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중점연구/연구교육연계 | ||
---|---|---|---|
과제코드 | AKSR2019-RE07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정헌목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19-09-02 ~ 2020-02-28 | 연구형태 | 단독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본 연구는 한국학대학원 개설 강좌 진행을 통한 한국의 젠더 현상 관련 연구동향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강의 수강생들이 공동연구진으로 과제에 참가하여 관련 연구 성과들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더불어 이들을 어떠한 학사적 맥락에 위치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과제 참여자인 강의 수강생로 하여금 결과보고서 작성에 직접 기여할 수 있도록 강의와 외부 프로그램 참여(전문가 초청특강 및 국제학술회의 참가)를 통한 학문 역량 강화를 진행했다. 강의에서는 수업 커리큘럼을 통해 인류학과 유관 분야에서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1부 - 가족관계와 가부장제, 여성과 남성, 그리고 성소수자 > |
||
연구결과 | 한 학기에 걸친 강의 진행과 비평문 작성 훈련 등을 통해 8명의 수강생 전원이 각자 한 편씩의 원고를 작성하는 성과를 얻었다. 결과물은 <1부-가족관계와 가부장제,여성과 남성, 그리고 성소수자>, <2부-다양한 관점으로 본 한국의 젠더 문제>로 나누어 정리하였고, 각각 4편씩의 리뷰 논문을 담았다. |
||
참고문헌 |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 |
---|---|
< 1부 - 가족관계와 가부장제, 여성과 남성, 그리고 성소수자 > Ⅰ. 한국의 가족관계와 가부장제 관련 인류학 연구 동향 검토 Ⅱ. 한국의 젠더 현상 분석을 위한 여성 문제 연구 검토: 인류학계의 성과를 중심으로 Ⅲ. 한국의 남성성에 대한 인류학적 젠더 연구의 이론적 경향 검토 Ⅳ. 한국의 성소수자 연구 검토: 인류학계의 성과를 중심으로 < 2부 – 다양한 관점으로 본 한국의 젠더 문제 > Ⅴ. 여성의 몸 재의미화하기: 도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선언을 다시 살펴서 Ⅵ. 여성 결혼이주에 대한 연구 검토 Ⅶ. 정치공간에서의 여성 리더십에 대한 고찰 Ⅷ. 여성해방에 있어서 ‘여성성’과 ‘모성’ 이데올로기의 작용 양상: 90년대 이후 한국 여성문학을 중심으로 위와 같은 주제 선정은 이번 연구-교육 연계과제의 해당 강의인 <젠더의 문화인류학> 수강생의 특성을 고려한 결과이다. 한국학대학원의 특성상 한국인 학생과 외국인 유학생들이 고루 섞여 같은 수업을 수강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이 수업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전체 8명의 수강생 중 한국인 학생은 4명(박사과정 2명, 석사과정 2명)이었으며 모두 인류학 전공이었다. 나머지 4명(박사과정 4명)은 모두 유학생으로, 러시아와 독일, 대만, 세르비아 등 다양한 국적을 지니고 있었으며 또한 소속 전공 역시 인류학과 사회학, 국문학, 교육학으로 모두 달랐다. 인류학에 대한 배경지식도 각기 다르고, 한국어 글쓰기 능력을 비롯해 학술적 글쓰기 능력도 모두 다른 상황에서 결과보고서 작성을 위한 주제 선정은 각 수강생의 특성을 감안하여 진행하였다. |
|
세부과제별 요약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