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중점연구/고전자료의 현대화 연구
과제코드 AKSR2018-J05
연구과제명
  • 국문 : 장희빈 상장 등록 역주
  • 영문 : 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Jangheebin-Funeral ritual Deungrok(張禧嬪喪葬謄錄)
연구책임자 안장리
공동연구자
  • 김두규 / 우석대학교 / 교수
  • 이미선 / 한신대학교 / 초빙교수
  • 이동인 / 수원시정연구원 / 전문연구원
연구기간 2018-04-04 ~ 2018-11-30 연구형태 공동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왕실여성 상장례에 대한 연구의 외연 확대

의례(儀禮)는 모든 인간에 대하여 신분에 상응하는 위상을 부여하며 인간을 구별 짓는 차등의 논리를 제공한다. 조선시대 왕실의례는 조선 국왕을 중심으로 해석되어왔다. 왕실 여성의 의례도 국왕과의 관계 설정에 따라 차등화 되었다. 그러나 기존 상장례 연구는 국왕과 왕세자 등 왕위 계승자의 사례 연구에 편중되었다. 이에 내명부(內命婦) 내에서 명확한 신분적 위계를 보이는 왕실 여성의 상장 의례가 어떻게 차등적으로 실행되었는지 충분히 규명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결과적으로 왕실 문화의 실상에 대해 균형있는 시각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낸 것이다.

고전현대화 사업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본 자료는 장희빈상장례등록(K2-3006)이다. 후궁으로서 왕세자를 낳아 중전으로 비약적인 신분상승을 성취한 조선후기 대표적인 왕실여성인 장희빈(張禧嬪)의 죽음에 대한 보고서이다. 숙종 및 왕세자와의 관계 속에서 왕비의 상장의례가 어떻게 규정되고 실행되고 또 변화되는지에 대한 매우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므로 왕실여성의 의례가 차등 적용되는 실례를 그 어떤 자료보다 극적으로 제시해 줄 것으로 판단된다.

 

장서각 소장 자료의 특별한 의미

장희빈상장례등록는 장서각 유일본(唯一本)이다. 아울러 장희빈에 대해서도 유일한 자료이기도 하다. 장희빈에 관한 자료는 실록과 같은 관찬 사료와 인동장씨족보와 같은 가계 자료에 단편적으로 남아 있을 뿐이다. 장희빈에 관한 독립된 저술이 남아있지 않은 상황에서 그녀의 죽음을 두고 세 시기에 나누어 기술된 것은 매우 흥미 있으며 보기드믄 현상이다. 말하자면 작성 시기가 초장(初葬)-천장(遷葬)-추보(追報)3층 구조를 갖고 있다는 것은 본 자료만이 갖는 특징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본 과제는 연구논문이 아니라 연구번역이므로 자료의 개략적인 내용과 성격을 소개한다. 그리하여 본 항목을 번역서의 성격을 이해할 수 있 방식으로 바꾸어 아래와 같이 기술한다.

 

자료의 성격 : 3층 구조

○ 『장희빈상장등록은 세 차례에 걸쳐 기록되었다. 1701(숙종 27) 장희빈이 사사되었을 때 1717(숙종 43)년 강릉 유생 함일해(咸一海)가 초장지의 풍수문제를 거론하여 천장했을 때 1722(경종 2) 경종이 사친의 추보문제를 공식화했을 때. 이는 장희빈의 죽음은 세 차례의 변주가 있었다는 것이며, 텍스트는 보기 드물게 초장(初葬)-천장(遷葬)-추보(追報)3층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자료의 내용 : 18세기 전반 풍수(風水) 담론의 보고

첫째는 1701(숙종 27) 928~ 1703(숙종 29) 819. 숙종이 비망기(備忘記)를 통해 장희빈에게 자진을 명하는 날로부터 왕세자가 장희빈 묘소에 전배(展拜)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하는 내용 및 거애(擧哀) 의식 등에 대해 기술한 부분까지를 담고 있다. 전반적으로 장희빈 죽음에 따른 상장례 절차가 소상하게 기술되어 있는 점은 여느 상장례등록과 다를 바 없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주목되는 부분은 <산론별단(山論別單)> 부분이다. 이것은 관상감 지관(地官) 박진문(朴振門), 김두성(金斗星) 및 지방의 지사(地師) 최두명(崔斗明), 김하석(金夏錫), 권순태(權順泰) 등과 금천군(錦川君) 이지(李榰) 등 모두 6명이 장희빈의 장지후보지를 간심하고 제출한 보고서이다.

