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정책과제 | ||
---|---|---|---|
과제코드 | AKSR2018-P01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곽병훈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18-09-04 ~ 2018-12-21 | 연구형태 | 공동연구 |
연구목적 및 배경 | 정부는 1996년부터 2006년까지 과거사 청산 작업의 일환으로 18개 과거사위원회를 설치하고 많은 인력과 예산을 투입해 수집자료, 조사보고서, 일반 행정기록 등 많은 과거사 정리 자료 및 민주화운동 관련 자료를 수집ㆍ생산해 냈다. 이들 과거사위원회에서 수집ㆍ생산한 자료들은 지난 과거의 기록과 민주화운동 역사의 공백을 채울 수 있는 역사적 가치가 높은 귀중한 연구 기초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이처럼 과거사 정리 자료 및 민주화운동 자료의 학술적 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과거사 관련 보고서 등의 체계적인 정리는 말할 것도 없이 민주화운동 자료들이 연구에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못한 채 사장되어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본 정책과제는 지금까지 축적된 과거사 자료를 진실화해위원회를 중심으로 정리한 자료목록집을 샘플로 제시하고, 과거사 정리 자료 및 민주화운동 자료를 근ㆍ현대사 연구에 적극 활용하기 위한 연구 어젠다(research agenda)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본 연구는 연구기간을 고려해 주요 과거사위원회(진실화해위원회,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를 주된 분석대상으로 했고, 1) 한국 과거사 정리 자료 및 민주화운동 자료의 학술적 가치 조명, 2) 한국 과거사 정리 자료 및 민주화운동 자료의 유형별 현황 리뷰, 3) 한국 과거사 정리 자료 및 민주화운동 자료의 연구 활용 현황 검토, 4) 한국 과거사 정리 자료 및 민주화운동 자료의 연구 활용성 강화를 위한 연구 어젠다 제안을 주요 연구내용으로 설정했다. 본 연구는 주기적인 연구진 내부회의를 통해 연구의 방향성(연구목적 및 범위)을 설정했으며, 연구진 협업을 통해 진실화해위원회 자료 중심의 자료목록집 샘플을 제시했다. 더불어 과거사위원회에 참여했던 해당 분야 연구자 및 원외 근ㆍ현대사 분야 연구자들의 자문을 통해 정치사, 사회사, 문화사 등 제반 분야의 중요 연구 어젠다를 구상했다. 원외 근ㆍ현대사 전공 연구자들의 자문 및 연구진 전체의 브레인스토밍 과정을 거쳐 한국학중앙연구원에 특화될 수 있는 ‘근ㆍ현대사 연구 어젠다’ 또한 제안했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세부목차는 다음과 같다.
|
||
연구결과 | 본 정책과제는 다음 3가지 연구 어젠다를 제안했다. 첫째, 연구주제에 있어서는 비맥락적 연구를 넘어서는 맥락 중심의 포괄적 연구와 비교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했고, 이들 연구를 뒷받침할 수 있는 기존 과거사위원회들의 수집ㆍ생산자료에 대한 통사적 연구와 함께 관련 자료에 대한 주제별 연구 및 중요 사건들에 대한 종합적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했다. 연구주제의 한정성과 중첩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동향 분석시스템의 구축 또한 아울러 제안했다. 둘째, 연구과제와 관련해서는 단기, 중기, 장기 차원으로 나눠 과거사 및 민주화운동의 연구방향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기 위한 연구과제를 단계별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기존 연구과제들에 대한 현황 분석에 기초해 제안했다. 단기 차원에서는 이행기 정의 개념의 정립과 함께 정치한 방법론과 분과학문의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과제를, 중기 차원에서는 과거사 및 민주화운동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연구과제를, 장기적으로는 과거사 및 민주화운동에 대한 국가 간 비교연구와 한국적 현실에 부합하는 일반 이론화 방안에 중점을 둔 연구과제를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셋째, 연구사업의 경우에는 단기적 차원에서 자료 목록화 사업을 추진할 것을 제안했고, 중ㆍ장기적 차원에서는 자료 집적화 사업을 추진할 것을 제시했다. 자료 목록화 사업은 기존 과거사위원회들이 생산한 자료에 대한 연구자들의 집합적 접근성을 담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를 위한 사업시행계획(안)과 목록의 기본 틀을 제시했다. 연구자들이 과거사 정리 자료 및 민주화운동 자료를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료 집적화 사업 또한 사업시행계획(안)과 자료 DB의 기본 프레임워크에 입각해 체계적으로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
