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중점연구/
과제코드 AKSR2018-KS01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의 인문(人文) 공간 : 서원(書院)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학수
공동연구자
  • 강문식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학예연구관
  • 김경은 / 한국학중앙연구원 / 연구원
  • 임선빈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선임연구원
  • 정은주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선임연구원
  • 이창일 / 한국학중앙연구원 / 책임연구원
  • 박용만 / 한국학중앙연구원 / 책임연구원
  • 김봉곤 / 원광대학교 / 연구교수
  • 김덕수 / 한국학중앙연구원 / 책임연구원
  • 성광동 / 한국학중앙연구원 / 책임연구원
  • 안장리 / 한국학중앙연구원 / 책임연구원
  • 정우락 / 경북대학교 / 교수
  • 김문식 / 단국대학교 / 교수
  • 정수환 / 한국학중앙연구원 / 책임연구원
  • 심재우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교수
  • 안승준 /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석연구원
  • 이수환 / 영남대학교 / 교수
  • 한형조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교수
  • 이민주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선임연구원
  • 이현주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선임연구원
  • 이남옥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전임연구원
  • 강문종 / 제주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2018-04-04 ~ 2018-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 한국학 교양서 발간을 통한 한국의 인문정신문화 자산의 발굴

서원의 주체였던 선비들의 사상과 이념, 그리고 서원 및 선비와 관련된 역사적 교훈과 진정성이 담긴 문화적 소스(Source)를 개발하여 한국 인문정신문화의 정수를 담은 양질의 한국학 교양서를 집필·발간한다.

조선의 대표적 인문학 공간인 서원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통해 한국문화와 인물의 다양한 측면을 밝히고, 이를 국내외에 보급함으로써 한국의 인문정신문화 자산의 발굴 및 확산에 기여한다.

. 조선시대 공론의 장, 서원에 대한 현대적 보급

전통시대 역사와 문화에 대한 국민적 요구의 증대와 더불어 변화하는 콘텐츠 환경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미디어로 활용 가능한 콘텐츠를 구축하여 연구성과의 보급을 극대화시킨다.

조선시대 사림의 정치·사회 및 학술·문화적 공론을 대변했던 서원을 중심으로 한 지식인들의 사상적 활동을 스토리텔링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에 바탕 한 한국정신의 지표 정립에 이바지한다.

학술문화의 중심지 서원을 문화사적으로 접근하여 한국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조명함으로써 우리 역사와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대중적 갈증을 해소시킨다.

. 한국 인문정신문화의 보급

한국문화에 대한 국내외적 관심이 증대되는 현실에서, 현대 한국인에게 모범이 되는 위인의 전형을 조선시대 지식인 그룹인 선비에서 찾고, 선비들의 학습처이자 여론의 생성 및 수렴처였던 서원을 하나의 문화적 현상으로 삼아 스토리텔링을 진행함으로써 양질의 한국 인문정신문화를 재미있고 유익하게 가공하여 국내외 학계 및 일반에 보급하고자 한다.

. 학술문화국가로서의 국격 제고

한국적 가치의 발굴과 조명을 통해 국민에게 양질의 정신문화자산을 제공함은 물론 대한민국의 문화 리더국가로서의 국제적 위상 제고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문화론적(文化論的) 접근을 통해 서원이 지니는 인문·정신문화적 측면에 주안점을 둠으로써 양질의 한국적 가치를 가려내어 그것의 역사적, 현대적 의미를 부여한다.

집필 내용은 서원과 제향 인물, 주변 경관을 대상으로 하며, 철학, 문학, 역사, 예술, 민속, 건축 및 경제 분야를 망라하여 내용의 다양성과 흥미를 증대시킨다.

대중 교양서의 특성상 쉽고, 재미있고, 유익한 서술에 역점을 두되, 역사적 사실에 대한 철저한 확인과 검증을 전제한다.

. 연구 내용

한국의 서원은 존현(尊賢)과 교학(敎學)의 공간이라는 점에서 보편성을 가지지만 지역·학파·정파에 따른 특수성이 엄연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서원이 지니고 있는 보편성과 특수성의 조화에 역점을 두고 인문정신문화를 조명하고자 한다.

집필의 주요 범주는 아래와 같다.