장지 후보지는 양주(楊州) 인장리(仁章里), 지평(砥平) 수동(壽洞), 여주(驪州) 북면(北面) 향동(香洞), 수원(水原) 용봉리(龍鳳里), 광주(廣州) 하도(下道) 등 총 5곳이다. 그리고 각 후보지의 풍수지리적 특징을 상세하게 기록한 것이다. 의궤나 여타의 등록에는 최종적으로 결정된 장지의 풍수론에 대해 간략하게 기술하는 것으로 그치는 반면 장희빈상장등록은 장지간산(葬地看山)과 구산(求山)부터 안장택일(安葬擇日)까지 풍수(風水)에 대한 상세한 논의가 기록되어 있다.

둘째는 1717(숙종 43) 1219~ 1719(숙종 45) 619. 제목은 인장리천장등록(仁章里遷葬謄錄)이다. 강릉 유생 함일해(咸一海)용은 있으나 혈이 없고, 수법(水法)에 부합하지 않다는 주장을 담은 상소문에 대한 논의부터 이장지로 결정된 광주 진해촌(眞海村) 주변의 가옥 및 전답에 대한 보상 문제를 기술한 부분까지를 담고 있다. 함일해가 장희빈의 초장지인 인장리의 풍수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발단이 되어 논의가 되었기에 인장리천장등록의 내용은 풍수에 관한 논의가 풍부하다.

천장지의 후보로 거론 된 지역은 광주 진해촌, 용인 어장포(於壯浦), 광주 복성동(福成洞) 3곳으로 압축되었다. 초장지가 잘못되었다는 메시지는 누구보다도 왕세자에게 심리적 부담을 주는 것이어서 정치적으로도 매우 민감한 사안이었다. 따라서 그 논의는 더욱 신중하고 조심스러웠다. 연산현감 이현치(李玄緻), 전 직장(直長) 하주(河柱), 유학(幼學) 유재화(柳載華), 겸교수(兼敎授) 김원명(金遠鳴), 겸교수 양재흥(楊再興), 부호군(副護軍) 이신정(李藎廷), 절충장군 김흥주(金興胄) 7명이 간산(看山)에 투입된 것만으로 당시의 신중한 태도를 간취할 수 있다.

셋째는 1722(경종 2) 112~ 1723(경종 3) 610. 제목은 추보등록(追報謄錄)이다. 경종의 즉위와 경종의 즉위를 옹호한 소론(少論) 정권은 국왕의 사친을 추보(追報)할 명분이 있었다. 경종이 사친에 대한 추보 절차를 문의하는 내용, 대신들의 의견수렴, 추보절목의 마련, 옥산부대빈개제주절목(玉山府大嬪改題主節目), 대빈사우(大嬪祠宇)의 영건, 이봉절목(移奉節目), 전배절목(展拜節目) 등에 대한 내용.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후궁 상장례등록

조선전기 세종대와 성종대에 완성된 국가전례서인 세종실록오례국조오례의는 국왕 내외와 세자빈 내외 위주로 정리되어 있다. 그래서 후궁의 상례가 발생했을 때 참고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헌적 상황과 예제의 미비 상태에서 장희빈상장등록은 매우 독특한 위상을 지닌다.