||
참고문헌 | [학위논문] 김다정, “과거사 관련 폐지위원회 기록물의 컬렉션 조직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보경, “한국사회 과거청산 ‘부인(denial)’ 연구: 인혁당 재건위 사건과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재균, “광주보상법과 5ㆍ18특별법 결정과정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김정희, “과거사 규명을 위한 조사기록 관리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김혜림, “한국의 과거사 정책에 대한 비교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박종원, “과거청산을 위한 특별법에 대한 헌법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손광명, “삼청교육대와 빈민통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송선애, “해방 후 친일경찰관료 노덕술의 등용 및 활동,”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이인주, “과거사 관련 위원회의 기록물 활용 방안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이창현, “경주 내남면 민간인 학살사건 진상규명운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정원옥, “국가폭력에 의한 의문사 사건과 애도의 정치,”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기영, “일제강점기 金璟載의 사회주의 운동과 친일활동,”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최태육, “남북분단과 6.25전쟁 시기(1945-1953) 민간인집단희생과 한국기독교의 관계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일반논문]
김경식, “이른바 親日派 진상 규명에 대한 管見:「친일 인명사전」에 수록된 전북 고창지방의 인물을 중심으로,”「교육사상연구」, 2014, 28(2): 119-164. 김대순, “체제전환기 동유럽 공산주의의 과거사 정리 문제: 헝가리 사례를 중심으로,”「서양사학연구」, 2015, 35: 163-193. 김동춘, “한국 과거청산의 성격과 방향,”「민주사회와 정책연구」, 2005, 8: 19-46. 김동춘, “과거사법 제정운동과 과거청산,” 한일교외협의회 주관 제12차 외등법 문제 국제심포지엄 발표논문, 2006. 김무용, “한국 과거청산의 제도화와 국민 통합 노선의 전망.”「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07, 53: 287-331. 김무용, “과거청산 작업에서 진실말하기와 대항 내러티브 주체의 형성,”「한국사연구」, 2011, 153: 191-237. 김무용, “여순사건 진압을 위한 대항 게릴라 작전과 민간인 희생화 전략,”「역사연구」, 2016, 31: 245-302. 김민철, “친일기록의 현황과 과제,” 2005년도 한국기록학회 국제학술심포지엄 발표문, 005, 78-101. 김영수, “남아공의 진실과화해위원회(TRC)와 개혁적 사회통합: 민주주의 이행과정으로 서의 과거사정리정책,”「국제지역연구」, 2009, 12(4): 67-88. 김영수, “한국 과거사정리와 국가의 전략,”「역사연구」, 2011, 21: 141-167. 김아람, “여순사건 이후 지역의 피해와 재정착의 정치성: 하동군 화개면의 사례를 중 심으로,”「한국근현대사연구」, 2018, 84: 287-320. 김창록, “한일 과거청산의 법적 구조,”「법사학연구」, 2013, 47: 85-113. 김한균, “국가범죄와 과거사 청산 완결의 과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 기본법 개정 방향,”「형사정책연구」, 2017, 28(1): 171-203. 김한종,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과 교과서 발행,”「역사교육연구」, 2009, 9: 295-329. 