진연의궤 (규장각,진연의궤4) 1902(광무06,임인,04월)*
진연의궤 (국립,일산고159-18) 1902(광무06,임인,11월)*3잔
진연의궤 (장서각,2-2870) 1902(광무06,임인,11월)*4책(활)
진연의궤 (장서각,2-2871) 1902(광무06,임인,11월)*4책(활)
진연의궤 (규장각,진연의궤5) 1902(광무06,임인,11월)*
|
참고문헌 |
[영인본 의궤자료]
『한국음악학자료총서』 3(진작의궤 · 진찬의궤). 서울:국립국악원, 1980. 266쪽.
『한국음악학자료총서』 4(시용무보 · 정재무도홀기). 서울:국립국악원, 1980. 201쪽.
『한국음악학자료총서』 6(진찬의궤). 서울:국립국악원, 1981. 151쪽.
『한국음악학자료총서』 13(풍정도감의궤 · 숙종기해진연의궤 · 자경전진작정례의궤). 서울:국립국악원, 1983. 212쪽.
『한국음악학자료총서』 23(인정전악기조성청의궤 ·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 · 사직악기조성청의궤 · 진찬의궤). 서울:국립국악원, 1987. 294쪽.
『한국음악학자료총서』 24(진연의궤). 서울:국립국악원, 1987 196쪽.
『한국음악학자료총서』 29(종묘의궤). 서울:국립국악원, 1990. 230쪽.
『한국음악학자료총서』 30(진연의궤 · 수작의궤). 서울:국립국악원, 1992. 184쪽.
[史書 · 法典 · 辭典 · 事典]
C. A. S Williams, Outlines of Symbolism & Art Motives. 이용찬 外 共譯, 『중국문화 중국정신』, 대원사, 1989.
『古法典用語集』, 法制處, 1979.
『國朝五禮儀』 『國朝五禮儀 序例』, 1474.
『國朝五禮儀』, 法制資料 118-126. 法制處, 1982.
『國朝五禮儀補』 1751.
『續大典』, 法制處資料志, 第19輯, 1979.
『六典條例』, (禮典, 工典). 법제자료 제 65집, 法制處 번역본, 1974.
『朝鮮王朝實錄』. 國史編纂委員會, 1963.
『春官通考』.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영인본, 1975.
金榮胤, 『韓國書畵人名辭書』. 漢陽文化社, 1959.
吳世昌, 『槿域書畵徵』, 新韓書林, 1970.
이희승 편저, 『국어대사전』, 民衆書林, 199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찬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論著 및 圖錄]
姜寬植, 「朝鮮後期 奎章閣 의 差備待令畫員制」. 『澗松文華』 47, 1994.
姜萬吉, 『朝鮮後期商業資本의 發達』. 고려대학교 출판부, 1973.
고방자, “조선시대 정재 반주음악고,” 『한국무용연구고』(서울:한국무용연구회, 1994), 제12집.
고방자, “조선시대 정재반주 악곡명의 역사적 변천에 대한 연구-기축년 「진찬의궤」를 중심으로-,” 『한국음악학논집』(경산:한국음악학연구회, 1994)
김상빈, 『朝鮮 王朝 儀軌 飮食 文化』(수학사, 1995)
김영봉, “朝鮮朝 儀軌에 나타난 宴禮樂의 變遷”(서울大學校, 1992, 석사논문)
金英淑, 孫敬子 共編著, 『韓國股飾史料選集』.
金用淑, 『朝鮮朝 宮中風俗硏究』. 一志社, 1986.
김우진, “악기 형태의 변화에 대한 연구-진연의궤의 악기도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연구』(1989), 제17 · 18집 합병호.
김종수, 『조선시대 궁중연향과 여악연구』(서울: 민속원, 2001)
김종수, 『여령정재홀기』(서울: 민속원, 2001)
金哲淳, 『民畵論考』. 藝耕出版社, 1994.
