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3-01
연구과제명
  • 국문 : 潛谷 金堉에 관한 종합적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박병련
공동연구자
  • 곽진 / 상지대학교 / 교수
  • 이헌창 / 고려대학교 / 교수
  • 이영춘 / 국사편찬위원회 / 편사연구관
연구기간 2003-03-01 ~ 2004-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과제
연구목적 및 배경

   잠곡 김육은 영의정을 비롯해서 조선조 정부의 요직을 거치면서 재정과 행정, 민정에 있어서 당시의 정치사회적 환경에서 볼 때는 매우 독특한 시각을 가졌던 인물로서 조선 정치사나 사상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갖고 있는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대동법' 등 재정개혁에 관련한 극히 적은 수의 연구결과만 나와 있다. 따라서 조선조 정치 · 사회사상사에서 그가 차지하는 중요성에 비해서는 지나치게 연구가 소략한 것으로 판단된다. 김육은 성리학적 정치이데올로기가 고착화되던 시대에 보기 드문 경세적인 정치적 성향을 드러낸 인물로서 집권 서인의 중진이면서도 대동법 시행을 두고 서인당파의 이념적 영수였던 김집과 갈등을 일으켰고, 실학적 관심을 드러내는 저술과 정책 등이 일관되게 나타나는 인물이다. 김육에 대한 종합적이고도 심층적인 연구는 조선 후기 사상사의 흐름과 맥락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풍요롭게 하는 데 매우 중요하고, 소위 실학파의 등장과 어떤 연관성을 갖는 것인가도 본격적으로 탐색해봐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형식상 문헌 연구가 주가 되겠지만, 연구 분야에 따라서는 역사적 접근방법과 사상사 연구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연구기법들이 동원될 것이다. 우선은 김육이 남겨 놓은 저술들을 자신의 사상과 가치관을 표현한 것, 정책적 필요에서 저술한 것, 정치과정에서 남겨놓은 疏箚 등, 실록 등에 나타난 제 3자의 記述 등으로 분류한 다음, 이러한 資料群들이 가질 수 있는 의미를 맥락에 따라 다르게 취급할 것이다.

 

 

○ 연구내용

   1) 조선중기 당쟁의 중요 이슈와 김육과 그 가계의 입장(이영춘)
      김육이 처해 있던 당시 정치사회의 특성과 김육의 정치적 학문적 입장을 살펴본다. 그와 그의 후손들은 서인 세력의 한 축을 형성하면서도 관념적인 山黨과 대립하였는데, 그 대립의 중요 이슈와 이면의 배경을 종합적 시각에서 다양한 視座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2) 잠곡 김육의 문학세계와 사회의식(곽진)
      김육 시의 주제와, 시 의식, 그리고 그 표현 양식 등을 통해 그의 시가 갖고 있는 詩史에 있어서의 위치와 의미를 찾아내고, 정치 사회사상과의 관련성을 구명해보려고 한다.

 

   3) 김육의 정치사상과 정치적 행위의 특징(박병련)
      김육이 제시하고 있는 여러 정책들과 정치적 행위의 배경에 있는 사상적 특성을 구명하고, 이러한 사상의 형성과정과 흐름을 추적해 볼 것이다. 즉, 주자학적 명분론과 화이론 등 집권 서인의 통치이데올로기가 고착화되어가던 시대상황에서 김육이 갖고 있던 사상적 무게중심이 어디에 있었는가? 그리고 그 사상의 구조와 내용은 어떤 것이었는가? 그리고 시대적 특수상황 속에서 선택되어진 그의 정치적 행위의 의미는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등을 살펴 볼 것이다.

 

   4) 잠곡 김육의 경제사상과 경제정책(이헌창)
      김육이 읽어내었던 당시 조선의 경제적 상황과 경제 및 조세정책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다음, 그러한 정책들의 배경에 있는 사상적 원형을 구명하고, 그의 경제 사상과 그가 제시하는 정책들과는 어떤 논리적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 볼 것이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김육의 경제사상과 경제정책

I. 머리말

II. 김육 경제사상의 특성

    1. 조선시대 유학사상의 특성과 경세사상의 조류

       (1) 조선시대 유학사상의 특성과 그 배경

       (2) 김육 시대 경세사상의 조류

    2. 김육 사상의 특성

       (1) 투철한 유학자로서의 김육

       (2) 김육 사상의 특성 ― 時務와 古學의 중시

       (3) 김육 사상의 특성을 낳은 요인들

   3. 김육 경제사상의 특성 ― 安民益國論

   4. 경제정책을 둘러싼 정치세력의 동향과 효종의 국정운영

III. 김육의 경제정책 구현활동과 그 기여

   1. 대동법의 추진

      (1) 조세제도의 개혁에서 대동법의 의의

      (2) 대동법의 확산을 제약한 요인

      (3) 대동법의 확산에서 김육의 기여

   2. 동전 유통의 추진

      (1) 김육 이전 시기의 화폐통용 정책

      (2) 동전 유통을 위한 김육의 노력

IV. 맺음말

 

