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중점연구/연구교육연계 | ||
---|---|---|---|
과제코드 | AKSR2018-RE08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이정란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18-08-01 ~ 2019-02-28 | 연구형태 | 공동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 말뭉치를 구축하여 교재 분석 연구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음. 교재 말뭉치는 참조 말뭉치로 한국어교육 연구 및 교육 현장에 활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개된 한국어 교재 말뭉치가 부재한 실정임.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재 말뭉치를 구축하여 수강생들이 그 자료를 공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어 교재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
||
연구방법 및 내용 |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과목을 통해 수강생들과 함께 한국어 교재 말뭉치를 구축하고, 교재 분석 방법 및 한국어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음. 본 연구의 내용은 한국어 교재 원시 말뭉치 구축, 한국어 교재 어휘 및 문법 목록화, 교재 분석 방법 및 한국어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교육으로 구성됨.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본 연구의 결과물은 교재 말뭉치 DB이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음. (1) 한국어 교재 원시 말뭉치 (2) 한국어 교재 어휘 목록 (3) 한국어 교재 문법 목록 |
||
연구결과 | 본 연구의 결과물은 4종의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구축된 한국어 교재 말뭉치 DB와 어휘 및 문법 목록임.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텍스트는 구어와 문어로 나눌 수 있는데, 구어는 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말하기 연습용 모범 발화(대화), 듣기 대본(script)을 대상으로 전산화하였으며, 문어는 읽기 텍스트를 전산화하여 DB로 구축하였음. 또한 어휘와 문법은 해당 교재에서 교육 목표 어휘 및 문법으로 제시한 항목들을 대상으로 목록화 하였음. |
||
참고문헌 | 강현화, 2014a, 코퍼스와 한국어 문법 교육, 『국어교육연구』 30집, 227-253쪽, 국어교육학회. 강현화, 2014b, 한국어교육용 초급 어휘 선정 연구, 『문법 교육』 21호, 1-26쪽, 한국문법교육학회. 강현화, 2014c, 한국어교육용 중급 어휘 선정에 대한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40, 1-48쪽, 연세대언어교육원. 강현화, 2015, 한국어교육용 고급 어휘 선정에 대한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42, 1-28쪽, 연세대언어교육원. 권혁승, 정채관, 2012, 『코퍼스 언어학 입문』, 한국문화사. 김일환ㆍ이승연, 2014, 한국어교재의 어휘 사용 양상, 『우리어문연구』 48, 187-218쪽, 우리어문학회. 김지영ㆍ이제영ㆍ김정렬, 2017, 코퍼스 기반 남북한 영어 교과서 어휘의 공시적 분석, 『언어과학』 24(2), 25-56쪽, 한국언어과학회. 김창구, 2014, 코퍼스를 통해서 본 일본의 한국어교재에 제시된 어휘의 제상, 『언어과학연구』 71, 21-44쪽, 언어과학회. 노성화, 2015, 중국의 한국어 듣기 교재 제시대화문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인문논총』 72, 223-248쪽,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서상규, 2011,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구축 설계」, 국립국어원 보고서. 이승환, 2013, 코메트릭스(Coh-Metrix)를 이용한 고등학교 영어1과 영어2 교과서 문어 텍스트의 코퍼스 언어학적 난이도 분석, 『외국어교육연구』 27(2), 131-148,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정미애, 2009, 중학교 2학년 영어 교과서 코퍼스 분석, 『인문논총』 23, 135-157쪽,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허광ㆍ김희진, 2016, 개정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형용사 유의어 코퍼스 기반 분석, 『STEM Journal』 17(3), 215-241쪽, 영상영어교육학회. 홍정하 외, 2018, 『R을 이용한 코퍼스 언어학 연구』, 역락. Graeme Kennedy, 2010, 『코퍼스언어학 개론』(안동환 역.). 한국문화사. |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 |
---|---|
말뭉치(corpus)는 언어 자료의 모둠을 일컫는다(권혁승ㆍ정채관, 2012:1). 최근 한국어교육에서 말뭉치 기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정부 기관 차원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의 말뭉치 및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가 구축되면서 담화 장르 및 사용역에 따른 문형 기능 분석이나 학습자 오류 분석 등 연구 주제도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 교재 말뭉치는 공개된 자료가 전무하여 그동안 연구자가 개별적으로 구축하여 사용해 왔다. 한국어 교재를 선택하거나 개발할 때 교재 분석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과정인데, 교재 분석 시 교재 말뭉치를 활용하여 계량적 분석을 한다면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어휘, 문법, 화용 및 담화의 교육적 적절성 및 실제성, 연구 대상이 되는 어휘와 문형의 교육 여부 및 사용 빈도 등을 살펴보는 데 교재 말뭉치를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교재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교재에 포함된 어휘, 문법, 담화에 대한 객관적 분석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교재 말뭉치 자료가 없어 계량적 연구 방법을 사용한 객관적 교재 분석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개별 연구자의 필요에 의해 구축된 소규모 말뭉치가 있으나 그 분량이 적고, 개방되어 있지 않아 개별 연구에 활용된 후 사장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재 말뭉치를 구축하여 수강생들이 그 자료를 공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어 교재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과목을 통해 수강생들과 함께 한국어 교재 말뭉치를 구축하고, 교재 분석 방법 및 한국어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 기준 한국어교육기관에서 사용되는 있는 교재 중 1-6권까지 코스북으로 출판되어 있는 교재 3종을 선정하였고, 특수목적 학습자를 위한 교재로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교재 1종을 포함하여 총 4종의 한국어 교재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텍스트는 구어와 문어로 나눌 수 있는데, 구어는 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말하기 연습용 모범 발화(대화), 듣기 대본(script)을 대상으로 전산화하였으며, 문어는 읽기 텍스트를 전산화하여 DB로 구축하였다. 또한 어휘와 문법은 해당 교재에서 교육 목표 어휘 및 문법으로 제시한 항목들을 대상으로 목록화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한 교재 그대로를 전산화하고자 하였다. 가령, 장르별 분류보다는 교재에 제시된 기능에 따라 분류하여 헤드를 작성하였다. 또 같은 교재에서라도 등급에 따라 말하기 연습용 모범 발화가 ‘대화’라 표기되기도 하고, ‘말하기’라 표기되기도 하므로 이 부분 역시 교재의 편성을 따랐다. 이는 연구자들이 연구 목적에 따라 말뭉치를 가공하여 활용하기에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정보 처리 전문가를 초빙하여 2차에 걸쳐 한국어 교재 말뭉치 구축 및 활용 방법과 관련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1차 교육에서는 말뭉치 구축의 의의, 말뭉치 구축 시 주의사항 등 구축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고, 2차에서는 수강생들이 실제 구축한 한국어 교재 말뭉치를 활용하여 형태소 주석 말뭉치 구축 방법, ‘통합형 한국어 처리 프로그램’, ‘AntConc’등 언어 정보 처리 프로그램 사용법 등을 교육하였다. |
|
세부과제별 요약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