현존하는 후궁의 상장례등록이 총 6건이며, 이 가운데 가장 상위에 장희빈상장등록이 자리하고 있다. 앞으로 관련 연구에 의해 규명되어야겠지만, 장희빈상장등록의 번역과 연구는 왕실여성 후궁의 상장례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연구사적 가치를 지닌다고 짐작할 수 있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장희빈상장등록(張禧嬪喪葬謄錄)

1701(숙종 27) 9281701(숙종 27) 771701(숙종 27) 108

1701(숙종 27) 10101701(숙종 27) 10111701(숙종 27) 1012

1701(숙종 27) 10131701(숙종 27) 10141701(숙종 27) 1015

1701(숙종 27) 11121701(숙종 27) 11171701(숙종 27) 1123

1701(숙종 27) 1221701(숙종 27) 12111701(숙종 27) 1221

1702(숙종 28) 1101702(숙종 28) 116

산론별단(山論別單)

양주(楊州) 인장리(仁章里) 갑좌경향

지평(砥平)의 수동(壽洞)의 갑좌경향

여주 북면 향동 임좌병향

수원(水原) 용봉리(龍鳳里) 임좌병향

광주(廣州) 하도(下道) 임감(壬坎)의 방향의 용맥(龍脈)에 자좌오향

별록 : 금천군(錦川君) 이지(李榰)의 산론(山論)

1701(숙종 28) 정월 181701(숙종 28) 정월 191702(숙종 28) 129

1701(숙종 28) 4281701(숙종 28) 6111701(숙종 28) 611

1701(숙종 28) 1091703(숙종 29) 819

왕세자빈이 거애하는 의식 왕세자가 성복하는 의주 왕세자빈이 성복하는 의식

왕세자빈 성복의 왕세자가 복을 벗은 의식 왕세자빈가 상복을 벗는 의식

1701(숙종 27) 10151702(숙종 28) 정월 29

. 인장리천장등록(仁章里遷葬謄錄)

1717(숙종 43) 12191717(숙종 43) 1222

1718(숙종 44) 19일 함일해에게 다시 내준 상서를 베껴 씀

1718(숙종 44) 112일 인장리 산론 별단

1718(숙종 44) 1131718(숙종 44) 1151718(숙종 44) 118

1718(숙종 44) 212

1718(숙종 44) 216일 인장리 산론별단(山論別單)

1718(숙종 44) 341718(숙종 44) 351718(숙종 44) 325

1718(숙종 44) 491718(숙종 44) 6131718(숙종 44) 723

1718(숙종 44) 823일 산론별단

1718(숙종 44) 8101718(숙종 44) 8111718(숙종 44) 813

1718(숙종 44) 12171718(숙종 44) 12221718(숙종 44) 1227

1719(숙종 45) 331719(숙종 45) 361719(숙종 45) 37

1719(숙종 45) 3161719(숙종 45) 381719(숙종 45) 319

1719(숙종 45) 3211719(숙종 45) 3251719(숙종 45) 326

1719(숙종 45) 4111719(숙종 45) 619

. 추보등록(追報謄錄)

1722(경종 2) 1121722(경종 2) 1131722(경종 2) 115

1722(경종 2) 1161722(경종 2) 1191722(경종 2) 929

1722(경종 2) 1091722(경종 2) 10111722(경종 2) 1015

1722(경종 2) 10161722(경종 2) 10181722(경종 2) 1018

1722(경종 2) 10211722(경종 2) 10221722(경종 2) 1026

1722(경종 2) 10141723(경종 3) 4111723(경종 3) 517

1723(경종 3) 5171723(경종 3) 5241723(경종 3) 525

1723(경종 3) 5261723(경종 3) 5251723(경종 3) 526

1723(경종 3) 6월 초41723(경종 3) 6월 초91723(경종 3) 6월 초10

연구결과

본 과제 張禧嬪喪葬謄錄을 번역 수행한 후 심사 완료함.

참고문헌

1. 원자료

經國大典』 『朝鮮王朝實錄』 『大典會通』 『續大典』 『國朝續五禮儀補』 『國朝五禮儀』 『國朝五禮儀序例國朝喪禮補編明集禮』 『四禮便覽』 『尙方定例』 『禮記』 『儀禮』 『周禮三禮圖朱子家禮』 『增補文獻備考』 『春官通考三才圖會 二十五史 大唐開元禮大明集禮 明會典 皇明制書 承政院日記 儀軌類 謄錄類

2. 단행본

최창조 역, 청오경·금낭경, 민음사, 1993.