김태우, “진실화해위원회의 미군 사건 조사보고서에 대한 비판적 검토,”「역사연구」, 2011, 21: 103-140. 노영기, “10년 전의 기억, 새로움을 위한 제언: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의 5ㆍ18 조사 활동과 평가,”「역사비평」, 2017, 186-220. 박성우ㆍ정대근,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통합분류체계 개발 연구,”「한국도서관ㆍ정 보학회지」, 2017, 48(2): 373-403. 박중훈, “일제강점기 정인섭의 친일활동과 성격,”「역사와 경계」, 2013, 89: 177-215. 손태희, “여순사건 참가계층의 제유형,”「남도문화연구」, 2015, 28: 35-65. 송진호, “우리나라 과거청산 관련 입법사례의 검토: 피해자 구제에 대한 논의를 중심 으로,”「법학연구」, 2016, 57(2): 29-60. 이경래, “과거사 집단기억과 ‘아카이브 정의: 진실화해위원회 아카이브의 동시대적 재 구성,”「기록학연구」, 2015, 46: 5-44. 이진모, “두 개의 전후(戰後): 서독과 일본의 과거사 극복 재조명,”「역사와경계」, 2012, 82: 243-269. 이준식, “뒤늦은 국가차원의 친일청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활동을 중심으로,”「법과 사회」, 2015, 49: 33-67. 이영재, “이행기 정의의 본질과 형태에 관한 연구: 공감적 정의 원리를 중심으로,”「민 주주와 인권」, 2012, 12(1): 121-151. 이영재, “과거청산과 민주주의: 5ㆍ18 사법적 처리의 의의를 중심으로,”「민주주의와 인 권」, 2004, 4(2): 241-270. 오수열, “인촌(仁村) 김성수의 생애와 친일행적 논란,”「서석사회과학논총」, 3(2): 1-27. 유정환, “1980년대 초반 전두환 정부의 사회정화사업 시행과 지역감사체계 재편,”「역사 문제연구」, 2018, 40: 11-56. 윤선자, “5.18광주항쟁과 1980-1990년대 한국 민주화운동,”「민주주의와 인권」, 5(2): 79-110. 안병욱, “한국 과거청산의 현황과 과제,”「역사비평」, 2010, 93: 32-60. 임희연, “과거사위원회 기록의 효율적인 관리와 활용방안,”「기록학연구」, 2008, 17: 247-292. 엄찬호,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에 대한 분노와 치유,”「인문과학연구」, 2013, 36: 585-607. 윤민재, “한국사회의 군대문화와 군의문사 형성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한국사화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7, 1113-1128. 윤민재, “민주화과정에서의 군의문사와 군대폭력,”「경제와사회」, 2014, 104: 112-141. 주철희, “여순사건과 지역의 기억,”「역사학연구」, 2014, 56: 213-246. 제점숙, “1911년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과 조선 내 종교계 동향: 조선총독부『사사종 교』자료를 중심으로,”「일본연구」, 2018, 29: 207-230. 전진성, “과거는 역사가의 전유물이 아니다: 과거사 진상규명을 바라보는 시각,”「역사와 경계」, 2004, 53: 267-279. 정병준, “한국의 과거사 유산과 진상규명작업의 역사적 의미,”「민주주의와 인권」, 2005, 5(2): 203-231. 정승윤, “‘진실ㆍ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 기본법’상 인권침해사건에서 나타난 주요 법적 쟁점,”「법학논총」, 2011, 31(3): 673-703. 정원옥, “다음세대에 의한 과거청산: 의문사유가족 아카이브 작업을 중심으로,”「통일인문 학」, 2018, 74: 65-88. 최정기, “과거청산에서의 기억 전쟁과 이행기 정의의 난점들: 광주민주화운동 관련 보상과 피해자의 트라우마를 중심으로,”「지역사회연구」, 14(2): 3-22. 최종길, “한국정부의 과거사 청산: 진실ㆍ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를 중심으로,”「대 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6, 138-141. 최태육, “6.25전쟁 개전 초기(1950.6-9) 민간인 집단희생과 한국 기독교의 관계,”「한국기 독교와 역사」, 2016, 44: 239-274. 현무환, “진실ㆍ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 기본법 개정방향,”「과거청산 포럼자료집」, 2007, 49-56. 한성훈, “과거청산과 민주주의 실현: 진실화해위원회 활동과 권고사항의 이행기 정의를 중 심으로,”「역사비평」, 2010, 116-141.
