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중점연구/연구교육연계
과제코드 AKSR2019-RE10
연구과제명
  • 국문 : 이만규 관련 근대교육자료의 디지털 큐레이셔닝
  • 영문 : Digital curation of modern Korean educational history and Mr. Mangyu Lee
연구책임자 이길상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19-09-02 ~ 2020-02-28 연구형태 단독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한국의 교육자, 정치가 이만규를 대중적으로 널리 알리고 그의 생애에 점철된 한국의 근대교육사를 디지털 큐레이션 기법으로 정리함으로써 교육사, 교육철학 교육의 새로운 방법을 모색함.

연구방법 및 내용

1. 이만규의 생애 및 그에게 영향을 끼친 인물들

(남궁 억, 윤치호 등)

2. 조선 개화기부터 한국전쟁 전후까지의 교육-정치사적 사건들

3. (조선어학회 사건, 여운형 암살 사건, 주요 인사 월/납북 등)

4. 연구방법: 디지털 큐레이션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이만규와 한국근대교육사 디지털 큐레이션)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9D%B4%EB%A7%8C%EA%B7%9C%EC%99%80_%ED%95%9C%EA%B5%AD%EA%B7%BC%EB%8C%80%EA%B5%90%EC%9C%A1%EC%9E%90%EB%A3%8C_%EB%94%94%EC%A7%80%ED%84%B8_%ED%81%90%EB%A0%88%EC%9D%B4%EC%85%94%EB%8B%9D.lst

 

(이만규와 한국근대교육사 웹사이트)

http://digerati.aks.ac.kr/dhlab/2019/101/%EC%B5%9C%EC%9B%90%EC%9E%AC/leemangyu/index.html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유튜브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pB51JChFtec

연구결과

1. 디지털 큐레이션을 통해 새로운 교육기법 소개

2. 웹사이트 제작을 통해 한국의 교육자 소개 및 대중화에 기여

3. 유튜브 영상 제작으로 새로운 사건 전개 발굴

참고문헌

초록 요약

초록 요약: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세부과제별 요약( )으로 구성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야자 이만규 선생은 한국근대교육사의 시작점과 마지막점에 위치한 인물이다. 그가 살았던 시기는 조선이 중세교육의 끝자락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과정이었다. 우리가 근대교육사와 근대교육가를 연구하는 이유는 그 시대에만 보였던 나름의 지혜를 얻어 법고창신하기 위해서다. 한 사람의 주체성은 그의 사회를 떠난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기 때문에 그 사람의 사회를 살피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교육철학은 단순한 지식이나 관념과는 달리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의 정신이 있을 때 겉으로 나타난다. 교육사상도 교육의 전체성, 가치지향성과 실천성을 지향하므로 그것은 모든 교육자의 존재양식과 행동양식을 좌우하여 일선 교육에 영향을 미친다. 이만규가 겪었던 내적 갈등과 외적 고난은 교육적으로는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다. 이것이 한국 근대 교육사를 살펴보고 이만규의 교육철학을 소환하는 이유다.

이만규는 민족주의 교육자인 남궁 억, 이승훈과의 교류가 많았다. 만주사변이 났을 때는 이승만이 이를 규탄하는 영문성명서를 미국에 있는 남궁 억의 친척인 남궁 탁이 국내의 이만규를 통해 남궁 억에게 보낼 정도였고, 1925년 이승훈이 동아일보사 사장으로 있을 때 송도고보 교사였던 이만규(당시 만37)를 오산학교 교장으로 데려가려고 개성을 두 번이나 방문했다.

여운형과는 진보적 민족주의자 노선을 끝까지 함께 했다. 여운형의 동생인 여운홍과도 교유한 흔적이 있다. 이만규는 건국준비위원회 시절부터 근로인민당에 이르기까지 조직의 핵심적인 인물로 건국 초기에 많은 일을 했는데, 그 중에서도 주로 교육 문화부분에 관한 강령과 정책을 수립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제는 기록하기를 이만규에게는 1921년 가을부터는 장덕수를 통해 공산당 선전을 획득한 혐의가 있었고 소속단체는 상해파 고려공산당계라고 했다. 그러나 이후 장덕수는 우파로 전향했고, 이만규 역시 완전한 정통파 맑스레닌주의자는 아니었다.

이만규는 조선어학회에서 이윤재, 이극로, 최현배, 정인승, 김윤경, 이희승, 이병기, 이은상, 안재홍 등과 교류했고 몽양 여운형과의 친분으로 여운형이 주도한 1944년 건국준비위원회에 참여했고, 1945년 중도좌파 정당인 조선인민당에서 55명의 인민위원 가운데 한사람으로 중앙정치위원과 서기장의 역할, 근로인민당에서는 조직국장을 맡았다. 이만규와 교류했던 교육자와 정치인의 사상적 기반과 이들의 우리의 근대 교육에 끼친 영향, 기여도를 살핀다.

이번 연구에서는 디지털 큐레이션이라는 기법으로 아직 널리 밝혀지지 않은 그의 생애에 걸친 교육사 사건들을 정리하고 이만규 웹사이트를 만듦과 동시에 유튜브로 그의 발자취를 좇았다. 이번 연구의 의의는 근대 교육자 이만규의 시각과 주위 인물을 통해서 한국 근대 교육사의 사건들을 점검해보고, 그 방법으로 데이터를 디지털로 활용하는 데 쓰인 디지털 큐레이션의 전방위적인 교육적 효용 가치를 확인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도입,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큐레이셔닝 교육 모델을 만들었다는 데 있다.

 

 

세부과제별 요약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