김두규 역, 명산론, 비봉출판사, 2002.

김두규 역, 지리신법, 장락, 2002.

김두규 역, 김룡경의룡경, 비봉출판사, 2010.

김두규 역, 착맥부동림조담, 비봉출판사, 2015.

서지막 등, 풍수지리총서-탁옥부, 명산론, 지리신법, 손감묘결-, 경인문화사, 1990.

조인철 역, 황제택경, 민속원, 2017

장성규·김혜정지음, (완역)풍수경전, 문예원, 2010.

국제문화재단 편, 한국의 풍수문화, 박이정, 2002.

한중수·전원석 編譯, (解說)地理大典, 법문 북스, 2014.

조인철, 우리시대의 풍수, 민속원, 2009.

이화, 풍수란 무엇인가-풍수, 그 구라의 역사, 이학사, 2013.

박시익,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일빛, 1999.

김두규, 김두규 교수의 풍수강의, 비봉출판사, 2008.

옥한석, 풍수, 시간리듬의 과학-고전적 풍수지리와 그의 현대적 재해석, 이지출판, 2017

촌산지순, 한국의 풍수, 명문당, 2009.

장백기,황정원, 풍수지리요강, 자유문고, 2014.

옥한석 외, 동아시아풍수의 미래를 읽다, 지오북, 2016.

와타나베 요시오, 이화 역, 동아시아 풍수 사상, 이학사, 2010.

이화, 조선조 풍수신앙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5

윤흥기, 땅의 마음-풍수사상속에서 읽어내는 한국인의 지오멘털리티, 사이언스북스, 2011

이도원,최원석,박수진,윤홍기, 전통생태와 풍수지리, 지오북, 2012.

김혜정, 2008, 풍수지리학의 천문사상, 한국학술정보, 2008

국사편찬위원회,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두산동아, 2005.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이현진, 조선 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이욱, 조선시대 국왕의 죽음과 상장례, 민속원, 2017.

박태호, 장례의 역사, 서해문집, 2006.

金用淑, 朝鮮朝 宮中風俗硏究, 一志社, 2000.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李能和, 朝鮮女俗考, 翰南書林, 1927.

李迎春, 朝鮮後期 王位繼承 硏究, 집문당, 1998.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사편찬위원회, 한국여성사Ⅰ』, 이화여대출판부, 1972.

이상아, 박상금, 최진 역, 국역의례 : 상례편,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5.

정기인, 경제대왕 숙종·, 매일경제신문사, 2015.

최선경, 왕을 낳은 후궁들, 김영사, 2007.

최선혜외, 장희빈, 사극의 배반, 소나무, 2004.

河玄綱, 朝鮮時代 韓國女性史,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7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편찬, 肅宗大王資料集 1-4,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2015.

倪基心 저 신승운 외 역, 2013, 교감학개론, 한국고전번역원

汪耀楠 , 신승운 역, 2014, 주석학개론, 한국고전번역원

黃永年 , 김언종 외 역, 2013, 고적정리개론, 한국고전번역원

심경호, 2007, 한학입문, 황소자리

莊禮鴻, 심경호 역, 1992, 목록학과 공구서, 이회문화사

鮑善淳, 심경호 역, 2001, 한문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이회문화사

管敏義 , 서울대동양사학연구실 역, 1994, 고급한문해석법, 창작과비평사

라이신샤 저, 박정숙 역, 2009, 중국의 고전목록학, 한국학술정보

여경용 저, 남태우송일기 역, 2009, 중국목록학사상사, 태일사

왕요남 저, 박재건 역, 2001, 문자교감 그리고 주석의 이명과 석명, 태일사

박준식, 2005, 색인사연구, 태일사

 

3. 국내논문

김동율, 張禧嬪의 죽음이 景宗의 건강에 미친 영향 : 承政院日記醫案을 중심으로, 경희대 한의학 석사학위논문, 2013.

