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중점연구/연구교육연계
과제코드 AKSR2018-RE09
연구과제명
  • 국문 : <주자가례>와 <온공서의> 비교 및 조선시대 가례민속 교육과 연구
  • 영문 : An Educational R&D Study on the Juja-garye and the Ongong-seoui from the customary formalities of a family folklore in the Choseon Dynasty
연구책임자 김일권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18-08-01 ~ 2019-02-28 연구형태 연구교육연계
연구목적 및 배경


  본과제는 조선시대 일생의례지식의 근거로서 남송대
주자가례의 원전적 이해도를 심화하고, 그 선행 모본으로서 북송대 온공서의와의 원전 텍스트적 비교를 통한 두 자료 사이의 연계성을 살펴보며, 아울러 조선시대 가례민속에서 일생의례와 일상의례의 두 방면이 복합된 텍스트로서 주자가례 성격을 재조명하는 교육-연구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두 텍스트의 강독과 비교를 도모하고, 이를 토대로 온공서의주자가례의 원전 대조 자료집을 구축해냄을 연구목표로 삼는다.

 
연구방법 및 내용

· 북송대 사마광의 시대적 배경과 온공서의의 판본 고찰과 텍스트 분석

· 남송대 주희의 주자가례성립과 판본 고찰 및 조선시대 유통 상황 고찰

· 일생의례 민속지식의 근거로서 관혼상제례편 교육-연구

· 전통시대 일상의례 민속지식의 근거로서 통례편 재조명 교육-연구

· 온공서의주자가례및 조선조 가례언해의 원전 대교 자료물 구축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性理大全書 卷十九 家禮 二

. 通禮 1

. 冠禮 67

. 昏禮 90

2. 性理大全書 卷二十 家禮 三

. 喪禮 (1) 125

3. 性理大全書 卷二十一 家禮 四

. 喪禮 (2) 255

. 祭禮 298

연구결과

1. 주자가례에 적용된 온공서의의 가치 재조명

2. 온공서의, 주자가례를 비롯하여 조선시대 언해서인 가례언해의 자료 비교를 통해 각 통례-관혼상제례의 각 절차별 비교 가능한 결과물 구축

3. 강독을 통한 온공서의 원전 검토와 주자가례와의 자구적 원전 비교

4. 생활의례지식으로서 통례편 거가일용생활규범의 중요성 재조명함.

 
참고문헌

주자가례, 온공서의, 가례언해

초록 요약

초록 요약: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세부과제별 요약( )으로 구성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본 연구는 가례민속 내지 가정의례로서 가례학의 변동 문제에 주목을 하여, 본원 민속학과 석박사 대학원생들이 전통가례민속의 근거로서 주자가례에 대한 이해도를 심화하고, 아울러 전통가례학의 성립과 본질에 대한 근원적 물음을 제기하도록 유도하며, 나아가 가례학의 시대적 변동성을 널리 고심토록 함으로써, 우리 가례민속의 현재적 양태에 대한 제반 심화된 안목을 함양하도록 하기 위한 교육목표를 내세웠다. 진행사항은 아래와 같다.

교육 측면에서, 첫째, 주자가례의 선행자료인 온공서의에 대한 강독과 교육이다. 판본은 司馬光撰, 汪郊校, 司馬氏書儀 十卷(同治7, 1868)본을 위주로 하되 여러 활자 영인본을 수급하여 접근한다. 10권본 중 관혼상제의 사의(四儀) 및 거가잡의, 영당잡의 등 부속 서술을 주목하여 학습하며, 그 편찬 목적과 서술 함의를 발표 및 토론 수업으로 진행하여 원전의 이해도를 심화하였다.

둘째, 주자가례에 대한 학습과 교육이다. 이 주자가례 관련 가례서는 조선시대 많은 판본이 나와 있으나, 모두 다룰 수는 없으므로, 주자가례(예문서원, 1999)를 주교재로 삼아 원문과 국역을 접근하였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가례민속의 경학적 원류를 심화하고자 하였다.

연구 측면에서, 첫째, 온공서의와 주자가례의 원전 대교 자료물 구축에 집중하였다. 양자에 글자의 출입 문제가 있고, 서술 주체의 변화 문제나, 장절 단락의 대규모 이동 혹은 명칭의 삭제 개변 등 여러 방식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둘째, 주자가례가 지닌 원전 자체의 내용 분석과 재구성에 집중하는 연구자료집 개발을 목표로 두었다. 주자가례를 국내 연구 대다수가 관혼상제의 일생의례 중심으로 접근하고 인식하고 있지만, 맨 앞에 편장한 통례(通禮)는 소학(小學)에 못지않는 유교적 실천윤리 규범서로서 광범위한 일상 생활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이는 일생의례 측면이 아니라 일상의례 측면이다. 따라서 주자가례는 () 생활 속에서의 생활규범을 재규정하는 일상의례와 () 유교적 이념을 실현하는 현장으로서 관혼상제의 일생의례 규범을 규정하고 있다. 이 양면의 인식체계에 대한 집중적 분석을 도모하였다.

세부과제별 요약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