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2003-02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정윤재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3-03-01 ~ 2004-07-30 | 연구형태 | 공동연구과제 |
연구목적 및 배경 | 그동안 정치학, 역사학, 언론학, 사회학 등 국내학계의 많은 관심을 받아온 민세 안재홍의 사상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한 목적에서 본 연구진은 <연구내용>에 기술한 바와 같이 세부주제를 중심으로 민세를 새롭게 천착함으로써 민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킴은 물론 민세사상의 현대적 함의를 상론하고자 함.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 기본적으로 민세 안재홍의 저술(민세 안재홍선집 전5권)을 분석하고 기존연구업적들을 재검토하는 방법을 취할 것임.
○ 연구내용 1. 안재홍의 민족사관 연구 (이진한)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民世 安在鴻의 朝鮮史 硏究와 唯物史觀 1. 머리말 2. 上古史 연구와 比較史的 서술 3. 三國時代 이후의 서술과 보편성 4. 유물사관의 이해와 신민족주의 5. 맺음말
▨ 1930년대 안재홍의 문화건설론 ㅡ국제공산주의운동과 일제의 강압적 동화정책에의 비판적 대응ㅡ 1. 머리말 2. "정치적 시련기" 속의 안재홍 : 1930년부터 해방직전까지 3. 1930년대 식민지조선 인식과 민족사 비판: 정치적 평가 4. 국제공산주의운동 비판과 "국제적 민족주의" 5. 일제의 강압적 동화정책에의 대응 6. 맺음말 : 하나의 평가
▨ 8·15해방 후 중경임시정부 추대론 머리말 1. '중경임시정부 추대론'의 배경-해방을 맞으려는 준비 2. 중경임시정부 추대론의 논리 3. '중경임시정부 추대론'의 비교 맺는말
▨ 안재홍에 있어서 정치적 의무 I. 서론 II. 신민족주의와 신민주주의 : 정치교의로의 의의 1. 신민족주의 : 민주주의의 선행조건 2. 신민주주의 : 다사리의 현대적 변용 III. 중도적 정치노선 : 순정우익으로의 집결 1. 중앙(中央)의 개념 2. 순정우익: 협동과 통합의 주체 IV. 정치적 실질 : 권리와 의무의 기제 1. 국가와 개인 2. 권리와 의무의 상호성 V. 결론 |
||
연구결과 | 각 연구자들은 안재홍에 대한 심층 이해를 돕기 위해 본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원래의 연구계획을 충실하게 실행하면서 동시에 새로 발굴된 민세의 유고들을 검토함으로써 본래의 연구목적을 성실하게 달성하였음. 그리고 이러한 연구의 추진 결과 각 연구의 제목이 약간씩 조정되었으며 그에 따라 연구내용도 많이 보완되었음. 즉 본 연구과제의 각 논문은 각각 민세 안재홍의 조선사 연구와 유물사관, 1930년대 안재홍의 문화건설론, 8.15해방 후 중경임시정부 추대론, 안재홍에 있어서 정치적 의무, 등으로 약간씩 조정되었음. |
||
참고문헌 | (일부)
- 민세안재홍선집간행위원회. <민세안재홍선집> 제 1, 2, 3, 4, 5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