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중점연구/연구교육연계 | ||
---|---|---|---|
과제코드 | AKSR2018-RE10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한도현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18-08-01 ~ 2019-02-28 | 연구형태 | 연구교육연계 |
연구목적 및 배경 | 한국학대학원의 수업을 연구중심으로 진행하여 학생들의 연구역량을 높이기 위해 이 과제가 수행되었다. 대학원 수업 속에서 진행되어 학생들은 능동적인 연구자로서 수업에 임하고 학기말 리포트를 소논문으로 작성하는 연습을 하여 학생들의 논문 작성 능력을 함양하였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협동에 대한 학제적 관심을 다루기 위해 현대 사회이론적 연구, 복잡계, 협동심리학, 주식거래, Social Impact Fund, 블록체인 등의 관련 주제에 대해서는 전문가 초청을 적극적으로 실시했으며, 수업의 성과는 수강생 각자의 학술논문으로 생산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연구 참여를 실질적으로 활성화했다.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online 수업 카페를 운영하여 강의실 밖에서도 교수와 학생, 또 학생 상호간의 토론을 전개하였고, 워크숍, 현장답사, 결과발표회 등을 통해 연구-교육 연계 과제의 성과를 제고하였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전문가 특강 동아시아 세계관의 지혜(한형조), 사회과학에서의 복잡계(한준),협동의 사회심리학(임동균),블록체인의 현재와 미래(손현주),가문의 영광과 시장의 교란(장덕진), 대소시에서의 협동의 실천(박미라), 상상하라,새로운 세상을(송경용) 등 학생들의 학기말 연구논문 ①청십자협동조합의 발전과 변혁적 리더십: 장기려를 중심으로,②뀐도이(Quynh Doi)향약에 나타나는 마을 공동체 기반으로 환경보호, ③Community-based Tourism in Thailand, ④From Cultural Diplomacy to Cultural Mediation: South Korea’s Focus on Foreign Residents , ⑤강철환 ‘수용소의 노래’에서 본 북한인권 문제, ⑥전쟁,교역 및 신분 변동에 관한 연구, ⑦김창업의 대 중국인 인식에 대한 고찰 |
||
연구결과 | 본 대학원에서‘연구-교육 연계’ 과제로서 진행된 본 과제는 인간 사회의 핵심 요소인 협동 행위에 관해 조직사회학을 중심으로 역사학, 인류학, 철학, 경제학 등 다양한 이론적 자산을 탐독하고 공부하였으며, 동시에 수강생들의 다양한 관심 주제들 속에서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전문차 초청11회, 현장답사1회, 학술결과 발표회 1회, 학술논문 7편 등이다. |
||
참고문헌 | 김용덕. 1990. 「향약신론」, ????조선후기 향약연구????, 민음사 김용학. 1996. 「연결망과 거래비용」, ????사회비평???? 14호 (나남). 김필동, 1999, <계의 성행과 발전>, ????차별과 연대????, 문학과 지성사 김홍주. 2013. 「조선 향촌규약에 나타난 마을공동체 운영 특성 : 고현향약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79. 문용식. 2009.「17ㆍ18세기 사창(社倉)을 통한 지방관의 재정 보용 사례」 ????역사와현실????, (72), 박정호, 2009, 「마르셀 모스의 ????증여론???? - 증여의 사회학적 본질과 기능 그리고 호혜성의 원리에 대하여」, 한국문화사회학회, ????문화와사회???? 7집. 이동희. 2007. 「주자의 사창법(社倉法)이 주는 사회복지학 시사」 ????유교사상연구???? 29집. 이상익. 2013. 「한국 성리학에 있어서의 개인과 공동체」. ????한국철학논집???? 제38집. 이해준, 1996. ????조선시대 촌락사회사????, 민족문화사. 제19, 20, 21장 정진영. 2013. 「조선시대 향촌 제 조직과 규약의 "계약" 적 성격」, ????고문서연구???? 42권. 한도현, 2007, 「예치공동체의 폐쇄성과 개방성」, 김상준 외, ????유교의 예치이념과 조선????, 청계 한도현. 2003. 「향약의 조직원리와 지역자치: 베트남 모짝싸(xa Mo Trach, 慕澤社)의 사례」, ????동남아시아연구???? 13권 2호 Ardener, Shirley. 1964. "The Comparative Study of Rotating Credit Associations", The Journal of the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Vol.94, No.2. Axelrod, Rober 이경식(역) 2009, 『협력의 진화』, 시스테마 Besley, T., S Coate, G. Loury. 1993. "The Economics of Rotating Savings and Credit Association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83, No.4 (Sep 1993) Coleman, James (1990).