김현지, “영조조 편경 제작과정 연구-‘인정전악기조성청의궤’를 중심으로-,” 경산: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南相淑, 「무신년(戊申年)진찬도(進饌圖)에 관한 고찰」, 『國樂院論文集』, 第三輯, 國立國樂院, 1991, pp. 5-26.
朴炳善 編著, 『朝鮮朝의 儀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朴銀順, 「朝鮮朝 後期 進饌儀軌와 進饌儀軌圖 - 己丑年進饌儀軌를 중심으로」.『民族音樂學』 第17輯, 서울대학교 東洋音樂硏究所, 1995, pp. 175-209.
朴廷蕙, 「<水原陵行圖屛> 硏究」. 『美術史學硏究』, 189, 1991, pp. 27-68.
박정혜, 「儀軌를 통해서 본 朝鮮時代의 畵員」. 『미술사연구』 제 9호, 1995, pp. 203-290.
박정혜,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연구』(서울: 일지사, 2000)
송방송, “『인정전악기조성천의궤』의 문헌적 검토,” 『한국문화』(서울:한국문화연구소, 1994), 제15집, 346-382쪽.
송방송, “악기조성청의궤의 사료적 가치-『인정전악기조성천의궤』를 중심으로-,” 『국악원논문집』(서울:국립국악원, 1994), 제6집, 91-124쪽.
宋芳松, 「己丑年 『進饌儀軌』의 共演史料的 性格 - 音樂資料와 呈才資料를 중심으로」. 『韓國文化』 16,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995. 12, pp. 127-180.
송혜진, “『종묘의궤』 해제,” 『한국음악학자료총서 제29권 종묘의궤』(서울:국립국악원, 1990), 3-16쪽.
安輝濬, 「韓國民畵小考」, 『民畵傑作選』. 호암미술관, 1983.
안휘준, 『朝鮮王朝實錄의 書畵史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3.
안휘준, 『韓國繪畵史』. 一志社, 1980.
吳世昌, 『畵寫兩家譜錄』. 筆寫本, 1916. 國立中央圖書館, 古-3126-1(葦昌 古書-4402-5). 또는 『李朝繪畵』 (知識産業사, 1975) 별권부록, pp. 181-213.
劉復烈 編, 『韓國繪畵大觀』. 문교원, 1969
劉頌玉, 『朝鮮王朝 宮中 儀軌 服飾』. 修學社, 1991.
이강근, 『한국의 궁궐』. 빛깔있는 책 107, 대원사, 1991
이성미, 『朝鮮時代御眞關係都監儀軌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李成美, 姜信沆, 劉頌玉, 共著, 『藏書閣所藏 嘉禮都監儀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임미선, “조선시대 전정헌가와 등가,” 『규장각 소장 의궤에 의한 조선후기 음악문화』(서울: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부설 동양음악연구소, 1994)
장사훈, “무복과 악복의 역사적인 변천에 관한 연구- 특히 악학궤범과 각종 진연의궤를 중심으로-,” 『민족음악학』(1985), 제7집
趙善美, 『韓國의 肖像畵』. 悅話堂, 1983.
趙鏞珍, 『동양화 읽는법』. 집문당, 1989.
崔美姬, “光武6年(1902) 進宴儀軌에 나타난 呈才服飾”(明知大學校, 1997, 석사논문)
『宮陵所藏遺物目錄』, 문화재관리국, 1985.
『宮中遺物圖錄』, 문화재관리국, 1986.
『故宮書畵錄』, 增訂本 4, 대만 故宮博物館, 1965.
『民畵傑作選』, 호암미술관 전시목록. 삼성미술문화재단, 1983
『華城 城役 儀軌』(수원시 編, 신구문화사, 1977)
『조선시대 진연 진찬 진하병풍』(서울: 국립국악원, 2001)
『조선조 궁중의례와 음악』(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원행을묘정리의궤』(수원시, 1996)
『園行乙卯整理儀軌(상·중·하)』(서울대학교 규장각, 199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