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중점연구/연구교육연계
과제코드 AKSR2019-RE12
연구과제명
  • 국문 : 조선시대 科擧(문과ㆍ생원 진사시)에 출제된 試題 집성
  • 영문 : -
연구책임자 박성호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19-09-02 ~ 2020-02-28 연구형태 연구교육연계
연구목적 및 배경

이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전 시기 동안 시행된 과거(문과, 생원진사시)에서 출제된 試題(출제 문항)의 현황을 체계적으로 종합 정리함으로써 그동안 학계에서 제시하지 못했던 조선시대 과거제 하에서의 전체 출제 현황과 경향 등에 대한 기초 자료 구축을 최초로 시도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2학기에 개설된 강의를 통해 과거제도와 관련 자료에 관한 선행 연구 검토, 방목 및 시권 등에 대한 기본적인 강의 및 토론을 진행한다. 이를 토대로 조선시대 전 시기에 걸쳐 확인되는 과거별(문과, 생원 진사시) 試題의 전체 현황을 추출함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한 발짝 더 진전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조선 문과방목과 명登科錄의 비교 연구

조선시대 司馬兩試 제도의 운용

조선시대 試所 운용 검토

조선시대 과거 시제를 통한 의 출제 경향

조선시대 낙방 試券에 관한 소고

17세기 조선 선비의 과거 응시와 과장 풍경

간찰을 통해 살펴본 조선후기 과거의 모습

◦ 『임오사마방목에 기록된 壬午司馬榜會之圖

연구결과

방목과 시권 분석을 마친 결과를 연대, 과거유형, 시소, 시험단계, 문체 등의 기준을 설정하여 엑셀 파일에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수강생들은 자율적으로 각자 관심 주제를 선정하여 논고를 완성했고, 한차례 결과발표회를 통해 해당 성과를 발표하였다.

참고문헌

조선시대 과거제 관련 논저 다수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司馬榜目????CD-ROM, 1997, 한국정신문화연구원서울시스템.

(補註)朝鮮文科榜目????CD-ROM, 2001, 동방미디어한국학정보연구소.

雜科榜目????CD-ROM, 2002, 한국정신문화연구원동방미디어.

초록 요약

초록 요약: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세부과제별 요약( )으로 구성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연구 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조선시대 문과와 생원진사시에 출제된 시제 데이터베이스를 담은 엑셀 파일 2개가 생성되었다. 이 작업은 조선시대 문과방목DB와 사마방목DB 전체를 분석하고, 한국고문서자료관 등에 구축된 시권을 일일이 검토하여 본 과제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중심으로 완성한 새로운 방목 데이터이다. 파일은 엑셀 시트에 작성하였으므로 A4 사이즈의 보고서에 첨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PDF 파일로 저장하여 별도의 <부록 2>로 첨부한다.

둘째, 수강생들이 위 성과물을 토대로 각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연구 주제를 택하여 단편 보고서 내지 소논문에 준하는 논고를 작성하였다. 세부 내역은 아래와 같다.

조선 문과방목과 명登科錄의 비교 연구 - 묘개열

조선의 문과방목을 문헌학적 관점에서 편찬·체례·형태적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명청의 登科錄과 비교하여 한국과 중국의 科擧문화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司馬兩試 제도의 운용 - 박하늘

지금까지 발간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고문서집성에 수록된 시권 가운데 같은 연도에 생원시와 진사시에 모두 응시한 사례를 검토하여 조선시대 司馬兩試제도의 운용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조선시대 試所 운용 검토 - 이다희

조선시대 과거시험을 보는 장소인 試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역대 과거시험별 시소 정보를 통계내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시소의 운용을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과거 시제를 통한 의 출제 경향 - 박준영

조선시대 殿試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殿試에 출제된 의 출제빈도, 試題 등을 분석하여 의 출제경향과 그 의도를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낙방 試券에 관한 소고 - 김정수

조선시대 과거시험이 끝난 후 방대한 물량의 낙방 시권의 수취와 이용에 대해 사회·경제적·문화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17세기 조선 선비의 과거 응시와 과장 풍경 - 김병구

忍齊日錄에 나타나는 과거 관련 기록 중 1617(광해군 9)의 기록을 중심으로 조극선의 과거 응시 과정과 당시 과장의 풍경 등을 살펴보았다.

간찰을 통해 살펴본 조선후기 과거의 모습 - 유지은

조선 후기 과거시험을 둘러싼 다양한 사회모습의 일면을 10건의 간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임오사마방목에 기록된 壬午司馬榜會之圖 - 정인영

임오사마방목에 기록된 壬午司馬榜會之圖 자료를 중심으로 방회의 배경과 방회에 참석한 사람들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세부과제별 요약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