김미란, 朝鮮時代 後宮傳記文 硏究,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14,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金良洙, 朝鮮後期 中人집안의 活動硏究, : 張炫張禧嬪 仁同張氏 譯官家係를 중심으로, 실학사상연구1, 1990.

김윤정, 18세기 端懿嬪喪禮服制論議-端懿嬪喪葬謄錄을 중심으로-, 장서각32,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김지영, 18세기 후반 국가전례의 정비와 춘관통고》」, 한국학보114, 2004.

박 경, 조선초기 왕실가족질서 정비의 특징, 여성과 역사창간호, 한국여성사학회, 2004.

석창진, 조선 世宗妃 昭憲王后 國喪儀禮와 그 의미, 역사민속학45, 역사민속학회, 2014.

석창진, 조선 초기 유교적 국상의례의 거행양상과 그 특징, 한국사학보58, 고려사학회, 2015.

신지혜, 조선 후기 大妃喪葬禮 참여확대와 의례공간의 변화, 장서각26,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신지혜, 조선 숙종대 왕실 상장례 설행공간의 건축특성,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송재용, 의례와 정치, 비교민속학26, 2004.

安晞材, 朝鮮時代 國喪儀禮 硏究-國王國葬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양정현, 조선 초기 원경왕후 喪葬禮 의식과 그 특징, 역사민속학45, 2014.

이기대, 장희빈 관련 고전소설의 전개와 특징적 양상, 아시아古代學35, 2014.

李範稷, 朝鮮初期五禮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88.

李範稷, 朝鮮初期五禮家禮, 韓國史硏究71, 1990.

李聖愛, 儀禮禮記喪禮與韓國喪禮之比較, 國立臺灣大學 中國文學硏究所 博士論文, 臺北, 1988.

이순구, 조선초기 종법의 수용과 여성지위의 변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 1993.

이영춘, 영조의 생모 숙빈 최씨의 喪葬禮-戊戌?次日記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52, 조선시대사학회, 2010.

이지훈, 조선 세종 국상의 의식 구성과 진행, 역사민속학45, 역사민속학회, 2014.

이현진, 정조대 국가전례서의 편찬과 그 성격-국조오례통편춘관통고흉례를 중심으로, 영정조대 문예중흥기의 학술과 사상,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이현진, ·정조대 육상궁의 조성과 운영, 진단학보107, 진단학회, 2009.

이현진, 순조 15(1815) 惠慶宮 洪氏薨逝顯隆園 合?, 규장각27, 서울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4.

이현진, 순조의 장녀 明溫公主喪葬 -明溫公主房喪葬禮謄錄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보56, 조선시대사학회, 2011.

이현진, 영조대 왕실 상장례의 정비와國朝喪禮補編』」, 한국사상사학37, 한국사상사학회, 2011.

이현진, 정조대 文孝世子喪葬 의례와 그 특징, 규장각40, 서울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2.

이현진, 순조대 惠慶宮喪葬 의례와 성격, 조선시대사학보74, 조선시대사학회, 2015.

이현진, 2016, 조선후기 綏嬪 朴氏喪葬 의례와 성격, 朝鮮時代史學報76.

장성규, 2010, 조선왕조실록????의 풍수지리문헌 연구-청오경????·금낭경????·호수경????을 중심으로-, 공주대 박사논문.

정재홍, 조선시대 저주 문화에 대한 연구 : 숙종 27년 장희빈 주 사건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鄭鐘秀, 朝鮮初期 喪葬儀軌 硏究,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조용철, 朝鮮 世祖代 懿敬世子 喪葬禮 구성과 특징, 역사민속학45, 2014.

조재모, 조선시대 국왕의 절차와 공간이용-정조 국장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29, 2013.

최나래, 조선 초기 세조 국상 연구, 역사민속학45, 역사민속학회, 2014.

허원기, 「『녈셩후비지문(烈聖后妃誌文)과 조선시대 왕비의 형상, 藏書閣2, 1999.

홍순민, 장희빈을 위한 변명, 역사비평14, 역사문제연구소, 1991.

초록 요약

초록 요약: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세부과제별 요약( )으로 구성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번역과제이므로 해당사항 없음.

세부과제별 요약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