[단행본]
강대민 외,『침략전쟁기 친일 조선인의 해외활동』, 2013, 서울: 경인문화사. 김귀옥,『구술사 연구 방법과 실천』, 2014, 서울: 한울아카데미. 김동춘,『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 한국전쟁과 학살, 그 진실을 찾아서』, 2013, 파 주: 사계절. 김주용,『만주지역 친일단체: 친일, 비겁한 변명』, 2014, 서울: 역사공간. 나간채,『광주항쟁 부활의 역사 만들기』, 2013, 파주: 한올. 박윤식,『여수 순천 사건: 1948년 10월 19일』, 2016, 부천: 휘선. 정해구,『전두환과 80년대 민주화운동: ‘서울의 봄’에서 군사정권의 종말까지』, 2011, 서울: 역사비평사.
[보고서 및 자료집]
국가기록원,『2006 국가가록연보』, 2006. 국가기록원,『소장기록물 가인드Ⅰ』, 2007.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포괄적 과거사 정리: 화해와 상생의 미래를 향해』, 2008.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노무현대통령 2004.8.15. 광복절 경축사」,『포괄적 과거 사 정리: 화해와 상생의 미래를 향해』, 2008.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보고서 1차(2000. 10∼2002. 10) Ⅰ∼ Ⅳ』, 2003.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보고서 2차(2003. 7∼2004. 6): 진실을 향한 험난한 여정 Ⅰ, Ⅱ』, 2004.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A Hard Journey to Justice』, April 2004.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2006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2006.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2006년 하반기 조사보고서』, 2007.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2007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2007.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2007년 하반기 조사보고서』, 2008.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2008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1∼3』, 2008.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2008년 하반기 조사보고서 1∼4』, 2009.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1∼5』, 2009.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2009년 하반기 조사보고서 1∼8』, 2010.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2010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1∼10』, 2010.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종합보고서Ⅰ∼Ⅳ』, 2010.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Truth and Reconciliation-Activities of the Past Three Years, March 20, 2009.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화해와 상생의 미래로』, 2007. 7.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3주년 활동현황』, 2008. 12.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위원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실무능력배양 교육 교재』, 2006. 4.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위원회 업무현황』, 2007. 2; 2008. 1.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집단희생 및 납북귀환어부 피해 실태 관련 기초사실조사』, 2009.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원회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2006년 학술세미나』, 2006. 2.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화해ㆍ위령 및 과거사연구재단설립 방안 연구용역 보고서』, 2009. 4. 10.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심리적 피해현황 조사보고서: 조사의 신뢰성 제고 와 치료 및 재활 측면의 화해방안 모색』, 2007. 6. 22.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해외 진실화해위원회 보고서 자료집 1, 2, 3』, 2008. 2.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집단희생 관련 피해자현황 조사 용역보고서』, 2007, 2008.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세계 과거사 청산의 흐름과 한국의 과거사 정리 후 속조치 방안 모색』, 2009. 10.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외,『과거사정리 활동평가와 향후 과제 토론회 자료 집』, 2007. 11.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규명 결정 관련 판결문 모음집』, 1∼5, 2009 ∼ 2010.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민간인 집단희생 유해 발굴 보고서』, 2007, 2008, 2009.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긴급조치의 위헌성과 피해자 명예회복 방안에 대한 토론회』, 2007. 3. 28.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과거사연구재단 설립」,『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 서』, 2009.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민간인 집단희생 사건에 대한 배ㆍ보상 특별법 제 정」,『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2009.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민간인 집단희생 유해 발굴과 안장」,『2009년 하 반기 조사보고서』, 2010.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언론보도 모음집』.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보도자료 모음집』.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회 활동 소식지(월간) <진실화해>.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Ⅰ∼Ⅳ(총 25권)』, 2009.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사료집 1∼16)』, 2009. 4.9통일평화재단ㆍ서울대학교 공익인권재단 편,『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진 실규명결정사건 재심판결문 모음집 1∼28』, 2013∼2015. 한국국가기록연구원,『친일반민족관련 사료관 건립과 운영방안 연구』, 2008. 현종철,『과거사 청산과 민주화운동 인명 데이터베이스 구축』,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ㆍ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8.