서원의 역사 : 창건·중건·이건 등 연혁

학풍과 지향 : 학술·문화적 특성과 사회적 영향

제향 인물 : 교훈적 행적·사상·선비정신 등

문학과 문예 : 시문으로 표현된 인문정경(人文情景)

서원 운영 : 인적 운영 및 경제적 운영 방식

경관과 건축 : 자연지리와 인문지리적 환경

일화 : 교훈과 감동을 담은 숨은 이야기

기타 : 각 서원의 역사적, 문헌적, 현장의 특성이 두드러진 영역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연구 방법

문화론적(文化論的) 접근을 통해 서원이 지니는 인문·정신문화적 측면에 주안점을 둠으로써 양질의 한국적 가치를 가려내어 그것의 역사적, 현대적 의미를 부여한다.

집필 내용은 서원과 제향 인물, 주변 경관을 대상으로 하며, 철학, 문학, 역사, 예술, 민속, 건축 및 경제 분야를 망라하여 내용의 다양성과 흥미를 증대시킨다.

대중 교양서의 특성상 쉽고, 재미있고, 유익한 서술에 역점을 두되, 역사적 사실에 대한 철저한 확인과 검증을 전제한다.

. 연구 내용

한국의 서원은 존현(尊賢)과 교학(敎學)의 공간이라는 점에서 보편성을 가지지만 지역·학파·정파에 따른 특수성이 엄연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서원이 지니고 있는 보편성과 특수성의 조화에 역점을 두고 인문정신문화를 조명하고자 한다.

집필의 주요 범주는 아래와 같다.

서원의 역사 : 창건·중건·이건 등 연혁

학풍과 지향 : 학술·문화적 특성과 사회적 영향

제향 인물 : 교훈적 행적·사상·선비정신 등

문학과 문예 : 시문으로 표현된 인문정경(人文情景)

서원 운영 : 인적 운영 및 경제적 운영 방식

경관과 건축 : 자연지리와 인문지리적 환경

일화 : 교훈과 감동을 담은 숨은 이야기

기타 : 각 서원의 역사적, 문헌적, 현장의 특성이 두드러진 영역

연구결과

. 한국인문정신문화의 보급

한국 선비문화의 산실인 서원과 제향 인물에 대한 탐색을 통해 한국인문정신문화의 정수를 채집하여 대중적 교육 자료로 활용하고, 이를 해외에 보급하여 대한민국의 문화강국으로서의 위상을 제고함.

연구자를 전공별, 지역별로 안배하여 연구진에 참여시킴으로서 학제간 연구에 바탕 한 스토리텔링의 질적 수준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지역문화 활성화와 한국 인문정신문화 강화의 목표를 동시에 달성함.

시각적 다양성과 이야기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학생층은 물론 일반 대중의 학술·문화적 욕구에 호응하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 이를 외국어역[영어·일본어·중국어 등] 출판을 통해 한국문화의 정수를 해외에까지 보급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음.

. 대중적 글쓰기 및 전자출판을 통한 다차원적 성과

대중적 성격이 강한 글쓰기와 화보의 조화를 통해 안정적인 편집과 가공 도모

수록 도판에 대한 저작권의 안정적인 확보를 통한 신속화고 효율적인 결과물 도출

유관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필진으로 연구 수준과 대중적 글쓰기의 조화를 실현하여 안정적인 시장성을 확보 할 수 있음.

참고문헌

경기대학교, 경기지역의 서원, 경기대학교 소성학술연구원, 2004.

경기대학교, 한국의 경기지역 서원, 국학자료원, 2004.

구산우 외, 경남의 서원, 선인, 2008.

김영나, 조선시대 사족의 위상과 존재양상, 朝鮮時代史學報 73, 2015.

김용우, 湖西士林의 형성에 대한 연구 : 16-17세기 湖西士族書院의 동향을 중심으로, 충남대 박사학위논문, 1993.

김자운, 朝鮮時代 紹修書院 講學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4.

윤희면, 조선의 서원과 양반, 집문당, 2004.

이수환, 朝鮮後期書院硏究, 一潮閣, 2002.

이호일, 조선의 서원, 가람기획, 2006.

전재강, 선비문학과 소수서원, 일지사, 200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古文書集成 -屛山書院篇- 63, 2002.

양진건, 朝鮮朝 濟州 敎育思想史 硏究,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김새미오, 구한말 제주 문인 해은 김희정의 삶과 문학, 탐라문화 54, 2017.