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Degenne, Alain and Michel Forse 1999(1994) Introducing Social Networks. Translated by Arthur Borges. Gotz, Norbert. "‘Moral economy’: its conceptual history and analytical prospects",http://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17449626.2015.1054556 (Journal of Global Ethics Vol. 11, Iss. 2, 2015) Granovetter, Mark(1985). "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481-510. Gregroy, C. A. 1994. "Exchange and Reciprocity" (Companion Encylopedia of Anthropology) Hann, C. 2006. "The Gift and Reciprocity" (Serge-Christophe Kolm and Jean Mercier Ythier eds. Handbook of The Economics of Giving, Altruism, and Reciprocity) Kaplan, Steven Laurence. 1977. ”Lean Years, Fat Years: The "Community" Granary System and the Search for Abundance in Eighteenth-Century Paris“, French Historical Studies, Vol. 10, No. 2 Lin, Nan, Karen Cook, Ronald S. Burt (eds.) 2001. Social Capital: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Aldine de Gruyter. Linda D. Morlm, David R Schaefer and Jessica L.Collett, 2007. "The Value of Reciprocity", Social Psychology, vol. 70, no. 2. Mauritz, Elizabeth D. 2014. “Moral Economy: Claims for the Common Good” Ph.D. dissertation. Molm, Linda, David Schaefer and Jessica Collett, 2007, “Building Solidarity through Generalized Exchange: A Theory of Reciprocit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13 |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 |
---|---|
본 과제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의 수업을 학생들의 개별적 연구관심을 반영하고 적극적 참여를 장려하는 「연구-교육 연계」 과제로 진행되었다. 현대사회의 주류 경제담론인 경제주의적 인간에 대한 대안적 상상력을 모색하기 위해 인간 사회의 핵심 측면인 협동에 주목했고, 그것을 조직사회학적인 시각으로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전개했다. 이기적-합리적인 선택에 기초한 전통적인 경제주의 담론에 대한 비판과 극복의 시도는 이론과 현실의 다양한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대안적인 삶과 관계를 추구하는 공동체운동과 협동조합 운동 등 실천적 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심리학, 경영학, 실험경제학, 진화심리학, 복잡계이론 등에 이르는 다양한 영역에서 서로 다르면서도 공통된 문제의식과 대안적인 관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과정에서는 다양한 영역의 전문 연구자들을 초빙해 특강을 진행하였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특강을 수동적으로 듣는 것이 아니라 특강 강사들이 미리 제시해 준 주요 논문들을 미리 읽고 논평문을 작성하여 강사들과 활발한 토론을 학생들이 전개했다. 그래서 역사학, 인류학, 철학, 경제학 등 다양한 이론적 자산을 탐독하고 공부하였게 되었으며 이를 자신의 연구 관심과 연결시켜 학기말 연구논문을 작성하였다. 이론적 수업과 함께, 수도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동체 마을을 답사를 실시하여 이론과 현실의 관계에 대해 관찰하고 토론하였다. 수업시간이라는 제한된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online 수업 카페를 개설하여 카페에서 학생 상호간의 토론, 또 교수와 학생간의 토론을 진행하여 학생들의 연구논문 작성 능력을 향상시켰다. 연구결과로는 전문차 초청11회, 현장답사1회, 학술결과 발표회 1회, 학술논문 7편 등이다. 학생들의 학기말 연구논문 은 다음과 같다. ①청십자협동조합의 발전과 변혁적 리더십: 장기려를 중심으로, ②뀐도이(Quynh Doi)향약에 나타나는 마을 공동체 기반으로 환경보호, ③Community-based Tourism in Thailand, ④From Cultural Diplomacy to Cultural Mediation: South Korea’s Focus on Foreign Residents , ⑤강철환 ‘수용소의 노래’에서 본 북한인권 문제, ⑥전쟁,교역 및 신분 변동에 관한 연구, ⑦김창업의 대 중국인 인식에 대한 고찰 |
|
세부과제별 요약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