[신문기사]
김민경, “정부 진상규명위 ‘친일 705명’ 이달 말 추가 발표”,『한겨레』, 2009. 임영태, “한국에서의 학살”,『통일뉴스』, 2017. 안병직, “학제적 연구의 어려움...과거사 청산 사유 확장”,『교수신문』, 2006.
|
전체 연구결과 요약(초록) | |
---|---|
본 정책과제의 분석 결과 주요 과거사위원회들이 수집ㆍ생산한 자료들의 학술적 가치가 높고, 연구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만큼 그 양 또한 다양하고 풍부함에도 한국 근ㆍ현대사 연구에서 이들 자료의 연구 활용은 극히 저조한 모습을 보였다. 과거사위원회들의 과거사 정리 자료 및 민주화운동 자료의 연구 활용이 저조한 것은 이들 과거사위원회가 수집ㆍ생산한 자료가 어떤 것인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어디에 이들 자료가 있는지에 대한 정보 부재와 함께 국가기록원으로 이들 자료의 대부분이 일괄 이관되어 그에 따른 접근성이 상당량 제약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정책과제는 다음 3가지 연구 어젠다를 제안했다. 첫째, 연구주제에 있어서는 비맥락적 연구를 넘어서는 맥락 중심의 포괄적 연구와 비교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둘째, 연구과제와 관련해서는 단기, 중기, 장기 차원으로 나눠 과거사 및 민주화운동의 연구방향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기 위한 연구과제를 단계별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했다. 셋째, 연구사업의 경우에는 단기적 차원에서 자료 목록화 사업을 추진할 것을 제안했고, 중ㆍ장기적 차원에서는 자료 집적화 사업을 추진할 것을 제시했다. 본 정책과제는 한국 과거사 정리 자료 및 민주화운동 자료의 연구 활용성 강화를 위한 기획 방향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이 한국 과거사 자료의 정리 및 자료목록집 발간, 그리고 민주화운동 자료와 관련한 연구사업을 진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도 본 정책과제는 의미가 크다. 본 정책과제는 향후 한국학중앙연구원이 한국 현대사의 새로운 연구영역을 확대하여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주제 및 연구과제를 개발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도 그 의미가 크다. |
|
세부과제별 요약 | |
세부과제1 |
연구주제에 있어서는 비맥락적 연구를 넘어서는 맥락 중심의 포괄적 연구와 비교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했고, 이들 연구를 뒷받침할 수 있는 기존 과거사위원회들의 수집ㆍ생산자료에 대한 통사적 연구와 함께 관련 자료에 대한 주제별 연구 및 중요 사건들에 대한 종합적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했다. 연구주제의 한정성과 중첩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동향 분석시스템의 구축 또한 아울러 제안했다. |
세부과제2 |
연구과제와 관련해서는 단기, 중기, 장기 차원으로 나눠 과거사 및 민주화운동의 연구방향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기 위한 연구과제를 단계별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기존 연구과제들에 대한 현황 분석에 기초해 제안했다. 단기 차원에서는 이행기 정의 개념의 정립과 함께 정치한 방법론과 분과학문의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과제를, 중기 차원에서는 과거사 및 민주화운동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연구과제를, 장기적으로는 과거사 및 민주화운동에 대한 국가 간 비교연구와 한국적 현실에 부합하는 일반 이론화 방안에 중점을 둔 연구과제를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
세부과제3 |
연구사업의 경우에는 단기적 차원에서 자료 목록화 사업을 추진할 것을 제안했고, 중ㆍ장기적 차원에서는 자료 집적화 사업을 추진할 것을 제시했다. 자료 목록화 사업은 기존 과거사위원회들이 생산한 자료에 대한 연구자들의 집합적 접근성을 담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를 위한 사업시행계획(안)과 목록의 기본 틀을 제시했다. 연구자들이 과거사 정리 자료 및 민주화운동 자료를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료 집적화 사업 또한 사업시행계획(안)과 자료 DB의 기본 프레임워크에 입각해 체계적으로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
내용 |
---|