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3-02
연구과제명
  • 국문 : 민세 안재홍 심층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윤재
공동연구자
  • 이진한 / 고려대학교 / 부교수
  • 김인식 / 중앙대학교 / 초빙교수
  • 윤대식 / 충남대학교 / 연구교수
연구기간 2003-03-01 ~ 2004-07-30 연구형태 공동연구과제
연구목적 및 배경

   그동안 정치학, 역사학, 언론학, 사회학 등 국내학계의 많은 관심을 받아온 민세 안재홍의 사상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한 목적에서 본 연구진은 <연구내용>에 기술한 바와 같이 세부주제를 중심으로 민세를 새롭게 천착함으로써 민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킴은 물론 민세사상의 현대적 함의를 상론하고자 함.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 기본적으로 민세 안재홍의 저술(민세 안재홍선집 전5권)을 분석하고 기존연구업적들을 재검토하는 방법을 취할 것임.
   - 특히 각 주제별 연구를 심화시키는 차원의 연구를 강조할 것임.

 

○ 연구내용

   1. 안재홍의 민족사관 연구 (이진한)
   2. 안재홍의 문화건설론 연구 (정윤재)
   3. 안재홍에 있어서 정치적 의무 (윤대식)
   4. 안재홍에 대한 우익 demagogy 연구 (김인식)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民世 安在鴻의 朝鮮史 硏究와 唯物史觀

1. 머리말

2. 上古史 연구와 比較史的 서술

3. 三國時代 이후의 서술과 보편성

4. 유물사관의 이해와 신민족주의

5. 맺음말

 

▨ 1930년대 안재홍의 문화건설론 ㅡ국제공산주의운동과 일제의 강압적 동화정책에의 비판적 대응ㅡ

1. 머리말

2. "정치적 시련기" 속의 안재홍 : 1930년부터 해방직전까지

3. 1930년대 식민지조선 인식과 민족사 비판: 정치적 평가

4. 국제공산주의운동 비판과 "국제적 민족주의"

5. 일제의 강압적 동화정책에의 대응

6. 맺음말 : 하나의 평가

 

8·15해방 후 중경임시정부 추대론

머리말

1. '중경임시정부 추대론'의 배경-해방을 맞으려는 준비

2. 중경임시정부 추대론의 논리

3. '중경임시정부 추대론'의 비교

맺는말

 

안재홍에 있어서 정치적 의무

I. 서론

II. 신민족주의와 신민주주의 : 정치교의로의 의의

   1. 신민족주의 : 민주주의의 선행조건

   2. 신민주주의 : 다사리의 현대적 변용

III. 중도적 정치노선 : 순정우익으로의 집결

   1. 중앙(中央)의 개념

   2. 순정우익: 협동과 통합의 주체

IV. 정치적 실질 : 권리와 의무의 기제

   1. 국가와 개인

   2. 권리와 의무의 상호성

V. 결론

연구결과

   각 연구자들은 안재홍에 대한 심층 이해를 돕기 위해 본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원래의 연구계획을 충실하게 실행하면서 동시에 새로 발굴된 민세의 유고들을 검토함으로써 본래의 연구목적을 성실하게 달성하였음. 그리고 이러한 연구의 추진 결과 각 연구의 제목이 약간씩 조정되었으며 그에 따라 연구내용도 많이 보완되었음. 즉 본 연구과제의 각 논문은 각각 민세 안재홍의 조선사 연구와 유물사관, 1930년대 안재홍의 문화건설론, 8.15해방 후 중경임시정부 추대론, 안재홍에 있어서 정치적 의무, 등으로 약간씩 조정되었음.

참고문헌

(일부)

 

- 민세안재홍선집간행위원회. <민세안재홍선집> 제 1, 2, 3, 4, 5권.
- 정윤재/박찬승/김인식/조맹기/박한용. 2002. <민족에서 세계로>. 봉명.
- 김인식. 1997. <안재홍의 신민족주의 사상과 운동>. 중앙대 박사학위논문.
   _____. 2000. "신민족주의의 정치사상적 검토" <정신문화연구>. 제23권 1호(봄).
- 윤대식. 1992. <민세 안재홍의 정치사상과 정치노선>. 외국어대 석사논문.
- 윤민재. 1999. <한국의 현대국가형성과정에서의 중도파의 위상에 관한 연구, 1945-1950>.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 정윤재. 2001. <다사리국가론: 민세안재홍의 사상과 행동>. 백산서당.
   _____. 2002. <다사리공동체를 향하여: 안재홍평전>. 한울.
- 천관우. 1978. "민세안재홍 연보." <창작과 비평> 겨울호.
- 한영우. 1994. <한국민족주의사학>. 일조각.
   _____. 1987. "안재홍의 신민족주의와 사학."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1집.
- 유병용. 1986. "민세 안재홍의 정치사상에 대한 재검토." 한국독립운동사연구회 편. <한국민족운동사연구1>. 지식산업사.
- 박찬승. 2002. "1930년대 안재홍의 민족주의론과 민세주의론." 제1회 민세학술심포지움발표논문.
- 오영섭. 1998. "해방후 민세 안재홍의 민공협동연구."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 <태동고전연구>. 제15집.
- 정영훈. 1992. "안재홍의 신민족주의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정신문화연구>. 제48호.
- 한국사학회 편. 1987. <한국현대인물론 I>. 을유문화사.
- 역사문제연구소편. 1991. <한국현대사의 라이벌>. 역사비평사.
- 이지원. 1991. "안재홍론." 한국역사연구회 주최 제3회 학술대토론회. 발표논문.
- 신용하. 1985. "안재홍과 신간회" <근대한국과 한국인>. 한길사.
   _____. 1983. <한국현대사회사상>. 지식산업사.
- 유경환. 1986. "민세 안재홍, 순도자의 신민족주의." <월간조선>. 10월호.
- 송남헌. 1990. <해방3년사, 1945-1948>. 까치.
- 심지연. 1988. <민족주의 논쟁과 통일정책>. 한울.
- 송건호 외. 1985. <해방전후사의 재인식 1>. 돌베개.
- 김학준. 1990. <한국정치론사전>. 한길사.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