 

朝鮮朝 務實論의 전개양상과 金堉의 政治思想

I. 머리말

II. 務實論의 역사적 연원에 대한 검토와 김육의 위치

   1. 名分論과 務實論의 사상적 맥락

   2. 李滉과 曺植의 學問談論이 갖는 政治的 含意

   3. 務實論 - 그 脫朋黨 · 脫學派的 전개상황

      1). 南冥學派의 무실론 - 鄭仁弘과 郭再祐의 例

      2). 漠黨계열의 무실론 - 申欽과 金堉의 例

III. 김육의 학문배경과 사상형성과정의 특징

   1. 김육의 학문배경

   2. 사상형성과정과 기본 특성

IV. 잠곡 정치사상의 내적 구조와 기본 틀

   1. '氣'를 통한 정치읽기-인간과 자연 사이의 感應論적 정치관-

   2. 정치적 사유의 기본 틀 - 唯實主義 -

   3. 도덕과 정치의 단절과 균형

V. 구체적 정책과정에서 나타난 잠곡의 정치사상

   1. 民本으로의 回歸 -安民·救民·休民·便民論-

   2. 朋黨을 超越한 實事求是的 政治思想

IV. 맺음말

 

 

17世紀 朝鮮 政治史에서 金堉과 靑風金氏 一 家의 浮沈

I. 序說

II. 金堉의 生涯와 17世紀 朝鮮의 政治史的 環境

   1. 金堉의 生涯

   2. 17世紀 朝鮮의 政治史的 環境

III. 山黨과 漢黨의 갈등

   1. 山黨의 진출과 申冕의 慘禍

   2. 大同法 시행을 둘러싼 山黨과 漢黨의 대립

IV. 金堉 死後 靑風金氏 가문의 정치적 부침

   1. 顯宗代 宋時烈 일파와의 대립 갈등

   2. 肅宗代의 勳戚政治와 金錫胄

V. 結語

 

 

潛谷 金堉의 漢詩에 나타난 憂國·愛民의 情調

1. 머릿말

2. 金堉의 家門과 官職生活

   (1) 家門과 婚脈

   (2) 出仕와 著述

3. 金堉 漢詩의 世界

   (1) 使行詩에 드러난 憂國의 情調

      1) 憂國에 受容된 經世觀

      2) 義理論의 現實的 變容

   (2) 處士的 삶과 田園生活의 憧憬

      1) 處士的 삶의 追求

      2) 田園生活의 憧憬

4. 結 論

연구결과

   '김육의 현실적 시세계와 주제표현양상(곽진)'에서는 김욱이 시를 통해 표현해 보려고 했던 주된 주제들과 아울러 한당의 시구들을 자신의 시상과 생각을 표현하는데 어떻게 구사하고 있는가를 드러내어 보였고, '조선조 무실론의 전개양상과 김육의 정치사상(박병련)'에서는 조선조 정치사상에서 명분론과 무실론의 지형을 개관하고, 김육사상이 갖고 있는 내적인 구조와 정책과정에서 나타난 구체적 정치사상을 살폈다. '김육의 경제사상과 경제정책(이헌창)'에서는 유교사상에 내포되어 있는 고전적 범주의 경제사상을 정리하고, 김육이 추진한 구체적 경제정책의 사상적 배경을 검토했다. '17세기 조선 정치사에서 김육과 청풍김씨 일가의 부침(이영춘)'에서는 김육, 김좌명, 김석주의 3대에 이르는 정치적 입장과 붕당활동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참고문헌

<기초 참고문헌>

   『朝鮮王朝實錄』
   『潛谷金集』 성대 대동문화연구소, 1975.
   『潛谷遺稿』, 아세아문화연구소, 1974.

 

<2차 참고문헌>

   『種德新編』, 『西征日錄』, 『類苑叢寶』
   김세봉, "金堉의 社會經濟政策 硏究", 『史學誌』 21집.
   이남복, "金堉의 思想과 歷史的 位置", 『史學誌』 14집.
   이헌창, 『金堉』 (문화공보부, 2000).
   한영국, "湖西에 實施된 大同法(上)", 『歷史學報』 제 13집.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