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3-03
연구과제명
  • 국문 : 장서각 낙선재본 고전소설 연구 2
  • 영문 : -
연구책임자 임치균
공동연구자
  • 박일용 / 홍익대학교 / 교수
  • 장효현 / 고려대학교 / 교수
  • 송성욱 / 가톨릭대학교 / 부교수
연구기간 2003-03-01 ~ 2003-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과제
연구목적 및 배경

   본 연구는 장서각 소장 낙선재본 고전소설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들 자료는 1960년대에 학계에 보고되었지만, 아직 연구 성과는 미미한 상태이다. 특히 보고를 즈음하여 이루어졌던 연구 성과들에 대해서도 재검토가 요구된다. 그 이유는 대장편소설에 대한 연구 성과가 축적되면서 새롭게 해석될 여지가 많기 때문이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재해석의 여지가 있거나,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연구되지 않은 작품인 <낙천등운>(5책), <화문록>(7책), <천수석>(9책), <청백운>(10책)을 살피고자 한다.

 

   연구자가 각각 장서각 소장 소설을 각각 한 작품씩 맡아서 연구하기로 하였다.
   연구자가 담당한 작품은 다음과 같다.

 

   임치균 - <청백운>, 박일용 - <낙천등운>
   장효현 - <화문록>, 송성욱 - <천수석>

 

   이들 작품에 대한 분석 또는 해석과 함께 소설사적인 위치도 함께 검토해보기로 하였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1. 공동 연구자들이 각각의 분야에 맞게 역할을 분담한다.

        - 임치균, <청백운> 연구
        - 박일용, <낙천등운> 연구
        - 장효현, <화문록> 연구
        - 송성욱, <천수석> 연구

    2. 비슷한 시기의 작품인 만큼, 각 연구자들이 작품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한다.

 

○ 연구내용

    본 연구는 <낙천등운>(5책), <화문록>(7책), <천수석>(9책), <청백운>(10책)에 대한 기존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새롭게 살피고자 한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다음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1) 자료에 대한 서지적 검토

    2) 작품 분석(기존 연구 성과 활용)

    3) 작품의 소설사적 의미 규명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청백운> 연구

1. 서론
2. <청백운> 순차 단락
3. <청백운>의 몇 가지 특징
4. <청백운>에 드러난 여성 시각
5. 결론

 

여성 향유층과의 관계에서 본 낙천등운(落泉登雲)의 형상화 방식

1. 서론
2. 낙천등운의 구성과 갈등구조
3. 창가에서 지킨 순백의 순결과 여주인공 동예아의 형상
4. 결연 형식을 초월한 믿음과 사랑의 구현자 왕석작의 형상
5. 결론

 

<화문록>의 여성 형상과 작가의식

1. 머리말
2. <화문록>의 서사 전개
3. 이소저의 인물형상과 작가의식
4. 호소저의 인물형상과 작가의식
5. 맺음말

 

<천수석> 연구

1. 서론
2. 텍스트의 축약 정도
3. 텍스트의 결함과 그 이유
4. 늑혼담의 진행 과정과 그 특이성
5. 작가의식과 소설사적 의미
6. 결론

연구결과

당초 계획하였던 성과가 이루어졌다.

참고문헌

1) 자료집

   <낙천등운>
   <화문록>
   <천수석>
   <청백운>
   <창선감의록>
   < 화산선계록>

 

2) 논저

   - 김진세, "낙선재본 소설의 특성", 『정신문화연구』 통권 44호, 1991.
   - 박재연, "조선시대 중국통속소설 번역본에 대한 연구", 외대 박사논문, 1993.
   - 심경호, "낙선재본소설의 선행본에 관한 일고찰", 『정신문화연구』 통권38호, 1990.
   - 이상택, "낙천등운고", 『낙천등운』, 1971.
   - 이상택, 『한국고전소설의 탐구』, 중앙출판, 1981.
   - 이수봉, 『가문소설연구』, 형설출판사, 1978.
   - 이수봉, "화문록 연구", 『개신어문연구』 1, 1981.
   - 임치균, 『조선조 대장편소설 연구』, 태학사, 1996.
   - 임형택, "17세기 규방소설의 성립과 창선감의록", 『동방학지』 57, 1988.
   - 장효현, "장편가문소설의 성립과 존재양태", 『정신문화연구』 통권 44호, 1991.
   - 정병욱, "이조 말기 소설의 유형적 특징", 『문화비평』 창간호, 1969.
   - 최길용, "천수석연작소설연구", 『국어교육연구』3, 1989.
   - 최길용, 『조선 연작소설 연구』, 아세아문화사, 1992.

 

   기타 관계 논저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