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중점연구/연구교육연계 | ||
---|---|---|---|
과제코드 | AKSR2019-RE08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황문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19-09-02 ~ 2020-02-28 | 연구형태 | 공동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① 본원 장서각에 소장된 (왕실) 한글 필사본을 중심으로 형태 서지, 편찬 경위 등 문헌학적 성격을 정확히 이해한다. ② 한글 필사본의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전달하기 위해 흘려쓴 글씨체를 판독하고 현대어로 역주하는 방법을 익힌다. ③ 한글 필사본을 대상으로 관련 분야에서 갖는 다양한 가치를 점검하고 학제간 연계와 협조 능력을 기른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① 강의 일정표에 따라 “도입/소개(교수) → 발표/토론(수강생) → 수정/보완(교수)”의 순서로 진행된다. 매주 발표자로 지정된 수강생은 대상이 되는 한글 자료의 서지 고찰과 역주 연습을 중심으로 발표 내용을 준비한다. 발표 당일 즉석에서 토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토론자는 별도의 토론문을 작성하여 준비한다. ② 모든 수강생은 학기말(12월 20일)까지 자신이 발표한 부분을 재정리하여 보고서를 제출한다. 단, 수강생의 토론 내용과 교수의 수정 및 보완 사항을 충실히 반영하고 원문 이미지, 주석, 참고 논저 등을 반드시 포함한다. ③ 강의 대상(=연구 범위)은 장서각 소장 왕실 한글 필사본을 중심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어제류, 여훈서류, 의서류, 왕실 고문서류, 물명서류, 사서류, 소설류, 몽유록류, 잡서류 등을 다룬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결과물 참조 |
||
연구결과 | ① 제목: ‘한글 자료와 인문학’ 연구 결과물 ② 분량: A4 약 338매 ③ 파일: 2019-2 한글 자료와 인문학_결과물. PDF |
||
참고문헌 | 결과물 참조 |
||
연구결과물 |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 |
---|---|
본원의 장서각은 이른바 ‘낙선재본(樂善齋本)’으로 알려진 한글 소설을 비롯하여 경(經)․사(史)․자(子)․집(集) 각 부류에 실로 다양한 한글 필사본을 소장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들 한글 자료는 조선 후기에 집중된 경향은 있으나 왕실과 직간접으로 관련되면서 장서각에만 유일본으로 전하는 경우가 특히 많다. 장서각을 흔히 ‘왕실 도서관’으로 일컫게 되는 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장서각 소장 한글 자료는 우리의 문화 전통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이들 자료들은 한국학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중요하다. 강의 대상으로 삼은 자료 가운데 ????어제자성편????, ????어제상훈언해????, ????곤범????, ‘왕실 발기’ 등은 조선 왕실 문화의 정수를 담고 있다. ????동의보감????, ????공문도통????이나 ????문성궁몽유록???? 등은 우리의 뛰어난 문화적 결실이지만 동아시아의 전통과도 연결되어 있다. ????조야기문???? 등과 같은 사서류와 ????태원지???? 등과 같은 소설류는 등은 왕실 여성들의 교양과 재미와 관련이 깊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수강생들 사이에서 이들 한글 자료에 대한 서지적인 이해, 한글 어휘에 대한 이해, 자료 가치에 대한 폭넓은 이해 등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연구·교육 연계 과제)에서는 이들 자료에 대한 이해와 해독 능력의 향상을 목표의 중심에 두었다. 수강생들이 자료를 직접 보고, 그에 대해 자기 능력으로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국어학 및 고전문학 전공의 교수진이 공동으로 강의를 운영하기로 한 것이다. 이러한 운영을 통해 거두게 될 기대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차세대 한국학자의 연구 능력을 제고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왕실 한글 자료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과정에서 한문본과 비교하거나 여러 이본을 대비하여 정밀한 연구를 수행하는 능력이 자연스럽게 체득될 수 있다. ② 강의를 통하여 한글 자료 해독 능력을 키운 수강생들이 향후 연구원에서 수행하는 한글 관련 과제에 참여할 수 있는 인력으로 성장하는 데 소중한 계기가 될 수 있다. ③ 교육이 연구로 이어질 수 있는 구체적 사례가 될 수 있다. 수강생들이 참여한 ‘발표/토론’이나 ‘판독/역주’에서 여러 가지 연구 주제가 확인되었다. 이들 과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수강생들은 보다 진전된 후속 결과물을 산출해 낼 수 있다. |
|
세부과제별 요약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