김성태, 우암 송시열의 유배가 제주교육에 미친 영향, 석당논총 59, 2014.

김문준, 우암 송시열의 학맥·학풍과 화양서원, 忠北學 4, 2002.

김영진, 華陽書院攷, 淸州大學校 博物館報 10, 1997.

김영진, 華陽書院의 역사적 고찰, 槐山文化 24, 1997.

김윤식, 朝鮮朝 書院文庫에 관한 一考察, 서지학연구 41, 2008.

김자운, 과거 대응 방식을 통해 본 소수서원 교육의 성격 변화, 퇴계학논집 20, 2017.

김자운, 조선시대 서원교육의 公的 기반 변화와 그 대응 소수서원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18-2, 2015.

김자운, 퇴계의 서원관과 조선후기 소수서원 강학의 변화, 퇴계학논집 18, 2016.

김자운, 16세기 소수서원 교육의 성격, 儒敎思想文化硏究58, 2014.

김자운, 19세기 소수서원 ????중용????강회의 특징과 퇴계학의 분화, 퇴계학논집 19, 2016.

박종배, 병산서원 교육 관계 자료 검토, 교육사학연구 18-2, 2008.

박종배, 학규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의 서원 강회, 교육사학연구 19-2, 2009.

박정해한동수, 기호학파와 영남학파 서원의 풍수적 특징비교 분석, 지역과 역사 29, 2011.

박정해, 紹修書院 立地環境風水, 퇴계학과 유교문화54, 2014.

박연숙, 朝鮮後期書院經濟에 대한 一考察 -魯岡書院財政構造分析中心으로-, 전북대 석사학위논문, 1989.

박현규, 屛山書院書冊目錄의 분석과 그 특징, 季刊書誌學報 14, 1994.

배현숙, 紹修書院 收藏刊行 書籍考, 書誌學硏究 31, 2005.

배현숙, 영남지방 서원장서의 연원과 성격, 대동한문학 46, 2016.

송정숙, 「????紹修書院 入院錄????분석 16·17세기를 중심으로 -, 書誌學硏究 34, 2006.

송정숙, 「『紹修書院 任事錄연구 16·17세기를 중심으로 -, 書誌學硏究 38, 2007.

양진건, 동계 정온 서원배향의 제주교육사적 의미‘, 교육사상연구 24, 2010.

양진건, 면암 최익현 제주유배한시에 나타난 교육적 태도와 제주교육에 미친 영향, 인문학논총 35, 2014.

영주시, 紹修書院 講學堂 文成公廟 實測調査報告書, 2003.

오갑균, 華陽洞 事蹟調査 報告歷史敎育 11·12, 1969.

윤동원, 屛山書院 고전적의 서목변천, 古典籍8, 2012.

윤무병, 紹修書院 講堂 上樑記, 考古美術 9, 1961.

윤희면, 紹修書院 罷格論爭, 李基白先生古稀紀念 韓國史學論叢, 1994.

이강훈, 옥산서원과 병산서원의 공간구성 비교분석, 건설기술논문집 32, 2013.

이수환, 서원 기록자료 정리의 현황과 과제, 민족문화논총52, 2012.

이수환, 17·18세기 安東 屛山書院社會·經濟的 基盤; 屛山書院 古文書 分析, 嶠南史學 3, 1987.

이완우, 華陽洞尤庵 事蹟, 藏書閣 18, 2007.

이정화, 소수서원 건립의 문화적 토대연구, 동양고전연구 48, 2012.

이해준, 호서지역 서원의 지역적 특성과 정치적 성격, 국학연구 11, 2007.

임근실, 16세기 서원의 장서 연구, 한국서원학보 4, 2017.

전용우, 華陽書院萬東廟에 대한 一硏究, 호서사학 18, 1990.

정만조, 우암 송시열과 화양동서원, 우암논총 1, 2008.

최선호, 화양동, 우암의 흔적은 바람처럼, 문헌과 해석 38, 2007.

최종희, 병산서원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자연과학논문집 18, 2007.

하현정.유인호, 병산서원의 배치형태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19, 2003.

한재훈, 조선시대 서원향사례 비교연구 9대서원 향사의절을 중심으로-, 퇴계학논집 20, 2017.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